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연관표(2003년)를 활용한 산업별 CO<sub>2</sub> 배출 원단위 분석

        박필주,김만영,이일석,Park, Pil-Ju,Kim, Mann-Young,Yi, Il-Seuk 한국환경경제학회 2009 자원·환경경제연구 Vol.18 No.2

        산업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각 산업별 온실가스 발생량을 정확히 예측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산업연관표와 에너지 사용량 통계자료를 기초로 401개 산업별 직 간접 $CO_2$ 원단위를 산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 없는 일부 데이터 대신 해외 데이터 사용, 석유정제부문에 대한 분배 문제, 카본뉴트럴 측면에서 재검토 필요성, 폐기물처리 부문 과정의 일부 미고려 등에 따른 결과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산물로 얻어지는 코크스로가스나 철강계 가스, 자원순환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는 폐기물 영향까지를 고려한 401개 상세 산업별 직 간접 $CO_2$ 원단위를 산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산업별 $CO_2$ 배출 원단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간접 $CO_2$ 원단위가 크게 나타난 대표적인 산업으로는 조강, 레미콘, 선재 및 궤조, 주철물, 철근 및 봉강 산업이다. 이들 산업은 직접 $CO_2$ 원단위가 큰 산업에서 생산된 원료물질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직접 $CO_2$ 배출 원단위가 크게 나타난 대표적인 산업으로는 시멘트, 선철, 석회 및 석고 제품, 석탄화합물 등 자연으로부터 채취한 원광석 등을 이용하여 다른 산업에 유용한 원료물질로 정제하는 산업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산업별 특성이 반영된 저감 목표치 산정, $CO_2$ 저감정책별 감축 잠재량 산정, 기업의 $CO_2$ 배출량 수준 파악 및 저감 목표량을 설정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 밖에도 국내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환경경제통합계정, 산업별 물질흐름분석 분야에서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Greenhouse gas emissions should be precisely forecast to reduce the emissions from industrial production processes. This study calculated the direct and indirect $CO_2$ emission intensities of 401 industries using the Input-Output tables 2003 and statistical data on the amount of energy use.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in drawing study findings because overseas data were used given the lack of domestic data. Other limiting factors included the oil distribution problems in the oil refinery sector, re-review of carbon neutral, and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waste treatment. Nonetheless,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since the direct and indirect $CO_2$ emission intensities of 401 industries were calculated. Specifically, this study considered from the zero-waste perspective the effects of waste, which attract interest worldwide since coke gas and gas from the steel industry are obtained as byproduct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_2$ emission intensity per industry, typical industries whose indirect $CO_2$ emission intensity is high include crude steel making, Remicon, steel wire rods & track rail, cast iron, and iron reinforcing rods & bar steel. These industries produce products using the raw materials produced in the industrial sector whose $CO_2$ emission intensity is high. The representative industries whose direct $CO_2$ emission intensity is high include cement, pig iron, lime & plaster products, andcoal-based compounds. These industries extract raw ore from nature and refine them into raw materials that are useful in other industri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following case: estimation of target $CO_2$ emission reduction level reflecting each industrial sector's characteristics, calculation of potential emission reduction of each policy to reduce $CO_2$ emissions, identification of a firm's $CO_2$ emission level, and setting of the target level of emission reduction. Moreover,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widely in fields such as System of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ccounting(SEEA) and Material Flow Analysis(MFA) as the current topic of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형 피해산정형 전과정 영향평가 지표 개발

        박필주(Pil Ju Park),김만영(Mann Young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5

        이 연구에서는 피해산정형 모델에 기초하여 제품 환경성 관련 정보를 국내 지리적, 환경적, 사회적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화폐가치`로 나타낼 수 있는 전과정 영향평가 지표를 제시하였다. 먼저 평가단계를 ‘특성화`, ‘피해평가`, `통합화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자원소비, 지구온난화, 오존층영향, 산성화, 부영양화 및 광화학산화물 생성의 6대 영향범주를 고려하였다. 아울러 6대 영향범주와 관련된 16개 범주별 종말점과 4대 보호대상에 대한 피해함수 및 피해계수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영향범주별 기준물질의 통합화 지수는 21.8원/kg Sb, 6.19원/kg CO₂, 53,000원/kg CFC-11, 13,100원/kg SO₂, 2,310원/kg PO₄ 3-, 3,030원/kg C₂H₄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제품 전과정에 걸쳐 발생하는 환경부하가 보호대상에 미치는 영향을 화폐가치로 단일 지수화할 수 있으므로 도출되는 전과정 영향평가 결과의 이해도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This study proposed a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index that can indicate the environment-related information of the product in monetary value such that the national geograph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features are fully reflected based on a damage-oriented model. First, the estimation process was classified into characterization, damage assessment, and integration stages considering the six biggest impact categories: resource depletion, global warming, ozone depletion, acidification, eutrophication, and photochemical oxidant creation. Moreover, this study came up with the 16 category endpoints related to the 6 impact categories, and the damage function, to the 4 largest safeguard subjects. The integration indices of finally identified impact categories were KRW 21.8/kg Sb, KRW 6.19/kgCO₂, KRW 53,000/kg CFC-11, KRW 13,100/kg SO₂, KRW 2,310/kg PO₄ 3-, and KRW 3,030/kg C₂H₄. Us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nvironmental impacts based on the environmental load generated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of a product can serve as a single index in monetary value; thus enhancing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life cycle impact assessm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저탄소제품의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

        박필주 ( Pil-ju Park ),이현희 ( Hyunhee Lee ),조장율 ( Jangyul Cho ),김만영 ( Mann-young Kim )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15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16 No.1

        A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effect of “Low-Carbon Products” which are the second scheme of Korean carbon footprint labeling has been analyzed from 2011 to 2015 in this study. The reduction effect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low carbon product from the first carbon emission which shows the reduced emission value of product and then multiplying by the sales of the products. The total number of the low-carbon products is 231 and its estimated reducing GHG effect totals 3.44 Mt CO2-eq. This equals to an annual absorption of approximately 520 million 30 year old pine trees and an annual emission of about 1.43 million vehicles. In addition, it is evaluated that the cost effectiveness of a low carbon product labeling program is more than 50 times than that of carbon trading schemes in Korea. Both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should develope and apply various policies to invigorate the program of low carbon products.

      • 학술 논문 : 벡터 개념을 활용한 생태효과성 제안 및 적용

        박필주 ( Pil Ju Park ),정인태 ( In Tae Jeong ),김만영 ( Mann Young Kim )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11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12 No.1

        1987년에 발표한 ``우리의 미래(Our Common Future)``라는 보고서를 통해 경제발전과 환경보전이라는 두 측면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는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이 공식화 된 이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은 국제협약, 정부규제 및 시장요구 등 다양한 형태로 가시화되어 왔다. 이러한 다양한 노력들은 피터 드러커(Peter F. Drucker)의 "측정할 수 없으면 관리할 수 없다"는 말처럼 관리를 위한 다양한 측정수단들을 개발하여 적용해 오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이슈에 민감한 기업에서는 지속가능성 개선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기업 활동이나 제품/서비스의 지속가능성 개선을 위한 수단(녹색구매, 에코디자인 등)에 적용해 왔으며 이때 생태효율성(eco-efficiency) 개념이 유용한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Ecology와 Economic에서의 ``Eco-``와 효율을 나타내는 ``efficiency``의 합성어인 생태효율성은 "지구의 자정능력의 범위 안에서 생태계에 대한 영향 및 자원 사용량을 줄임과 동시에 인간의 욕구(needs)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물품(goods) 및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1]. 즉, 보다 효율적인 자원이용과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저감이라는 환경적 요소와 경제성장이라는 경제적 요소가 결합된 개념으로, 자연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통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경제개발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생태효율성은 제품(이 연구에서 ``제품 (Products)``은 ``물품과 서비스(goods and service)``를 포괄하는 뜻으로 사용하였다) 가치를 환경영향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생태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제품 가치 상승, 환경영향 저감 또는 이 두 가지를 동시에 달성해야 한다. 즉, 생태효율성은 제품 가치와 환경영향의 비율로서 계산 결과 값 자체는 의미가 없으며, 다른 생태효율성 값과의 비교를 통해서만이 그 의미를 갖는다. 지속가능한 지표로서 생태효율성 개념은 2000년대 초반부터 일본 기업들을 중심으로 기준제품 대비 개선제품의 환경성 및 가치(품질 등) 개선 정도를 보여 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평가지표로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2]. 앞서 언급했듯이 생태효율성은 제품의 가치와 이에 따른 환경영향의 비로 계산된다. Fig. 1에서처럼 환경영향을 X축에, 가치를 Y축에 나타낸다면 각 지점의 생태효율성은 X축으로부터의 각도인 θ가 높은 값을 가질수록 생태효율성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Eco-efficiency refers to a ratio between environmental impact and value(or cost) and it has been used as a sustainable index widely. However, the debate on eco-efficiency has somehow left behind the question of limits; no consideration of a relative size as well as the impossibility of weighting among evaluation factors(parameters). Therefore, eco-effectiveness using a vector concept which represents the position of an object in space in relation to an arbitrary reference point is proposed as a new evaluation index. The case study of washing machine in the end of life stage was performed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eco-efficiency was conducted. Although frame(steel) is the most economic material(or part) in the washing machine, the priority is low in eco-efficiency but the highest priority in eco-effectiveness. As shown in eco-effectiveness formula,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relative size which can not be considered in the eco-efficiency. Furthermore, it has a benefit to give a weighting factor among evaluation factors(parameters). Although the concept of eco-effectiveness is more beneficial than that of eco-efficiency, there still needs to confirm whether distortion occurs in the result when convert the normal value into the relative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