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에서 산림작업 후 소나무의 초기 천연 경신에 (更新) 미치는 요인

        박필선(Pil Sun Park),이돈구(Don Koo Lee) 한국산림과학회 199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5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early natural regener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Seed germination, survival and height growth of the pine seedlings were examined at four experimental plots of P. densiflora forests including forest roadside. Plot:; I and III were thinned in 1992, plot B was treated with hexazinone in 1993 after seed tree method was applied in 1982 and 1989. Seedlings emerged after thinning and the rate of their emergence depended on forest floor conditions. Seedling survival was related with light conditions, herbaceous vegetation, and degrees of rainfall. More seedlings emerged in forest hauling roads than within the forest because soil scarification due to logging provided better conditions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Seed supply was enough, but germination rate was very low in the forest compared with that in the greenhouse because micro-environments such as organic layer and herbaceous plant acted as limiting factors. Weed control was needed for 4 to 5 years until seedlings grew upto about 50㎝ in height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herbaceous plants. But 10-40% coverage of herbaceous vegetation was needed to protect small seedlings from heavy rain. Forest works such as thinning and logging, over 40% of light were important factors to help the pine regeneration. However, over 70% coverage of herbaceous vegetation, and heavy rain inhibited rather survival and growth of pine seedling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우면산 등산로 주변 서양등골나물의 분포 경향

        김현욱 ( Hyon Ook Kim ),장효림 ( Yoo Lim Jang ),박필선 ( Pil Sun Park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6 No.3

        서양등골나물(Ageratina altissima)은 우리나라의 육상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외래종으로 알려져 있다. 교란지역으로부터 그늘이 지는 숲 속으로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한국에서 나타나는 서양등골나물의 분포 특성에 대해서는 양지와 음지에 대한 다양한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우면산을 대상으로 광도 및 토양 특성과 서양등골나물의 분포의 관계, 등산로 주변 서양등골나물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서양등골나물의 분포는 상대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낙엽층이 깊어지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서양등 골나물은 우면산에서 주로 등산로 주변에서 분포하고 있었으며, 특히 등산로로부터 숲으로 10m 이내에 대부분이 분포하고 있었는데(p < 0.01), 이 지역은 빛과 임상 상태가 서양등골나물에게 유리한 지역이었다. 서양등골나물은 계곡보다는 능선에서 더 많이 분포하였으며, 지형에 따른 차이는 등산로로부터의 거리 10m를 전후로 한 9m, 12m 위치에서 가장 컸다(p < 0.05). 토양의 수분함량, 석력함량, pH 등은 서양등골나물의 분포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서양등골나물이 다양한 토양 환경에 대한 적응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본 연구는 등산로가 외래종의 침입에 취약한 지역임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등산로 관리에서 외래종의 침입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을 알려주었다. Ageratina altissima is an invasive plant species known to threaten native plant communities in Korea. A. altissima is thought to invade shady forests from disturbed open areas; however, uncertainty remains as to how shade and litter depth might affect establishment. A study of A. altissima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areas adjacent to trails was undertaken at Mt. Umyeon in Seoul, Korea. Increasing densities of A. altissima were found to correlate with greater light availability and decreasing litter depth (p < 0.001) within 10 m distance from trail locations and on ridges rather than further within forests and valleys. The effects of soil moisture content, soil gravel content and soil pH on distribution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suggesting that A. altissima is adaptable to a broad range of soil conditions. Results indicate that forest areas close to trails may be particularly susceptible place to A. altissima invasion, demonstrating the need to carefully consider implications for A. altissima expansion in trail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임분 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하층식생으로 생육하는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유목의 양분 이용 특성

        권보람 ( Bo Ram Kwon ),허남준 ( Nam Jun Heo ),신호용 ( Ho Yong Shin ),김현석 ( Hyun Seok Kim ),박필선 ( Pil Sun Park ),이명종 ( Myong Jong Yi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6 No.3

        경기도 광릉의 국립수목원 내의 토양과 빛 환경이 서로 다른 낙엽활엽수림과 전나무림에서 하층식생으로 생육하는 까치박달의 자원의 획득과 이용 및 분배를 이해하기 위하여, 잎의 질소와 인 농도의 계절 변화와 재전류, 엽록소와 LMA를 조사하였다. 엽면적 지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낙엽활엽수림은 유입되는 광량이 많았고, 전반적인 토양 양분의 수준이 양호하였으나, 유효인산의 농도는 전나무림의 1/3 수준으로 현저히 낮았다. 이로 인해, 낙엽활엽수림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의 경우, 잎의 인 농도가 전나무림의 까치박달 보다 연중 낮았고, 재전류율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양 내 질소 농도는 상대적으로 낙엽활엽 수림에서 높았으나, 계절별 잎의 질소농도와 질소의 재전류율은 임분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빛의 유입이 적은 전나무림에서는 까치박달의 LMA와 엽면 적당 질소 분배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엽록소 a/b율은 낮고, 총 엽록소 함량은 높여 질소에 대한 엽록소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임분 조건이 서로 다른 낙엽활엽수림과 전나무림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이 주어진 토양과 빛 환경에 순응하여 양분의 동태와 분배의 전략적 차이를 달리하여 생육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nutrient absorption, usage and allocation of Carpinus cordata in different soil and light environments. Seasonal changes of foliar nitrogen, phosphorous, chlorophyll contents, leaf mass per area (LMA) and nutrient retranslocation rates were investigated for C. cordata saplings growing in a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an Manchurian fir (Abies holophylla) plantation in Gwangneung, Kyunggido. The deciduous forest had lower leaf area, higher light penetration, and better soil fertility than the Manchurian fir forest. However, available soil phosphorous content in the deciduous forest was only one third of that in the Manchurian fir forest, which caused lower foliar phosphorous content and higher P retranslocation rate of C. cordata in the deciduous forest than that in the Mancurian fir forest. Soil nitrogen contents in the deciduous forest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Manchurian fir forest, however, no differences in foliar nitrogen content and retranslocation rate in C. cordata between the two stands were found. C. cordata in the Manchurian fir forest with high LAI throughout a year, had lower LMA, foliar nitrogen content and chlorophyll a/b, while had higher total chlorophyll content and chlorophyll/N than that in the deciduous forest. These results implied C. cordata under different environments are using different strategies for nutrient use and allocations.

      • KCI등재

        경기도 가평 지역 조림지 내 전나무(Abies holophylla)의 분포와 천연갱신

        남광현 ( Kwanghyun Nam ),주광영 ( Kwang Young Joo ),최은호 ( Eun Ho Choi ),정종빈 ( Jong Bin Jung ),박필선 ( Pil Sun Park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3

        전나무속(Abies)은 내음성 수종으로 천이 후기 단계 또는 노령림의 주요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경기도 가평 지역은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임분이 산재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현황은 알려진 바가 드물고, 전체 산림의 상당 부분을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와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조림지가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평 지역의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주변의 전나무 임분을 조사하여 조림 수종에서 지역 자생수종인 전나무로의 천이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평군 이화리 및 산유리의 전나무가 분포하는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주변 전나무 천연 임분에서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전나무 치수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해당 지역의 조림 기록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에서 전나무의 우점치는 36.1-79.1%로 가장 높았으며, 하층의 전나무 밀도는 ha당 50-5,820본이었다. 전나무의 직경분포를 이용한 비계량 다차원척도법(NMDS) 분석 결과, 전나무 분포 특성에 따라 조사지의 임분은 4개의 유형(AN, AP, AM, P)으로 구분되었다. AN는 전나무의 직경분포가 역 J형을 보이는 전나무 천연림과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AP는 전나무 모수가 임분 내에 존재하는 조림지로 전나무가 상층과 중층에서는 조림목과, 하층에서는 활엽수와 경쟁을 하고 있었다. AM은 전나무 모수가 임분 내 존재하나 산림작업이 이루어져 밀도가 조절된 임분이었다. P는 임분 내 전나무 모수가 없는 조림지이나 인근에 전나무 모수가 있어 하층에 전나무의 갱신이 이루어지는 유형으로 전나무림으로의 수종 전환이 예상된다. 가평 지역 내 종자 공급이 가능한 전나무 모수가 남아있거나 인접한 곳에 전나무림이 위치한 일본잎갈나무와 잣나무 조림지에서 자생수종인 전나무는 천연갱신이 활발하였고 이들 조림지는 점차 전나무림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천연림 복원이나 복층림 경영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향후 전나무의 입지, 내음성과 생장 특성에 대한 정보와 이를 바탕으로 한 갱신과 관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A large part of Gapyeong is occupied by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and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plantations. Abies holophylla stands are scattered throughout Gapyeong, but little information on their distribution is available.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succession from planted species to native A. holophylla in plantations. Trees were inventoried and regeneration of A. holoplhylla and stand management history were examined in Korean pine, Japanese larch, and A. holophylla-dominated stands. The importance percentage of A. holophylla was the highest among species with a range of 36.1% to 79.1% in all stands and the density of A. holophylla in understory (DBH <2 cm or <1.3 m height) ranged from 50 to 5,820 trees ha<sup>-1</sup>.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classified stands into four types, AN, AP, AM, and P. The AN type showed a reverse J-shape DBH distribution, which was similar to that in natural A. holophylla stands. Both AP and AM types included Korean pine plantations with A. holophylla seed trees within stands. For AP, A. holophylla competed with planted species in overstory and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in understory. The AM type was once thinned from below, thus stem density in the mid DBH classes was lower than upper or lower DBH classes. The P type consisted of plantations without A. holophylla seed trees. However, understory regeneration of A. holophylla was abundant through seed supply from A. holophylla in adjacent stands. Plantations with A. holophylla seed trees within or in adjacent stands showed vigorous natural regeneration of A. holophylla, highlighting the potential for succession from planted species to native A. holophylla in the Gapyeong area. Further studies can help develop techniques to restore plantations to native species-dominated natural stands using ecological succession.

      • 중왕산 눈측백( Thuja koraiensis) 고사목의 부후에 따른 형태 변화

        장유림 ( Yu Lim Jang ),이윤호 ( Yoon Ho Lee ),정종빈 ( Jong Bin Jung ),박재성 ( Hyun Jung Kim ),김현정 ( Jae Seong Park ),성주한 ( Pil Sun Park ),박필선 ( Joo Han Sung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고사목의 부후는 숲의 구조, 고사목에 서식하는 생물이나 물질순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중왕산 지역 눈측백( Thuja koraiensis Nakai) 군락지의 눈측백 고사목을 대상으로 부후의 진행에 따른 고사목의 형태적 특성과 밀도를 조사하였다. 기존의 Thomas 고사 등급 체계에 따라 눈측백 고사목을 분류하고 각 등급별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눈측백 고사 등급에 따른 목재 밀도 변화가 고사입목(snag)과 도목(log)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목재 밀도가 고사목의 부후정도를 반영한다는 가정 하에 고사목의 물리적, 형태적 특성들을 변수로 하여 목재 밀도를 추정할 수 있는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고사목의 부후가 진행됨에 따라 나타나는 형태적 특성들은 부후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고사 등급에 따른 목재 밀도 변화 양상은 도목과 고사입목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목재 밀도를 추정하는 회귀식에서 유의한 형태적 변수들은 수간 중단부와 하단부의 잔존 수피 면적 비율, 상단과 중단부 가지 차수, 수간 하단부 가지가 붙어있는 면적 비율, 함수율, 수간 형태 등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기존 Thomas 고사 등급표를 수정하여 눈측백 고사목의 고사 등급을 제안하였다. Changes in snag as the snag is being decayed affect stand structure, organisms inhabiting the snag, and material cycl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ood density of snags and logs of Thuja koraiensis in Mt. Joongwang by the degree of decay of snags and logs. Snags and logs of T. koraiensis were classified by the decay classification of Thomas et al. (1979)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ags and logs in each class were measured. The decay pattern by decay class between snags and logs were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od density and morphological variables were investigated, assuming wood density was a reliable indicator of the degree of decay. So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the degree of decay while others were not related to the degree of decay. The variables that could be used to estimate wood density in a regression equation were ratio of bark remains in mid and lower sections of stem, branch order in upper and mid sections of stem, ratio of branch remains in lower stem, moisture content and bole form. A modified decay classification that was applicable to T. koraiensis snags and logs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