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 교과 사례를 통해 본 교과서와 교사의 판단

        방진하 ( Bhang Jina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초중등학교 음악수업지도안 등의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교과서라는 매체를 통하여 음악을 가르칠 때 구사하는 판단의 성격을 추론해보고자 한다. 마이클 오크쇼트 (Michael Oakeshott)에 따르면, 교과서 속에 문자로 남아 있는 정보들은 사실 누군가의 지식에서 나온 것이다. 그가 말하는 지식이란 무엇인가를 할 줄 아는 능력으로 존재하며, 교사는 교과서 정보를 통하여 교과서 저자가 학생들에게 구현하려고 하는 능력이 무엇인지를 먼저 추론해야 한다. 그와 동시에 교사는 자신의 학생들이 배운 정보를 실천하고 연습할 때 발휘하는 개별적 지성을 알아봄으로써 그러한 능력이 생성되도록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절대 음악과 표제 음악의 대비를 통하여 ‘음악이 표현하는 것’을 가르치려고 하는 교과서 저자의 의도가 교과서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또한 그러한 의도가 교과서의 설명과 삽화 속에서 어떻게 이해되거나 오해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교과서를 매체로 하여 음악을 가르치는 교사의 판단의 성격을 이해해본다. This study attempts to infer, by analyzing cases such as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teacher's guides, and instructional plans, the nature of judgement that teachers make when they teach music through textbooks. According to Michael Oakeshott, the information that remains in the form of letters in textbooks is that which originates from someone's knowledge. The knowledge he refers to exists as an “ability” or “abilities” that know(s) how to do something, and teachers must first infer what the “abilities” the textbook author intends to implement in the students’ mind through the textbook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eachers should organize classes so that those abilities are created by seeing the individual intelligence that their students exert as they practice the infomation they have learned. This study tries to analyze how the textbook author's intention to teach 'what music expresses'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absolute music and the programme music which are revealed in the textbooks, and how such intentions can be understood or misunderstood in the explanations and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s. Through this, the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judgment of the teacher who teaches music through textbooks.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 신적조명론의 교육학적 시사

        방진하(Bhang, Jin-H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1

        이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적조명론이 교수-학습 활동에 주는 시사점을 교사론 본문의 내용 및 그 논의를 구성하는 대화의 성격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의 신적조명론에서 학습은 두 가지 의미에서의 자기지식으로 나타난다. 먼저, 학습이 일어났다는 것은 학습자의 마음에 있는 신적 속성이 경험적 사례에 적용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때 자기지식은 대상지식에 의미와 타당성을 부여해주는 기준이 된다. 그러나 지식 획득이 학습자의 내면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 곧 지식이 학습자 스스로의 힘으로 성립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신적 조명은 바로 지식 획득 사태에서 인간 마음이 나타내는 결함을 해소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또한, 교사론 에서 이러한 논의는 교사 아우구스티누스가 자신의 아들 아데오다투스와 나누는 대화의 시범을 통하여 도출되며, 그 과정에서 교사의 질문은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 내용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검사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또 다른 의미의 자기지식을 낳는다. 전자의 자기지식이 진정한 학습은 인식 주체에게 주관적으로 경험된다는 측면을 부각시켜준다면, 후자의 자기지식은 학습의 목적과 교사의 역할에 관하여 중요한 시사를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ugustine’s divine illumination theory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especially through analyzing a conversation of De Magistro( On The Teacher). In the illumination theory, learning is represented by two kinds of self-knowledge. Firstly, self-knowledge means that divine attributes in the learner are applied to the empirical examples. In this case, self-knowledge becomes a standard which gives a meaning and validity to the knowledge of the object. But the fact that learning happens ‘in’ the learner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knowledge comes into existence ‘by’ himself. Therefore, the concept of illumination is required to explain the defects of individual human mind in the course of learning. Another meaning of self-knowledge is made by the demonstration of questioning of teacher which examines understanding of the learner ceaselessly. In the context of De Magistro, the meaning of knowing something as a concept appears in the middle of discussion which Augustine as a teacher converses with his son as a learner. The former meaning of self-knowledge emphasizes that the genuine learning is experienced by the learner himself. Further, another meaning of self-knowledge gives a significant implication to the object of learning and the role of teacher.

      • KCI등재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 을 통한 소크라테스 논박술의 재해석: 철학과 삶의 기술

        방진하(Bhang , Jin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4

        이 논문의 목적 은 소크라테스 의 논박술을 오우크쇼트의 ‘대화’ (conversation) 개념으로 재해석함으로써 논박술이 가진 ‘삶의 기술’로서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것에 있다. 플라톤의 대화편『고르기아스』에서 칼리클레스는 삶을 살아가는 데에 유용한 것으로서 연설술(rhetorik e)을 옹호하면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쑥덕공론으로 몰아붙 인다. 이에 대해서 소크라테스는 연설술을 기술(techne)이 가진 자격 요건에도 못 미치는 아첨이라고 폄하하면서, 자신의 철학이야말 로참된 정치술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기술의 성립요건에 비추어 논박술이 가 진 기술로서의 성격을 알아보고, 논 박술이 대화상대방으로 하여금 ‘자기이해’를 통하여 실재를 추구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삶의 기술’로서의 성격을 가진다고 해석한다. 한 편, 인간의 자기 이해를 존중 한다는 점에서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은 소크라 테스의 논박술을 현대적으로 계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오우크쇼트가 목소리들의 관계와 자아의 상상 활동에 초점을 두어 강조하는 ‘대화’ 개념에 비추어 논박술을 재해석해봄으로써, 소크라테스 의 논박술과 오우크쇼트의 대화가 ‘삶의 기술’로서 가지고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 석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Socrates’ elenchos as a techne for life in viewpoint of Oakeshott’s conversation. This reinterpretation aims to explore possibilities which two thinkers might share a concept of ‘self-understanding’ that philosophy as an activity would arouse to interlocutors. According to Socratic elenchos, knowledge is always relate d with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while an oratory or a rhetoric skill just intends to persuade the crowds in pursuit of success or reputation. In viewpoint of Oakeshott’s poetic conversation which always invites another voices’ responses, Socrates’ elenchos can be reinterpreted as a good example of Oakeshott’s conversation. While So crates’ elenchos always seeks for an “eidos of dikaiosyne” , poetic conversation does not seem to follow any destination which is fixed as a common good or final end. Withoutstanding this difference, the philosophical asp ect of conversation suggests that poetic conversation provides freedom for self which postulates a ‘better’self - understanding by making h is own images and enjoy them.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프로네시스 개념의 교육적 재해석

        방진하(Bhang, Jin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2

        본 논문은 프로네시스 개념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와 조셉 던(Joseph Dunne)의 논의를 참조하여 아리스토텔레스가 프로네시스를 통하여 구현하려고 했던 인간적인 특성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러한 특성에 비추어 그간 실천추론과 동일시되어 왔던 프로네시스 개념을 재해석해볼 것이다. 프로네시스가 요구되는 전형적인 사례에 비추어 보면 실천추론은, 비록 분석의 틀 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는 의의를 가지지만, 통찰의 일차적 대상인 특수자들의 범위나 한계를 명확히 설정해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프로네시스를 상황 지각으로 해석하는 관점은 특수자들에 대한 풍부하고 섬세하게 구분된 앎의 중요성을 강조해준다. 프로네시스를 성품의 덕과의 관련에 비추어 해석하는 관점은 프로네시스를 (어떤 특정 시점의 판단이 아니라) 행위자가 그의 삶 전반을 통해서 학습해 온 특수자와 보편자의 상호조회로 재해석하게 한다. 이러한 재해석을 통하여 본 논문은 프로네시스를 주로 교육 장면에서 발현되는 교사의 능력으로 간주했던 기존 연구를 받아들이면서도, 그러한 프로네시스의 형성에 있어서 교육과 학습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분석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실천적 성격이 회복된 교육이 길러내려는 인간은 프로네시스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학습자와 다르지 않음을 밝혀볼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Aristotelian phronesis as a unique form of experience that focuses on the particulars in view of the tentative universal-the ‘good’ or Aristotelian eudaimonia.-and makes an agent revise his own viewpoints. Aristotelian phronesis would be usually identified with the practical syllogism, which has both strengths and limitations on understand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hronesis. With the concept of aisthesis and the relation between phronesis and ethos, this paper tries to find a good possibility that education or learning as a praxis can promote the formation of phronesis with oblique ways-such as to enlarge a sphere of selection by producing alternative particulars or to promote the reciprocal references between the particulars and the universals. Finally,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similarity between the phronimos and the well-educated person.

      • KCI등재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

        방진하 ( Jin A Bhang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이 연구는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의 이상이나 목적이 인간의 자유에 있다는 생각은 교육의 역사만큼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지만, 자유교육론은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을 정당화하는 논의로 간주될 뿐, 교육이 가정하고 있는 자유의 의미에 관해서는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다. 오우크쇼트 후기 저술의 `대화` 개념은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를 교육내용의 선험적 가치에 의존하여 얻어지는 추상적 결과가 아닌, 교육활동이라는 `실제`에 구현되어 있는 조건적 특성으로 해석할 단서를 제공해 준다. 전통적 자유교육론자들이 인간 본질에 대한 규정이나 실재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자유와 지식의 추구를 연결했다면, 오우크쇼트는 `자기이해`라는 지식의 본질을 통하여 인간의 자유와 지식의 추구를 연결한다. 그가 말하는 `자기이해`로서의 지식이란, 서로 다른 목소리들이 만나는 `대화`를 통하여 자신이 명확하게 `사실`로 알고 있는 것을 `가능성`으로 환원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다. 근래의 자유교육론자들이 공적 개념 체계 아래에서 구조화된 경험을 갖는 것으로서 마음의 발달을 설명했다면, 오우크쇼트는 실제적 필요나 과학적 권위라는 목적으로부터 해방된 인간이 관조의 어법으로 `이미지-만들기`를 향유하는 것에서 학습의 의미를 찾는다. 교육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이 `사실`이라고 여기는 것에 대하여 계속해서 질문하는 자유, 아무런 부담 없이 `이미지-만들기`를 향유하는 자유를 누리게 해 주는 `놀이의 장`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freedom in Oakeshot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Freedom is usually regarded as an `ideal` or `purpose` of education. But nowadays there are few people who ask what a freedom means as a principle of education.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freedom in Oakeshot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is regarded not as results of educational management, but as conditions of educational `Practice`. This interpretation depends on the concept of `conversation` in his later works. By Oakeshott, education is an initiation into the skill and partnership of conversation. The classical type of justification of liberal education consists of a number of mutually-related philosophical doctrines concerning the nature of knowledge, the mind, the reality,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But the freedom of education in view of conversation is related with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In conversation, one who seeks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always invites another voices` responses. In conversation, the `facts` appear only to be resolved into the possibilities from which they were made. The modern type of argument for liberal education finds its ground on the nature of knowledge itself. To acquire knowledge is to become aware of experience as structured, organized and made meaningful by means of symbolic systems that have publically shared among human beings. But Oakeshott`s freedom of education comes from the idiom of contemplation which belongs to `voice of poetry`. Poetic imagination is not a preliminary to doing something, it is an end in itself. In poetic conversation,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make their own images of human inheritances. Education is a place for `play` which provides the freedom of examining one`s own voice and of enjoying images of human inheritance and of making images of one`s own.

      • KCI등재

        맥킨타이어 "서사적 자아"(narrative self) 개념의 교육적 의미 탐색

        방진하 ( Jin A Bha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2

        본 논문은 알레스데어 맥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의 ‘서사적 자아’(narrative self) 개념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기존 교육철학 연구에서 맥킨타이어의 덕 논의는 주로 교육과정 편성의 문제나 교과의 성격에 초점이 맞추어져 논의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덕 논의가 덕 개념의 논리적 발달 세 단계-즉, ‘행위전통들’(practices), 맥킨타이어가 말하는 ‘practices’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practices는 사회적으로 성립된 협동적 인간 활동의 모든 정합적, 복합적 형식으로서, 그것을 통하여 활동의 형식에 내재적 선들은 이 활동의 형식에 적합하고 부분적으로는 이 활동의 형식을 통해 정의된 탁월성의 기준들을 성취하고자 하는 시도의 과정에서 실현되며, 그 탁월성을 성취할 수 있는 인간의 힘이나, 관련된 목표와 선들에 관한 인간의 관념들은 체계적으로 확장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AV:187). 그가 이러한 ‘practices’의 예로 들고 있는 것은 건축, 예술, 과학, 역사, 정치, 농사, 가정생활의 운영과 유지, 체스 등으로 상당히 광범위하다. 그간 우리말에서 ‘practice’의 번역어로 사용되어왔던 ‘실제’는 흔히 ‘이론’이나 ‘이상’과 대비되는 ‘사실의 경우나 형편’을 뜻하는 말로서 맥킨타이어의 원의미와는 다른 의미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선행 연구자들은 각자의 관심사에 비추어 ‘practices’를 ‘사회적 실제’, ‘실천’, ‘사회적 실천’, ‘실천전통’, ‘행위전통’ 등으로 번역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행위전통(들)’로 번역하도록 한다. 이는 우리말에서 ‘실천’이라는 말 역시 ‘이론’이나 ‘이상’과 대비되는 의미로 쓰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본문에서 ‘행위전통(들)’이 그보다 더 넓은 의미의 ‘전통(들)’과 구분되면서도 여전히 전통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인간 삶의 서사적 통일성’(a narrative unity of the human life), ‘전통들’(traditions)-로부터 도출된다는 전제하에, 그의 덕 논의와 아리스토텔레스 덕 논의가 서로 어떻게 구분되거나 관련되는지를 먼저 밝혀보려 한다. 또한 맥킨타이어가 말하는 서사적 자아의 두 가지 측면을 밝히고, 이를 그가 비판하는 정서주의적 자아(emotivist self)와 대비시켜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서사적 자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교육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서사적 자아 개념이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한계에 관하여 논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narrative self” appeared in Alasdair MacIntyre`s After Virtue. The previous educational-philosophical discussions on MacIntyre`s virtue ethics have mostly focused on the problem of curriculum organization or the nature of subject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practices.” It will be analysed that the ideas in the concepts of “practices”, “a narrative unity of the human life” and “traditions” might be interpreted as the features of thinking process of the narrative self in contrast to the emotivist self. I attempt to explain the influence of education in developing the narrative self an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for Korean education today.

      • KCI등재

        복합 실제로서의 학교 교육에서 공동선의 의미

        방진하 ( Bhang Jina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7 교육철학연구 Vol.39 No.2

        본 논문은 학교 교육(school teaching)이 가진 복합 실제(a multi-practice)로서의 특성을 통해서, 교사가 수업에서 맞닥뜨리는 난점의 본질과 교육이 추구하는 공동선(common good)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먼저 교실수업에서 교사가 염두에 두는 목적이 복합적이라는 점을 맥킨타이어의 세 가지 선(善,good) 개념을 토대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학교 교육이 가진 복합적 특성을 확인해 본다. 이어서 교수(teaching)가 하나의 실제(a practice)인지 여부를 두고 알레스데어 맥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와 조셉 던(Joseph Dunne)사이에 벌어졌던 논쟁과 그 논쟁에 관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학교 교육이 가지는 복합 실제로서의 특성을 규명해본다. 특히, 맥킨타이어가 『의존적인 합리적 동물』(Dependent Rational Animals)에서 제안하는 소규모 지역 공동체(local community)의 특성을 통하여, 학교 교육에서 한 반(班)이 가진 공동체로서의 특성을 좀 더 상세히 알아본다. 학교 공동체는 개인들이 서로 간의 관계를 통하여 자신의 개인 선과 공동선을 조율하는 방식을 배우는 장이 된다.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독립적 실천 추론을 연습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의존성을 가진 학생들을 대변하는 승인된 권한을 행사함으로써 학생들이 공동선을 탐구하거나 상정하는 경험을 갖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맥킨타이어가 제안하는 공동체를 통한 공동선의 경험이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nature of the difficulties faced by teachers and the meaning of the common good pursued in educa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teaching as a multi-practice. Based on the debate between Alasdair MacIntyre and Joseph Dunne on the theme of whether or not teaching is a practice and a follow-up study of the debat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school teaching. Next,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purposes of activities that constitute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three concepts of “good” by MacIntyre. In particular, with referenc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mmunity” proposed by MacIntyre in Dependent Rational Animals, this study will try to elaborate the characteristics of a “class community” as a “local community”. In addition, a school(or class) community suggests two ways of coordinating the personal good and the common good, which will contribute to raise a practical reasoner who considers both independence and alleged dependence in a balanced way. Teachers not only allow students to develop independence through the initiation into the practices of school subjects, but also empower them to experience genuine membership by exercising his or her authority to represent students with alleged dependencies. Finally, I would like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for our Korean education.

      • KCI등재

        장자의 소요유(逍遙遊)와 오우크쇼트의 놀이(play) 개념 비교 연구

        방진하 ( Jina Bhang ),이성미 ( Seong Mi Lee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3

        본 논문은 장자의 소요유와 오우크쇼트의 놀이 개념을 통하여 두 사상가가 그 사상적 지향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면 공유하고 있는 세계 이해의 방식과 정치활동에 대한 관점, 인간 삶의 방식 등을 살펴보고, 이러한 공유점이 교육에 어떠한 시사를 주는지 밝히려고 한다. 소요유는 쉼 없이 외물을 향해 치닫는 의식의 사려작용을 멈추고 자신과 타자의 관계에 대해서 성찰하는 자유를 갖는 유유자적한 삶의 모습을 말한다. 오우크쇼트에 의하면, 놀이는 욕망충족과는 상관없이 세계를 설명하고 상상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이 누리는 자유를 드러낸다. 소요유의 정신 경계는 타자와의 관계에 이르면 무위(無爲)라는 행위양식으로 드러난다. 놀이는 정치활동이 수행되는 합리주의적 양상에 대한 회의주의적 입장을 대변하는 정치적 요소이며, 이는 장자가 유위(有爲)의 정치를 비판하며 제안하는 무위의 정치와 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소요유가 가진 감응(感應)의 측면과 놀이가 가진 시(詩)(혹은시적 자유)의 측면은 관조와 희열, 현재성과 즉흥성을 잃지 않는 삶의 방식을 제안한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교육에서 실행되는 과도하게 전체적이고 목적론적인 시도에 대해 회의하는 관점의 필요성을 소요유와 놀이의 개념을 통하여 밝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pt of “逍遙遊” by Zhuangzi with the concept of “play” by Michael Oakeshott. This comparison aims to explore possibilities which two thinkers might share a way of understanding the world, a view of the political activities and a way of living a life. Even if they do not share the same philosophical outlook or foundation, this comparison is to be hoped to clarify their contributions to understand both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the limits of overly intentional trials in education. Oakeshott cites Zhuanzi’s stories 4-5times within his whole works in order to criticize modern Rationalism’s totalitarian or teleological ideas on knowledge, civilization and politics. From Zhuangzi’s original point of view, education is a kind of intentional act (有爲), whereas Oakeshott is regarded as a protector of western civilization and liberal education. Withoutstanding this kind of clear but superficial contrast, we suggest that they might share an attitude for life as “merry wandering(or going rambling)” without any destination which is fixed as a common good or final end. If the concepts of ‘逍遙遊’ and ‘play’ represent the manner of enjoying self and the world without any anxieties for satisfying wants, these are the very aims of education they want to preserve.

      • KCI등재

        교육 논의에서 과학과 예술의 관련 방식 고찰

        방진하(Bhang, Jin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2

        교육철학은 대체로 교육에서 과학의 지분이 너무 과도해지는 것을 비판하는 입장에서 왔으며, 과학적 접근으로 포착하기 어려운 교육의 인간적 측면이나 인간됨의 가치에 주목하게 하는 대안으로 예술에 주목해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먼저 우리 사회에서 일종의 독재자처럼 군림하고 있는 과학이 과학 그 자체라기보다는 실제(산업)와 결합된 과학임을 밝히고, 본래 의미 의 과학 정신을 되살려내는 것이 교육의 중요한 소임임을 확인해본다. 또한 실제와 결합된 과학이 인간 활동을 독점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로 예술의 역할임을 살펴보고, 예술이 가진 교육적 가치를 살펴본다. 그러나 예술 역시 제한점을 가지는 인간 활동이라는 점에서 과학을 필요로 하며, 이 점은 과학과 예술이 모종의 관련-즉, 서로에게서 해방되어야 하면서도 동시에 서로를 대화의 파트너로 삼아야 하는 대화의 관계-을 맺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그간의 교육철학 논의에서 과학과 예술의 관련이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졌는지 간단히 정리해 보고, 다음으로 오크쇼트가 주장한 과학과 예술 각각의 특성이나 둘 사이의 관련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서 앞서의 논의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잘 교육받은 인간에 게서 찾아볼 수 있는 과학과 예술의 지형도는 어떠한 것이 될 수 있는지 시론적으로 검토해보겠다. Educational philosophy has generally criticized the monopolistic position of scientism closely combined with industry, and has been paying attention to art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focus on the human aspect of education or the value of humanity which is difficult to be captured by scientific approach. However, in this paper, first, I would find out that the science that is reigning as a dictator in our society is a science combined with industry, and distinguish the meaning of scientific thinking, which is the aim of education, from the science combined with industry. In addition, we would find the main function of art in the conversation of human inheritance is to prevent a voice from monopolizing a conversation of human activity, and that art also has limitations that need to be checked by the wholeness of human activities, including science. In this article, I will first briefly summarize how science and arts are handled in education or philosophy of education, and then compare it with the previous argument by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art that Michael Oakeshott advocated. Lastly, I will examine what kind of topography of science and art we can find in well-educated human be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