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안구운동 패턴을 이용한 인지적 의도와 정서적 의도 파악 및 추론

        박형규(Hyeonggyu Park),이상일(Sangil Lee),이민호(Minho Lee),곽호완(Ho-wan Kwak)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의도는 무엇을 하려는 생각이나 계획으로 행동 전에 나타나는 태도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 인간과 컴퓨터/기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Natural User Interface(NUI)가 여러 디지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다. NUI는 음성이나 눈짓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편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UI에 비해 정확성이 떨어진다. 이런 이유로 NUI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들은 재미와 편리함을 느낄 수 있지만 사용도중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의도에 맞지 않게 작동하면 오히려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NUI가 완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컴퓨터나 기계가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구운동패턴을 활용하여 인지적 의도와 정서적 의도를 구분 및 추론 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연구 1에서 인지적 의도와 정서적 의도는 평균 응시점 수, 평균 응시시간, 평균 동공크기 차이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의도와 같은 정신적 요소에 대한 개인성으로 인해 판별 정확도가 다소 낮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연구 2에서는 개인 별 반복측정을 통해 인지적 의도와 정서적 의도 조건에서 향상된 판별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평균 응시점 수와 평균 응시시간을 분석하여 실험 참가자가 선택한 의도를 추론할 수 있었다. 연구 1, 2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평균 응시점 수와 평균 응시시간 등과 같은 안구운동 측정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구분할 수 있으며 개인 별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도추론까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NUI 사용환경에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디지털 기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자동차나 산업전반, 일상생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nd infer the cognitive intent and affective intent by analyzing eye movement patterns. A human being usually has intent that is an idea or plan to do something. While human-computer/machine interaction increase and natural user interface is used in many digital devices, the necessity that the computer or instrument grasps the user intent is gradually enlarged. In this study, the condition of intent exists is divided into cognitive intent and affective intent. Experiment 1 verify that average fixation count, average fixation duration, average pupil siz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intent condition. But the discrimination accuracy is slightly low because of personality of mental factor as intent. Experiment 2 show that discrimination accuracy is improved through repeatedly measured personal data and it is possible to infer user cognitive intent and affective intent by using personal eye movement patterns. These results offer a method to figure out and infer human intent. And it is valuable to use not only digital devices, computer but automobile, industrial machinery and tools, articles in daily use in HCI/HMI for using NUI.

      • KCI등재후보

        시각적으로 자각되지 않는 단서자극이 변화 탐지 수행에 미치는 효과

        박형규(Hyeonggyu Park),변신철(Shinchul Byoun),곽호완(Ho-Wan Kwak) 한국인지과학회 2016 인지과학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변화 탐지 수행에서 주의와 의식이 미치는 각각의 효과 크기에 대해 관찰하였다. 주의와 의식이 결합된 단서조건과 의식적 접근이 차단된 주의 단서가 제시된 조건에서 과제 수행결과를 비교하여 의식의 효과 크기를 확인하였으며, 의식적 접근이 차단된 주의 단서조건과 주의 단서가 없는 통제 조건에서 과제수행결과를 비교하여 주의의 효과 크기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변화 탐지과제와 연속 플래시 억제(continuous flash suppression, CFS) 현상을 사용하였다. CFS는 한 쪽 눈에 빠르고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몬드리안 패턴이 제시되었을 때 관찰자의 다른 쪽 눈에 제시된 정적 시각 자극을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CFS 현상을 촉발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거울입체경 대신 스마트폰과 구글 카드보드를 사용하였다. 실험 1-1에서는 새로운 실험 기기로 구현한 CFS 현상이 시각자극의 인식을 억제하는데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1-2에서는 강제선택과제를 수행할 때, 새로운 실험 기기를 통해 제시된 비의식적 자극이 단서로 충분히 작용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비의식적 자극이 단서로서 주의를 끄는데 더욱 강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 1-1과 1-2를 통해서 스마트폰과 구글 카드보드를 사용하여 촉발한 CFS 현상을 후속연구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실험 2에서는 변화 탐지과제를 수행할 때, 제시되는 단서의 의식 수준을 조작하여 과제 수행에 의식과 주의가 미치는 효과크기를 알아보았다. 독립변인을 제외한 나머지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해당 요인이 전체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분리하였다. 실험결과, 단서자극을 의식하는 수준에 따라 변화 탐지수행의 평균 정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의식적 단서는 의식적 단서가 제시되는 조건이나 단서가 제시되지 않는 조건과 다른 변화 탐지 패턴을 보임으로써 변화 탐지와 같은 인지적 처리과정에서 주의와 의식이 미치는 효과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보처리과정에서 의식과 주의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를 관찰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size of attention and consciousness on change detection. We confirmed the effect size of consciousness by comparing the condition which combined attention and consciousness and the condition of attention without consciousness. Then, we confirmed the effect size of attention by comparing the condition of attention without consciousness and the control condition which excluded attention and consciousness. For this purpose, change detection task and continuous flash suppression (CFS) were used. CFS renders a highly visible image invisible. In CFS, one eye is presented with a static stimulus, while the other eye is presented with a series of rapidly changing stimuli, such as mondrian patterns. The result is that the static stimulus becomes suppressed from conscious awareness by the stimuli presented in the other eye. We used a customized device with smartphone and google cardboard instead of stereoscope to trigger CFS. In Experiment 1-1, we reenacted some study to validate our experimental setup. Our experimental setup produced the duration of stimulus suppression that were similar to those of preceding research. In Experiment 1-2, we reenacted a study for attention without consciousness using an customized device. The results showed that attention without consciousness more strongly work as a cue. We think that it is reasonable to use CFS treatment employing smartphone and google cardboard for a follow-up study. In Experiment 2, when performing the change detection task, we measured the effect size of consciousness and attention by manipulating the consciousness level of cue. We used the method in which everything but the variable of interest kept being fixed. That way, the difference this independent variable makes to the action of the entire system can be isolated. We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correct response rate on change detection performance among different consciousness level of cu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at not only the role of attention and consciousness were different also we were able to estimated the effect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