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와 『무문관』의 화두들

        박인성(Bak, In-Seo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들뢰즈는 그의 저서 『의미의 논리』에서 신라 스님 파초혜청의 화두 “그대들에게 주장자가 있다면, 주장자를 주겠노라. 그대들에게 주장자가 없다면, 주장자를 빼앗겠노라.”에 담긴 부정의 의미를 말라르메와 크뤼시포스가 말하는 부정의 의미와 나란히 놓으면서 ‘의미의 논리’에 의거해서 풀어낸다. 파초혜청의 이 화두는 공안집 『무문관』제44칙이다. 이 파초혜청의 화두를 포함한 『무문관』의 화두들을 해명하고자 필자가 들뢰즈의『의미의 논리』에서 선택한 논제들은 의미의 역설들, 비의어와 혼성어, 무의미와 부조리이다. 각 논제에 대한 들뢰즈의 설명을 정리하고 나서, 이를『무문관』의 화두들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펼쳐가고, 최종적으로 파초혜청의 화두에 대한 들뢰즈의 생각을 밝혀보았다. 의미는 생성 중인 사건이기에 역설의 관점에서 이해될 때 가장 잘 포착될 수 있다. 들뢰즈는 의미가 계열화할 때 의미의 역설이 발생한다는 점을 간취하고 이 역설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계열화로부터 의미를 떼어내어 무한퇴행의 역설, 불모의 이중화의 역설, 중성의 역설, 부조리한 것의 역설을 찾아내고 단계별로 이를 규정해 간다. 화두도 또한 역설로 이루어져 있기에 들뢰즈가 전개하는 의미의 역설들에 맞추어 파악될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서, 먼저 의미의 네 역설들을 들뢰즈가 서술하는 순서대로 이해해 가면서『무문관』의 화두들을 적용해보았다. 또, 의미가 역설로 파악될 때 가장 잘 이해되는 것은 의미가 무의미와 부조리에서 유래하고 또 이것들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음에 무의미와 부조리가 적용될 수 있는 화두들을『무문관』에서 찾아보았다. 『무문관』의 화두들을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에 의거해서 분석한 결과, 간화선 수행에 원용되는 모든 화두들을 학적 체계에 넣을 수 있는 실질적인 단서를 얻게 되었다. 무문관의 화두들은 전반적으로 역설적 심급x를 향해 있으면서도 이 심급의 어느 측면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역설적 심급x만을 이야기하는 화두(제5칙 향엄상수), 역설적 심급x 중 말x를 이야기하는 화두(제18칙 동산삼근), 역설적 심급 중 사물x를 이야기하는 화두(제43칙 수산죽비)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또 여기서 더 나아가 무의미와 의미의 구조를 이야기하는 화두(제44칙 파초주장), 무의미와 부조리를 이야기하는 화두(제26칙 이승권렴) 등이 있다는 점도 알게 되었다. Deleuze, French modern philosopher tries to solve Pachohaecheong[芭蕉慧淸]s Hwadu [話頭] in his work Logic of Sense, saying that if you have a cane, I am giving you one; if you do not have one, I am taking it away. He succeeds in catching the correct meaning of negation involved in the hwadu, along with the meaning of negation involved in Mallareme words and Chrysipposs phrases. This hwadu is the forty-fourth hwadu of the Collections of Precedent Stories[公案集], No-Door to Gate[『無門關』]. When we try to solve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including Pachohaecheongs hwadu, we can use all the topics in Logic of Sense as guidelines on the interpretation on them. But the topics that I selected in this paper are the four paradoxes of sense, the esoteric words and the portmanteau words, and nonsense and absurdity. I summarize Deleuzes exposition on each topic, and then apply it to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and lastly elucidate Deleuzes interpretation on Pachohaecheongs hwadu. Since sense is the event that is becoming, we can apprehend it in terms of paradox. Deleuze find out that the paradox of sense occurs when sense is serializing. In order to make this paradox clear, he seperates the sense from serialization and discover the paradox of regress, the paradox of sterile division, the paradox of neutrality, and the paradox of the absurd. Since hwadu is composed of paradox, it can be grasped when grasped in accordance with the paradox of sense Deleuze is stating. Therefore, we can apply these four paradoxes to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The reason why sense is grasped as paradox is because sense is derived from, and dependent on nonsense and absurdity. So I try to find from No-Door to Gate hwadus that may be applied to nonsense and absurd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Deleuzes ‘logic of sense’, I was able to attain a substantial outcome, which is as in the following. Basically, all the hwadus from No-Door to Gate is directed toward nonsense and absurdity. Most of hwadus from No-Door to Gate tell stories about the paradoxical instances, but make differences according to which aspect they are emphasized on. That is, there are hwadus that tell a story about the paradoxical instance x alone(the 5th archetypal story), ones that tell a story about word x of the paradoxical instance x(the 18th archetypal story), and ones that tell a story about thing x of the paradoxical instance x(the 43th archetypal story). In addition, there are hwadus that tell a story about the structure of nonsense and sense(the 44th archetypal story), and about nonsense and absurdity(the 26the archetypal story).

      • KCI등재
      • KCI등재

        서구 근현대철학의 관점에서 본 불교철학의 두 수행방식

        박인성(In Seong Ba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佛敎學報 Vol.0 No.55

        이 논문은 위빠사나 수행과 간화선 수행의 방식을 비교해서, 두 수행의 방식이 상이하지만 수행을 통해서 얻는 열반은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을 들뢰즈의 용어를 빌어 밝히고 있다. 위빠사나 수행은 세간적 대상을 관찰해 가는 수행인 반면, 간화선 수행은 출세간적 대상인 화두를 바로 목표로 삼아 이를 반복해 물어 가는 수행이다. 위빠사나 수행을 통해 유지하는 삼매는 찰나삼매이기에 열반을 얻을 때의 삼매가 근본삼매라고 정확히 말할 수 없지만, 간화선 수행을 통해 얻는 삼매는 물음을 통해 얻는 삼매이기에 근본삼매라고 말할 수 있다. 간화선 수행은 물음을 반복해 가면서 근본삼매를 얻었을 때 열반을 증득하는 것이기에 열반의 성격이 뚜렷하다. 해결할 길 없어 보이는 역설적 성격을 띤 문제라는 화두를 물어가면서 삼매를 심화하고, 이 삼매가 심화되었을 때 물음 자체가 역설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깨닫게 된다. 위빠사나 수행에서 일어남과 사라짐을 반복해 관찰해 가는 동안 어느 순간 일어남과 사라짐의 객관도 이를 보는 주관도 끊어지게 된다. 객관과 주관이 끊어졌다는 것은 간화선 수행에서처럼 무의미의 역설적 성격에 도달했다고 말할 수 있다. 위빠사나 수행은 세간적 대상의 일어남과 사라짐을 보아 가는 수행이고 간화선 수행은 출세간적 대상인 화두를 물어 가는 수행이기 때문에, 위빠사나 수행은 세간에서 출세간으로 가기 위한 수행이고 간화선 수행은 출세간에서 세간으로 가기 위한 수행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sameness of the nirvana`s character between two practices, that is, Vipassana practice and Ganhwaseon practice, even though the method of the two practices are different. It has been performed depending upon the terms of Deleuze`s philosophy. While Vipassana practice keeps on observing the mundane object, the Ganhwaseon practice keeps on repeatedly inquiring about hwadu or the supramundane object. The nirvana`s character in the Ganhwaseon practice is evident, because nirvana can be achieved when the absorption concentration is gained by repeatedly inquiring about hwadu. In Ganhwaseon practice, the concentration get deepened by inquiring about hwadu, or the problem of the paradoxical character, that cannot be easily solved. In Vipassana practice, while we are observing the rising and falling, the subject that has been observing and the object that has been observed disappear suddenly. We could say that the disappearing of subject and object means the paradoxical character of non-sense. Since the Vipassana practice is to keep on observing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mundane object and the Ganhwaseon practice is to keep on inquiring about the supramundane object or hwadu, we can say that the Vipassana practice is meant to go up from the mundane world to the supramundane world, and the Ganhwaseon practice is meant to come down from the supramundane world to the mundane worl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