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공디자인 정책제안을 위한 기초연구

        박연선(주저자) ( Yun Sun Park ),이지영(교신저자) ( Ji Young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8 No.-

        국내 공공디자인 정책 및 사업은 단기간 내의 가시적 성과를 위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국가 이미지제고와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기적인 관점의 국내 공공디자인정책을 위하여 현재 우리의 공공디자인 현실을 되돌아보고 국외의 공공디자인 환경을 비교하여 국내 공공디자인에 필요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공공디자인 총괄 관리기관의 설립으로 정부 행정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다각적 접근을 통하여 공공디자인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국민참여 시스템의 개발로 공공디자인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넷째, 공공디자인 사업 사후 평가툴을 적용하여 사업의 질적 성장을 이루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장애인, 고령자, 다문화가정 등의 사회적 소수자를 배려하는 공공정책을 펼쳐야한다. 향후 본 기초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공공디자인정책 방향을 기반으로 구체화된 공공디자인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Policies and businesses for public designs in Korea just shoot for a temporary visible result. Public designs in Korea should focus on a long-term goal, boosting the country``s imag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Thus,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design in Korea was reviewed and promising perspective was drawn by comparing with that of foreign countries. Firstly, the management agency, in charge of handling everything that has to do with public design,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efficiency of governmental administration system. Secondly, the public design industry should be expanded through multilateral approaches. Thirdly, the national satisfaction with public design should be increased with a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urthly, the business should achieve qualitative growth with post evaluation tool. Finally, public policies for social minorities, such as the disabled, the old and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implemented by actively applying universal design. Detailed policy proposals for public designs would be suggested through the conclusion from the basic research.

      • KCI등재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색채감성형용사 연구

        박연선 ( Yun Sun Park ),문은배 ( Eun Bae Moon ),이지영(교신저자) ( Ji Young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지역색은 한 지역의 고유색채로 지역의 고유감성의 근거가 되고 지역사람들의 감성형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경관자원요소이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지역색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이러한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누구나 활용 가능한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하여 색채감성형용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내부 구성요소 중 하나로 사용할 색채감성형용사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과정에서는 보다 정확한 색채감성형용사의 추출을 위하여 문헌조사, 전문가집단 검증, 사용자집단 설문등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260개의 색채감성 형용사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 한국 지역색채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색채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다. 색채감성형용사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색채이미지 언어를 2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최종 선정된 260개의 언어를 각 영역에 부여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이려 하였다.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최종 대표 형용사는‘귀여운, 아름다운, 활동적인, 역동적인, 거친, 사랑스러운, 재미있는, 화려한, 오래된, 무거운, 연한, 우아한, 온화한, 중후한, 모던한, 편안한, 자연의, 세련된, 격조 있는, 깊이 있는, 순수한, 깨끗한, 경쾌한, 이지적인, 권위 있는’등이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하여 한국지역의 경관 색채계획 시 활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한국적 이미지와 색채감성을 표현할 때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지리적 색채 연구, 건축·디자인· 미술 조형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색채감성형용사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다 범용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색채감성형용사에 대한 추가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Local color is a basis for inherent emotion as a distinct color of one local area. It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for landscape resources that has an impact on establishing emotion of local people. However, the systematic data about local color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our country.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such a difficulty, we processed the research about color sensitivity adjective to develop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available to everyone.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draw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that will be used as an internal element when developing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In the research process, we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expert group verification, user group survey and so on to extract more correct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About 260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ss enable people to express not only local color image of Korea but also color images in various fields by using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have been developed to elevate the utility of the application by putting the 260 words finally selected to each area by categorizing the color image words into 25 fields to help users in using the application. The final representative adjectives used in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are “pretty, beautiful, active, dynamic, rough, lovely, funny, gorgeous old, heavy, soft, elegant, mild, gentle, modern, comfortable, natural, sophisticated, decent, profound, pure, clean, cheerful, intellectual, authoritative and so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can be used when planning Korean local landscape coloring by amounting it to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Through this, we are expecting to heighten the understanding in expressing the Korean image and color emotion. In addition, we will be able to utilize this in the field of geographical color, architecture, design, art and formative art. However, since the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from the research are drawn to elevate the utility of specific applications, we may need additional research about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for universal use.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공간 연구에 나타난 색채 연구 경향 분석

        손혜연 ( Hye Yun Son ),박연선 ( Yun Sun Park ),이진숙 ( Jin S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공간 관련 연구는 상당한 기간을 통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양적으로 많이 집적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정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실버산업의 거대화, 복지정책, 디자인, 마케팅 등이 분화되어 연구되었으며 연구가 분야별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고, 연구논문도 매우 많은 학술지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노인의 공간 관련 연구는 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의 색채연구가 미흡하다. 따라서 노인의 공간 연구에 나타난 색채 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노인의 공간 색채에 관한 국내 연구의 대상 및 내용과 방법을 밝히고, 향후 노인을 위한 공간 색채 연구의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국내학술지 논문들을 대상, 내용, 방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1995~2014년까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둘째, 실내공간의 주거환경에 대한 물리적 환경 분석에 관한 색채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특정지역의 사례분석이 상당수였으며, 기초연구보다 실무중심의 연구가 주류를 이룬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공간에 있어서 대상 및 내용이 편협하여, 다양한 공간의 연구와 취약계층을 배려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색채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다섯째, 공간 현황파악에 연구가 편중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색채 이론 및 원리의 경시로 이어지고 있어 학문의 토대를 다질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공간의 용도와 목적에 부합하는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Studies related to the space for the elderly in Korea have been diversely undertaken through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with substantial quantitative accumulation. However, the systematic analysis and arrangement on the study trend has yet to be undertaken.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silver industry has been enlarged with the classified studies for welfare policies, designs, marketing and so forth as well as the trend of having the studies undertaken in respective field. And furthermore, its research theses are scattering around a number of academic journals. In addition, the space-related studies of the elderly are lacking the color studies with respect to planning and design.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summarizing the color studies appearing in the spatial studies of the elderly in a way of indicating the subject of studies in Korea along with its contents and method and bringing out the implications in spatial color studi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academic theses in Korea by subjects, contents and methods, first, studies on the elderly have been steadily made during 1995~2014. Second, the color studies on physical environmental analysis on residential environment for internal space have been made the most. Third, a significant number was on case analyses in specific areas and it is attributable to have the main lines of practice-oriented studies rather than base studies. Fourth, subjects and contents for space were narrowly undertaken that the color studies have to be made under the universal design point of view to consider vulnerable classes along with the studies in diverse fields. Fifth, studies oriented to find out the status have been focused narrowed that it led to neglect the color theories and principles that require systematic studies to lay down the foundation of academic studies. And, sixth,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study on facilities and environment appropriate to the spatial use and purpose.

      • KCI등재

        해운대 구남로 가로환경의 색채가이드라인 제안

        이상희(Lee Sang-Hee),박연선(Park Yun-Sun)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2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운대의 관문인 구남로를 대상거리로 하여 해운대의 정체성과 쾌적성, 미래이미지 등을 고려한 환경색채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향후 해운대구청사 이전에 따른 구남로 주변 원도심 가로환경색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거리의 현황 및 여건분석”으로 대상거리의 위치 및 주변 현황, 건축물의 용도와 층수, 건축물과 가로시설물의 색채현황을 조사 분석하였고, 둘째 “해운대 이미지 평가 조사 및 분석”에서는 해운대 거주민을 대상으로 해운대의 경관 이미지, 해 운대의 미래 이미지, 해운대의 이미지 색 반영정도 등에 대해 1:1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셋째 “대상거리의 환경색채 가이드라인 제안”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조사된 해운대의 경관 이미지 분석결과를 근거로 해운대 이미지 색을 추출하고 미래 해운대 이미지에 맞는 색채를 최종 선정하여 대상거리 건축물 및 가로시설물의 색채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거리 건축물의 주조색은 동측과 서측 모두 N계열과 YR계열의 중-고명도/저-고채도에서 많이 나타났다. 신축건물의 경우는 기존 건물과 재료와 색채의 차이가 커지고 있었고 이를 통해 통일된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로시설물에는 BG, P, RP계열을 제외한 모든 색채가 사용되고 있어 이는 주변 환경과의 조화성과 쾌적성, 통일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운대 거주민을 대상으로 대상거리의 해운대 이미지색 반영정도 분석 결과, 대상거리의 환경색채는 해운대 이미지를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거리 건축물의 주조색은 N8-9, 5Y계열과 2.5Y계열의 명도 8이상/채도 2이하, 보조색은 N6-8, 5B계열과 2.5Y계열의 명도 6-8/채도 4-5, 강조색은 N9이상, 7.5Y계열과 5PB계열의 명도 3-5/채도 3-6의 색채를 제안하였다. 가로시설물의 경우는 주변 환경과 통일성 있는 가로조성을 위하여 N6이상, 5Y계열과 2.5Y계열의 명도 8이상/채도 2이하, 5B계열과 2.5Y계열의 명도 6-8/채도 4-5, 7.5Y계열과 5PB계열의 명도 3-5/채도 3-6을 중심으로 통합적인 색채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nvironment color planning direction considering the identity, comfortableness, future image of Haeundae in Gunam-ro, the gateway of Haeundae, Pusan.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a baseline data of the street environment color planning of the old town around Gunam-ro after the move of the Haeundae-gu office building in the near future. The scopes and method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s of the target street were analyzed. In this analysis, the location and environmental status, the purpose of the building and the environment color of the building and street furniture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Next,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image evaluation of Haeundae was made.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0 residents regarding the landscape image, future image and to what extent the color reflected the image of Haeundae in target street. lastly, the suggestion of the environment color planning guidelines of target street was created. The color coverage of the building and the street furniture was proposed through the selected colors from the previous step of the anylysis of landscape and future image of Haeunda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base colors of buildings of targer street were appeared often as Neutral-series, mid-high value/low-high chroma in YR-series in both east and west side. The case of the new building had a huge difference in material and color compared to the existing building, indicating that unity within the street environment was urgent and immediately required. Second, the street furniture was distributed in all colors except P and RP-series. This indicated that the comfortableness, the unity and the harmon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poor.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during the interview with the Haeundae residents, of to what extent the color reflected the Haeundae image showed that the environment color of the target street did not reflect the Haeundae image effectively. Fourth, the base color of the building of the target street suggested Neutral8-9, above value8/under chroma2 in 5Y-series and 2.5YR-series; the sub color suggested Neutral6-8, value6-8/chroma4-5 in 5B-series and 2.5Y-series; the accent color suggested color on above Neutral9, low value3-5/chroma3-6 in 7.5Y-series and 5PB-series. The case of street furniture suggested integrated color on focusing above Neutral6, above value8/under chroma2 in 5Y-series and 2.5Y-series, low-mid value6-8/chroma4-5 in 5B-series and 2.5Y-series, value3-5/chroma3-6 in 7.5Y-series and 5PB-series in order to form unity with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arget street.

      • KCI등재

        관여도별 기업이미지와 사계절 색채이미지의 상관성 연구

        남민정(Nam Min-jeong),박연선(Park Yun-sun)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4

        기업은 기업이미지와 CI색채를 통해 소비자들과 소통하며 그 속에서 기업이념과 감성을 전달하고 있다. 현재는 산업화, 정보화시대를 거쳐 감성문화시대에 이르면서 수많은 기업들이 경쟁을 하고 있으며 경쟁기업들과의 차별화를 위해 고유색채를 지정해 사용하고 있다. 이에 기업은 색채 사용에 있어 배색에 따른 기업이미지 연구가 필요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I색채에서 표현되는 기업이미지와 사계절색채이미지와의 상관성 연구’에 근거해 관여도별로 산업군을 나누어 본 후 고관여도, 저관여도에 해당하는 기업들을 사계절색채이미지와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국내 기업가치가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대표 32개의 국내기업으로 선정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기업가치가 높은 기업들에 해당하는 경우 기업이 추구하는 이미지와 색채의 연상, 상징어가 대부분 일치하였다. 둘째, 자사의 고유 CI(Corporation Identity)색채를 차별화를 두어 기업이미지 전략을 하고 있는 모습을 띄고 있지만 산업군별 사용하는 색채의 공통분모가 존재하였다. 셋째, 산업군별 색채의 사용 경향이 사계절 색채이미지유형으로 나누어지고 특징이 나타나는 것으로 결론되어 추후 사계절 색채이미지로 색채제안이 가능할 것이라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가치가 높은 기업들을 중심으로 CI색채와 사계절색채이미지와의 상관성을 살펴봄으로써 기존까지의 색채전달, 분류법에 대한 새로운 방법으로 제안 할 수 있는 툴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이번 연구를 통해 후속에 사계절색채이미지유형이 또 하나의 전달법으로 소비자들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이 되어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ompanies deliver their emotions and corporate philosophy to consumers communicating with them using company’s image and CI(Corporate Identity) color. Recently, as reached era of emotional society following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and of information, several of companies are in competition society. So that companies try to plan their strategy to differentiate them by making their company color. Accordingly, analysis of coloration is needed. On this study, based on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Image through CI color and Four Season Color Image’. Companies are categories in a group by involvement and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seasonal color image and companies which are in the high-involvement and low-involvement category. 32 domestic companies high-ranked in company value are selected as a subject. First, in case of high-ranked companies, company image aligned with association of color and symbolic words properly. Second, there exists some common colors that most group uses even though each of them is planning their strategy to differentiate them with their own CI color. Third, as company’s characteristics were able to be categorized into a group in the way of four-seasonal image type, it is expected that four-seasonal color image would be widely used in Suggestion of Color in the futur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e fact that this research made a new tool to an existing color communication tool and by investigating correlation between CI color and four-seasonal color image focusing on high-value companies. With this study of four-seasonal color categorization, hope to four-seasonal color type would be used effectively in a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색채조명에 따른 넙치의 성장변화 연구

        고경란(Ko Kyung-ran),박연선(Park Yun-sun)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3

        최근 WTO (세계무역기구, World Trade Organization), FTA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 DDA (도하개발 어젠더, Doha Development Agenda)협상 등 일련의 국제화에 따른 대외적 환경변화는 국내 수산업 및 제주지역의 수산업 전반에 걸쳐 무한 경쟁시대에서 생존하기 위한 전략들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일부 수산물인 경우, 이미 오래전부터 저가의 수입 수산물과 경쟁해야 하는 실정에 놓여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지역의 넙치양식은 대내?외적으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제주지역의 1차 산업 중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업종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제주지역은 국내 다른 지역과 달리 청정 지하해수를 활용한 연중양식이 가능하며, 넙치생산을 위한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 곳으로 국내 양식 산업에서 55.9%의 비중을 차지하는 수준으로 국내 양식 산업 및 제주지역 경제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 제주지역의 1차 산업 중에서도 그 규모가 큰 양식 어류의 성장에 있어 양식장 수조 조명의 색을 이용하여 어류의 성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LED(Light Emitting Diodes) 조명을 이용하여 40g 크기의 넙치를 각 수조마다 100마리씩 넣어 일주간 간격으로 9주 동안에 넙치의 성장을 측정하여 조사를 하였다. 앞서 언급한 양식장 수조의 조명은 LED 조명으로 Red, Green, Blue, Yellow, White 등 다섯 가지로 색채 조명에 따른 넙치의 성장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Green 조명색이 Red 조명색의 넙치보다 성장률이 30% 이상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다섯 가지의 색으로 구분된 조명 중에서 Green 조명이 넙치성장에 가장 유효하였으며 Blue, White, Yellow, Red 조명 순으로 성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여러 가지 조명에 대한 실험을 토대로 친환경 사육기술(飼育技術) 개발과 사료의 섭이촉진(攝餌促進) 등의 인위적인 환경조절을 통하여 양식넙치의 생산기간을 단축하고 더 나가서 빛의 색에 따르는 성장의 어류뿐만 아니라 식물과 동물 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due to a series of globalization trends such as WTO, FTA, and DDA have demanded that the fishery industry in Jeju and Korea seek strategies to survive in this era of unlimited competition. In particular, some fishery products have long competed against low cost imported products. Nevertheless, flatfish farming in Jeju has been competitive at home and abroad and has a heavy weight as a primary industry in Jeju. Unlike other provinces in Korea, flatfish farming in Jeju is possible throughout the year using clean ground seawater and Jeju has the optimal environment for flatfish production. Therefore, flatfish farming has made up 55.9% in Korean aquaculture industr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aquaculture industry and Jeju econom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hatchery fish which has a large part in the primary industry of Jeju. It studied the growth of hatchery fish using the color lighting of fish tanks. The study was done for 9 weeks on five fish tanks using 5 color LED (Light Emitting Diodes) lightings Red, Green, Blue, Yellow, and White. 100 flatfish of 40g were put in each fish tank. It examined the effects of 5 color LED lightings on the growth rate of flatfish. As a result, flatfish under green lighting showed a more than 30% higher growth rate than those under red lighting.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among 5 color lightings, green lighting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growth of flatfish followed by blue, white, yellow, and red lighting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on various color lightings could be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breeding technology. Also, it could have an effect on reducingthe production period of hatchery flatfish by adjusting the environment like stimulating feeding. Moreover, this research could motivate relevant research on plants and animals.

      • KCI등재

        감성어휘에 따른 색채 이미지 연구

        김미리(Kim, Miry),박연선(Park, Yun Sun) 한국색채학회 202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6 No.2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and increase the value of practical use of Color Image Scales, it is important to collect objective data on the connection between color and emo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improve color-emotional adjectives connections reflecting the trend of the times, this study aimed to derive the new color palette of emotional adjectives and suggest the range of color images representing the words. For the study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66 color experts. Respondents selected 5 appropriate colors from Hue & Tone 120 Color Chart for a total of 8 emotional adjectives: modern, natural, romantic, wild, dynamic, classic, casual, and chic.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in a multiple response count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lor selection for all emotional adjectives was different from the IRI index and showed wider distribution than IRI. This implicates, unlike the past, when sensibility and cultural universality were simply formed by mass media, a diversification of emotional empathy and tastes following the recent increase in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new media, which requires improvements on the Color Image Scales. Although there are limits on the characteristic bias of the expert group and the number of emotional word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gap between the existing index and opinions of color experts were empirically verified, which rises the discussion for the effective Color Image Scales improvement that can increase future utilization of the index.

      • KCI등재

        부산 색채마을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환경색채 가이드라인 설정

        이상희(Lee, Sang Hee),박연선(Park Yun-Sun)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3

        본 연구는 부산 중구 대청동 산복도로 일원의 색채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의 정체성, 쾌적성을 증진시키고 거주자가 만족할 수 있는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대상지 건축물의 색채현황을 조사 분석하였고 둘째, 대상지 환경색채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거주자와 비거주자를 대상으로 SD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거주자에게는 컬러챠트를 보여주고, 건축물 색채를 재선택할 경우 선호색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셋째, 이전 단계에서 조사된 거주자 선호색을 분석하여 색채를 추출한 후, 부산 경관색채계획 해안산지권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 각각의 권장범위에서 나타나고 있는 색채와 동일조화를 이루는 색채를 최종 선정하여 건축물의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색은 주로 R,YR,Y,GY,BG,PB계열 중고명도/고채도의 색채가 80%이상을 차지하였고 동적이면서 경쾌한 느낌이 들었다. 둘째,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환경색채특성 분석 결과 거주자들은 현재 대상지 환경색채에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 비거주자들은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다. 환경색채에 대한 거주자들의 낮은 만족도는 주거환경으로서의 문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거주자 선호색은 B,Y,YR,GY,RP 순위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지 건축물의 주조색은 YR,Y계열 고명도/저채도, 보조색은 YR,Y,GY계열 중고명도/저중채도, 강조색은 YR,Y계열 저중명도/저중고채도의 색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은 향후 부산 원도심 산지변 주거환경개선지구의 색채선정 기준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Color Planning Guideline for Color Village around Sanbok Road, Daechung-dong, Joong-gu, Busan to enhance its local identity and provide its residents with a more comfortable and satisfying residential environment. To accomplish this, first, the current color of the buildings in the target area was analyzed. Then to characterize the environment color of the target area,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as conducted with both residents and non-residents. Local residents were provided with a color-chart to select their preferred colors in the event the color of the building was re-selected. Then, using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above survey, which depicted the residents" preferred colors, the appropriate colors that would work in harmony with the colors found within the Busan Landscape Color Scheme, specifically within the Coastal Mountain region, were chosen for the improved Environment Color Planning Guide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ver 80% of the colors of the buildings in the target area were accounted for in mid-high value/high chroma color in R,YR,Y,GY,BG,PB-series. The colors fostered a dynamic and lively atmosphere. Second,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and non-residents revealed that while the current environment color was rated low by the local residents, it was rated positively by non-residents. The analysis proved that the low satisfaction experienced by the area"s very residents was a problem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target area. The residents" preference of colors appeared in the rank of B,Y,YR,GY,RP-series. Third, The high value/low chroma colors in YR,Y-series were suggested as the base colors of the buildings in the target area, the mid-high value/low-mid chroma colors in YR,Y,GY-series as the sub colors, and the low-mid value/low-high chroma colors in YR,Y-series for the accent colors. The Environment Color Planning Guideline presented in this study expected to be used as a crucial referenc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districts of the old town of Busan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