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에서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의 내용구성에 대한 고찰

        박순용(Pak, Soon-Yong)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미래교육학연구 Vol.21 No.1

        지구촌 시대인 오늘날 다문화 교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문화적 다원성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문화의 공존방식의 모색, 그리고 문화 간 소통에 대한 노력은 대학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가치 있는 교육목표가 되어야 한다. 즉 21세기의 대학교육은 서로 다른 문화들 간의 상호 이해와 존중을 교육함으로써 보다 높은 인간적 이상을 지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이해교육(global awareness education), 문화인류학, 문화학 등의 과목들을 대학 교육과정 내에서 확충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교육적 접근은 자문화중심주의로의 몰입이나 문화적 무정부주의를 동시에 경계하며 개인의 다문화적 감수성을 제고하는데 일조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사고의 유연성과 간문화적(inter-cultural) 소통역량을 배양할 수 있다. 바로 이 점이 글로벌시대의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들의 교육적 지향점이 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universities, particularly in the area of post-secondary level curricula, should respond to the nee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n age of global community, universities should . pursue the kind of education that promote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ter-cultural understanding, mutual tolerance, and ultimately co-prosperity based on mutual acceptance between different peoples. Universities in the 21st century should design its curricula so that they can realize such ideals. For instance, subjects such as global awareness education, anthropology, culture studies, etc. can be expanded and elaborated within the existing university curricula to accommodate multi-cultural sensitivities. Such an approach will enable the students to develop appreciation for other cultures as well as a flexible and open mind that allow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to fully bloom in the ever-changing global context.

      • KCI등재

        공대 대학원생의 대학원 생활 및 진로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박순용(Soon Yong Pak),김아람(Aram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7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국내 공대 대학원에 재학 중인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대학원 생활과 진로문제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상위권 연구중심 대학 두 곳의 석사과정에서 공부하고 있는 13명의 연구 참여자들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들의 학업과 연구경험이 곧 생활경험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공대 대학원에서의 대학원 생활 전반에 대한 다양한 내러티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대 대학원의 교육 및 연구 환경이 개선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지향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원 진학을 고려했던 시점에서의 고민부터 대학원에 진학하여 경험한 대학원에서의 수업 및 연구실 생활, 그리고 이후의 진로계획까지를 심층면담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국내 공대 대학원이 최적의 교육 및 연구 환경을 갖추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내부적인 요소들을 재학생들의 관점에서 구체적인 경험사례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연구와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재정적 지원, 대학원생의 인권을 보장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제도적 지원, 대학원생의 연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유연한 수업설계 및 다양한 강좌개설 등 국내 대학원 진학을 위한 유인책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ves and career paths of graduate students in the engineering fiel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narrative data. In-depth interviews with 13 research participants enrolled in master’s programs in engineering at two prestigious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in Seoul were interviewed. Under the premise that their life experiences coincide with their study and research experiences, we collected data on a wide range of experiences of 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to find a detailed and feasible plan to improve the education and research environment in graduate engineering programs. In the process, we learned what life as engineering graduate student is like, and also about their career plans. The implications suggest that there needs to be consideration for several internal factors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research and study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re is a need for financial support to concentrate on their research and study, systematic support on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the graduate students and providing them with emotional well being, and flexible course selection with diverse practical courses that aid research, among many other needs. Meeting such needs will increase the desirability to enter the graduate engineering program.

      • KCI등재

        이주난민으로 살아가기에 대한 경험의 탐색: 콜라지의 분석방법에 기초한 현상학적 연구

        박순용 ( Soon Yong Pak ),서정기 ( Jung Ki Se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4 교육인류학연구 Vol.17 No.3

        부득이한 상황에 내몰려 친숙한 환경을 떠나 난민이라는 생소한 신분으로 낯선 땅에 발을 딛게 된 이들의 고통과 어려움은 쉽게 이해되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 입국한 난민들의 경험을 살펴보고 특히 한 인간으로서 난민이 되어 산다는 것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A국가 B민족 출신으로 한국에서 체류하고 있는 난민인정자, 인도적 체류허가자, 난민신청자, 소송중인 난민신청자 중에서 몇 명의 제보자를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개인적 속성보다는 전체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된 속성을 도출하는데 초점을 맞춘 콜라지(Colaizzi)의 분석방법을 기초로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의 ‘난민으로 살아가기’ 경험의 본질은 7개의 주제묶음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이들이 한국사회에서 난민으로 살아가면서 중첩된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동시에 그들이 피해자나 치유의 대상자로만 스스로를 인식하는데 머물지 않고 ‘감내하는’ 것과 함께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Studies on refugees who come to Korea, which are rare to begin with, have mostly focused on the overall situation of their influx and trend. However, the difficulties and suffering of those who are forced to relocate to an unfamiliar land due to inevitable circumstances beyond their control cannot be easily comprehended or portrayed. In this study, we wish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refugees who have come to Korea in order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becoming a refugee and having to live life as one.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ral refugees from A country and B ethnic group who reside in Korea and who are undergoing various stages of refugee status. We utilized the Colaizzi analysis method in order to conduct phenomenological study that focus on the commonalities of the informants rather tha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 that the essence of experiencing ``life as a refugee`` comprised of seven thematic categories from which we could infer the multi-layered distress of refugees living in Korea. At the same time, we discovered that these refugees did not languish in their situation as victims or subjects in need of healing, but lived their lives as active and independent persons.

      • KCI등재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

        박순용 ( Soon Yong Pa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9 교육인류학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미국 중서부 지역의 3개 주(Michigan, Indiana, Wisconsin)에서 11개교에 수학 중인 청소년 31명을 ‘일반가정 남·여 청소년’과 ‘저소득층 가정 남·여 청소년’의 총 네 개 집단으로 나누어 질적 네트워크 분석(Qualitative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고, 연구대상자들이 구성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의미와 사회성 발달의 연관성을 탐구하였다. 연구대상을 네 개의 집단으로 나누는 것과 동시에 연구영역 역시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개 영역(가족, 친구, 학교 및 연구대상자 지정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자 네트워크 차트를 완성시키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네트워크 주체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한 자의적인 해석을 유도한 결과 청소년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해낼 수 있었고 이들의 사회성 발달을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방법론적 의의는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가시화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성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한 것이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This study utilizes Qualitative Network Analysis(QNA) to look at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dolescents who residing in the Mid-west region of the U.S.A.(Michigan, Indiana, Wisconsin). In all, 31 students attending 11 different schoo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using male, female, low-income family background, average/affluent family background as criteria. The informants were given a social network chart to fill out, which was used as a basis for the follow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QNA allowed the researcher to see what kind of contacts found entrance into someone`s network and where they were placed according to their relevance. QNA was found to be a useful method to gain insight into how adolescents evaluate themselves and their social environment. The interview data from the QNA enabled the researcher to gather information on the structural description of social relations, and by analyzing the network ego`s network of contacts, the research yielded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network.

      • KCI등재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적 특징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적 가치의 탐색

        박순용 ( Soon Yong Pak ),장희원 ( Hee Won Chang ),조민아 ( Mi Na Ch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0 교육인류학연구 Vol.13 No.2

        자문화기술지는 기존의 문화기술지, 내러티브 탐구, 생애사 연구와는 달리 자전적(autobiographical)으로 주관성이 가미된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글을 구성하고, 사회, 문화, 정치적으로 연결지어 해석하며, 문화기술지적(ethnographical) 방법이 차용되는 특성을 포함하고 있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아직 우리나라에 생소한 자문화기술지를 소개하고 자문화기술지의 발달 과정과 역사, 방법론적 가치, 그리고 교육인류학과 교사교육, 상담교육과 같은 학문 영역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자문화기술지 고유의 방법론적 특성과 선행연구를 통해 발견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문화기술지의 종류를 소개하고 연구 방법 단계에 있어서 주제선정, 자료수집, 자료 분석 및 해석, 글쓰기의 특징적인 면면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교육인류학 및 교육학 영역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contributions of autoethnography in the fields such as anthropology of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counseling education. Autoethnography is a rigor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differs in its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from other methods such as ethnographic research, narrative inquiry, and life-history research. Autoethnography utilizes ethnographic methods to bring cultural interpretations to the autobiographical data of the researcher with the intent of understanding the self and its connection to others, thereby enabling in-depth cultural understanding of self and other. This paper will present practical guidance for conducting autoethnographical research by providing examples of existing literature, as well as clarifying the value and pitfall of autoethnography. It will also be shown that autoethnography has much to offer to social scientists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those concerned with raising cross-cultural understanding in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 KCI등재

        북한이탈대학생의 진로 코칭 참여와 전환적 경험에 대한 연구

        박순용(Soon Yong Pak),홍현(Hyun Ho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5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진로 코칭(career coaching) 참여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코칭 과정을 통해 본인들이 체감하는 변화와 성장에 대해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대학생들의 생애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진로 코칭 전과 후에 어떠한 전환적 경험을 하는가를 중심으로 일에 대한 의미 생성과 관점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코칭이라는 지극히 개인적인 소통방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게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남한 입국 후에 신속하게 일에 대한 의미를 새롭게 구성해나가고 이를 적응의 주요과제로 인식하였다. 이들에게 북한에서의 일은 선택의 여지없이 주어지는 것으로 받아들여졌으나 남한에서의 일은 선택권을 갖고 하고 싶은 일을 주도적으로 한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라 능동적으로 일하기 위한 역량개발과 본인에게 적합한 일을 찾는 과정에 대해 희망과 부담감을 동시에 가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진로 코칭 전, 후의 전환적 경험에 대해 연구참여자들의 자기성찰을 통한 변화와 그 과정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자기 주도성이 강화되는 경험을 했다. 둘째, 진로 영역 외의 어려움이 해결되는 경험을 했다. 이러한 과정 가운데 코치의 존재는 기능적 조력자 이상의 정서적 지지자로서 변화의 경험을 유도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benefits of career coaching for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 refugees and find out how such experiences had changed their perception about work and about themselves. For such purposes, their changing concept of ‘work’ due to their migration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is highlighted. The comparative conceptualization of work reflected in their comparative transformative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career coaching process was also analyzed in-depth.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work in North Korea was deemed to be unavoidable and passive. On the other hand, work in South Korea meant ‘doing what you want’ and realizing your potential. With regard to the comparative transformative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career coaching experiences, they experienced an increase in self initiativ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experienced finding solutions to life problems related to their career path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career coaching, the professional coach was seen as someone who listened to them, and tried to understand them as peers without judgement. Overall, the coaches brought about huge positive changes in the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대기업 정규직 여성 비서직무 경험자들의 경력전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수연(Lee, Su-Yeun),박순용(Pak, Soon-Yong) 한국비서학회 201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대기업 정규직 여성 비서들의 비서직무와 경력전환 경험을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경력전환을 시도하게 된 동기요인과 경력전환 전과 후에 겪게 되는 어려움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기업 정규직 여성 비서들의 경력전환의 체험과정을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질적 사례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력을 전환한 전직 비서 5명과 현직 비서 3명으로 구성된다. 심층면담은 예비조사와 본조사 2차례를 실시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비서들이 경력전환을 시도하는 동기요인은 업무적 특징 및 한계, 사회적 인식,지속적인 스트레스, 상사의 짧은 임기, 비서의 근무수명 및 직급체계, 상사와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전환을 시도하기 전에 겪는 어려움으로는 경력전환 프로그램의 부재, 목표와 비전 설정의 미흡, 경력전환의 실패와 심리적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전환을 시도한 이후에 겪는 어려움으로는 업무적인 어려움과 구성원들과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비서 개인의 노력과 더불어 조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경력을 관리하고 지원해 주어야 더욱 효과적인 경력전환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female full-time executive assistants’ career transition process. It attempts to clarify the difficulties faced by female full-time executive assistants employed at major corporations before and after their career transition, including the reasons and motivations for their career transitio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narratives of their work and career transition experiences, this case study looks at the entire career transition proces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five former executive assistants who changed their careers, and three currently employed executive assist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wice, with preliminary interviews followed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ivations behind the executive assistants’ career transition ar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job, social prejudice, continuous stress, executives’ short tenure, limitation in the rank system, relatively short tenure of executive assistants, and conflicts with the executives. Second, a lack of career transition programs, inadequacy of goal setting and vision building, possibility of failure at career transition and psychological stress were found to be the main difficulties faced by the executive assistants prior to their attempts at career transition. Third, the former and current executive assistants surveyed in this study claimed that work-related stress and trouble with co-workers are the main difficulties at the post-career transition stage. In light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career transition can be made more effective when it is managed and support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s well as at the individual level.

      • KCI등재

        전문비서의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손숙(Sohn Sook),박순용(Pak Soon-Yong) 한국비서학회 200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7 No.2

        조직시민행동은 조직 내에서 개인이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 수행뿐만 아니라 구성원, 집단, 조직과 상호작용하면서 조직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수행하는 자발적이고 기능적인 행동을 의미한다. 즉 조직시민행동은 공식적인 보상을 받는 행위는 아니지만 조직이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데 기여하는 개인의 업무 외 행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체 전문비서들에게 있어서 조직시민행동이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는지를 직무만족도와 관련해서 살펴보았다. 직무만족을 9개의 하위요인(임금, 승진기회, 상사, 복리후생, 보상, 업무, 동료, 업무 절차, 조직 내 의사소통)과 관련해 조사해 본 후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인 네 가지(충성 및 참가, 이타행동, 자기개발, 관계지향)를 중심으로 비서의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기업체 전문비서의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 간에 상관성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직무만족도를 고려한 조직시민행동이 극대화될 수 있는 환경조성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기업체 비서직 종사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이끌어내는 환경조성은 장기적으로 기업의 조직 구성원들 간의 원만하고 원활한 협력관계 조성에 도움이 되어 기업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이는데 일조할 것이다. This study looks at the job satisfaction of professional secretaries in enterprises in relation to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OCB can be understood as voluntary extra efforts on the part of the individual employee that go beyond the assigned tasks for the benefit of the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CB among the secretaries that would in the long run improve overall organizational efficiency. The process of the study involved nin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wages, chance of advancement, superior, benefits, reward, duty, colleague, procedure of duties,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ypothetically having influence on four factors of OCB(Joyalty and participation, altruistic behavior, self-improvement, relative orienta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professional secretaries in enterprises has positive influence on OCB. The research was conducted utilizing on-line survey data from professional secretarise in Seoul and on-line community member sites for professional secretaries in enterprises.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to 308 secretaries all of whom respond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such factors as superior, collea밍Ie, and communication. while it was low in factors such as chance of advancement, wages, and reward. Overall, there was a noticeabl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CB. Higher job satisfaction invariably led to higher chance of OCB. The implication from this study suggests that enterprises need to provide a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seσetaries job satisfaction that will lead to OCB, which ultimately will benefit the group.

      • KCI등재

        한국과 캐나다의 교원보수체계 비교 연구

        김라나(Kim Rana Ran),박순용(Pak SoonY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의 교원보수체계의 비교를 목적으로 제도적 차원뿐만 아니라 교사처우와 교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양국 현직 교사들의 직업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양국 교원보수체계의 지향점 및 이와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비교했다. 연구 결과 몇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보수체계의 운영철학에서 한국은 국가 경쟁력 차원의 효율성을, 캐나다는 개인 위주의 능력계발을 중시했다. 둘째, 양국의 교원 보수체계의 공통적인 목표는 평등지향적인 합리적 교원보수제도의 확립이다. 그러나 평등에 대한 입장에서 한국의 경우 일반 공무원과의 형평성이 강조된 반면에 캐나다의 경우에는 성평등이 주로 거론되었다. 셋째, 교직에 대한 태도에서는 보수체계를 중심으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한국의 경우 교직은 안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선망되는 직업이지만 진입장벽이 높고 보수체계가 상대적으로 경직되어 있었다. 반면에 캐나다의 경우 교직으로의 진입이 용이하고 보수체계가 유연하지만 이직 또는 겸직에 대한 고려가 빈번하고 사회적 지위가 유동적이라고 인식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recognition of teachers’ treatment and teaching profession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eachers’ remuneration systems in the Republic of Korea(hereafter, Korea) and Canada.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rientation of teachers’ remuneration systems in both countries and perception of teachers, the following differences were found. First, in terms of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the remuneration system, Korea emphasized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dimension, while Canada focused on the interrelationship with development of individual-oriented competency. Second, although the remuneration systems for teachers in both countries are quite different, they have aimed at establishing a reasonable remuneration system, which considers equality in common. But the position on equality was differ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 equity was considered by comparing the pay scale with those of other government employees, while equity in Canada mainly had to do with gender equality. Third, the teachers of both countries regarded the sense of duty and ethics as important qualities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y recognized the social safety net as an indicator of their social statu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the teaching profession. In Korea, it was deemed to be a stable and socially desirable profession, but the entry barriers were quite high and the remuneration system was relatively rigid. In Canada, on the other hand, it was easy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remuneration system was far less rigid. But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quit or take a second job, and their social status fluctuated.

      • KCI등재

        학교 밖 교육복지공동체의 실천적 의미

        김지연(Kim, Ji Youn),박순용(Pak, Soon-Yong)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농촌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된 학교 밖 교육복지공동체의 실천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빈곤층 청소년들의 교육소외를 치유하고 교육적 성장을 도모하는 학교 밖 교육복지공동체 활동가들의 교육복지 실천원리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밖 교육복지공동체인 C네트워크의 활동가 4명과 청소년 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1) 학교 밖 교육복지공동체 실천을 위한 전제조건, (2) 교육소외를 치유하는 수업의 원리, (3) 학교 밖 교육복지공동체 지속적 실천원리, 등 각각 주제별로 분석되었다. 첫째, 학교 밖 교육복지공동체 활동가들은 빈곤층 청소년들의 교육적 성장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무조건적 환대와 보호를 중요시하였다. 둘째, 활동가들은 청소년(학생) 중심, 대화 중심, 경험과 과정 중심, 상호적 관계 중심의 수업 원리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빈곤층 청소년들과 교육적 관계를 구축하여 빈곤층 청소년들의 교육소외를 치유하고자 했다. 셋째, 인정의 원리와 성찰의 원리는 활동가들이 교육복지를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원동력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내외의 교육복지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out-of-school educational welfare community that was formed voluntarily in a rural area. More specifically, we wanted to find out the principles of educational welfare practices for out-of-school education and welfare community activists who worked to address the issue of the educational exclusion of poor youths and to promote their educational growth. To this end, four activists and two youths from the out-of-school education and welfare community ‘C Network’ had been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nalyzed on a subject-by-subject basis, including (1) the prerequisites for the practice of out-of-school education welfare community, (2) the principle of lessons to address education exclusion, and (3) the conditions for sustainability in out-of-school education welfare community practices. First, out-of-school education and welfare community activists valued unconditional hospitality and protection as a prerequisite for the educational growth of underprivileged youths. Second, the activists tried to build educational relationships with poor youths and address the educational exclusion of the poor youths by implementing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principles of student-centered, conversational, experiential, and relationship building activities. Third, the principles of recognition and self-reflection were working as a driving force for activists to continue to practice educational welfar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main point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support the practice of educational welfare in and out of th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