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탈리 제레미젠코의 환경개선 프로젝트

        박윤조(Yunjo Park) 현대미술사학회 2015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8

        This essay is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Natalie Jeremijenko. She is a scientific expert and eco artist, who has also found scientific and concrete ways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health. Jeremijenko uses interactive technologies for changing the status of nonhuman. With her ecological worldview, humans and nonhuman have a symbiotic relationship. Her project, 〈Ooz〉 was the paradoxical zoo that functioned on reciprocal reactions and observations between human and nonhuman. Jeremijenko, an Associate professor in Visual Art Department, directs the ‘xCLINIC the environmental health clinic+lab’ at NYU. The artist calls modern people ‘impatient’ one in her environmental health clinic because they refuse to wait for traditional legislative change to address environmental problems. She calls public experiments and products as xDesign, such as 〈Robotic Geese〉, 〈Mussel Choir〉, 〈Amphibious Architecture〉. These are public experiments and eco-products for ‘impatient’ people to monitor their contamination of soil, water, and air. She has also set up 〈Farmacy〉 program based on social-ecological movement. ‘Farmacy’, a new urban farming system, can reduce the environmental costs and offer the remedial ecosystem. The 〈AgBags〉 are the local food movements that helps people protect and improve Biological Diversity. Environmental Health Clinic can promote awareness of environmental and health issues with communities.

      • KCI등재
      • KCI등재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 그 분투와 의미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양혜원 ( Yang¸ Haewon ),박소정 ( Park¸ Sojung ),박윤조 ( Park¸ Yunj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0 교육인류학연구 Vol.23 No.4

        본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는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2000년대로 들어서며 여성의 일과 돌봄의 사회화 그리고 일-가정 양립 논의가 확대되면서 여러 정책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그 실효성이 낮아 일부 연구에서는 여전히 견고한 성별분업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교착 상태에 빠진 듯한 여성과 일을 둘러싼 현실을 보며 대학의 교원이자 동시에 미술치료사, 미술사가, 번역가/저자라는 전문직을 가진 세 명의 연구자는 일하는 기혼 여성이 안고 있는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기 위해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세 명의 연구자는 네 가지 공통된 경험을 하였는데, 모두가 학부 전공과는 다른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전문성을 쌓았고, 자신의 직업 안에서 성별 분리 혹은 성별 직무 분리를 경험하였으며, 일-가정 양립에서 상당한 고충을 겪었고, 그런데도 저항과 분리보다는 상생과 통합을 지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이 제 일을 찾아가는 과정과 자기 일에 부여하는 의미가 어떻게 갈등을 넘어 통합을 지향하게 하는지를 보여주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n the meaning of work for professional married women with PhD degrees. Studies on women and work abound, and since the 2000s, discussions on socialization of care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took the center stage leading to various policies. However, its efficiency has been questioned leading to some studies pointing to the tenacity of the ideology of gender division of labor. Thus, three researchers of this study worked on this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in order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to the study of women and work. The three researchers of this study all work in academia but have professional backgrounds as art therapist, art historian, and translator/author. The findings show that all three changed their major in their career building, have experienced gender segregation or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ir profession, have struggled with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finally, despite such experiences all three embraced an attitude of integration rather than resist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s how the journey toward meaningful work can work toward conflict resolution and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