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분소유자의 임시관리단집회에 관한 고찰

        박세창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5 집합건물법학 Vol.15 No.-

        Amendment 「Aggregate Buildings Law」, relaxes for the convening requirements, in more than one-fifth of division owner, of the extraordinary convocation of management association. And previously, if the manager does not fulfill the convocation notification procedure, although division owner who claims the convocation was so that it may convene a convocation of management association by his request, but as the revised law, he may convene it with the permission of the court. Also is documented the right of rescission of determination lacking the convocation and determination requirements. These, purpose of revised law is to realize the convocation right of a extraordinary convocation of management association of division owner, and to minimize the conflict, caused by determination lacking requirements. If so, does the intent of the amendment is consistent with the management reality. In this paper, we analyze convened claims of a extraordinary convocation of management association of division owner and it’s requirements on the amended law, to complement their problems. 개정 「집합건물법」은 구「집합건물법」이 구분소유자에 의한 임시관리단집회 소집 요건에 대하여 구분소유자의 5분의 1이상으로서 의결권의 5분의 1이상으로 한 것을 구분소유자의 5분의 1 이상으로 완화하고, 집회소집권자를 관리인이 소집통지절차를 밟지 아니하는 경우 소집을 청구한 구분소유자는 관리단집회를 소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소집을 청구한 구분소유자가 법원의 허가를 받아 소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집회소집 및 결의요건을 결한 결의에 대한 취소권을 명문화한다. 이와 같은 개정법의 취지는 구분소유자의 임시관리단집회소집을 현실화하고, 요건을 결한 결의의 다툼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그렇다면, 개정법의 취지는 집합건물의 관리현실과 부합하는 것인가 문제된다. 본고에서는 개정법상 구분소유자의 임시집회소집청구권 및 집회소집권의 요건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제시함으로써 관리사무집행에 원활과 입법에 참조토록 하였다.

      • KCI등재후보

        집합건물의 대지공유관계와「집합건물법」제11조의 적용

        박세창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3 집합건물법학 Vol.12 No.-

        The Aggregate Buildings Law state a use and beneficiary right of common parts of the Building, but not that of Land Area(Article 11). Than, how can distinguish between 'Right to use Land Area' of the 'Aggregate Buildings Law' and 'Right of Land Area' of the 'Real Estate Registry Law', and for using and profiting of land area of a building is not only this article, but also 263 of the 'Civil Law'. In this paper, define that The Land Area Right is a officially in register announced Right, which can't be separated from Exclusively Owned Part to dispose among the Right to use Land Area. And for a use and beneficiary right of the Land Area of a Building to own the Exclusively Owned Part should be applied article 263 of the 'Civil Law'. 집합건물의 공유대지사용권의 분쟁에 관하여 판례는「집합건물법」제11조에서 “공유자는 공용부분을 그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라고 규정한 것을 유추 적용하여 집합건물의 대지사용권의 공유관계는「민법」제263조의 적용을 정면으로 배척한다. 그렇다면, 집합건물의 대지사용권의 공유관계에「집합건물법」제11조를 적용하여「민법」제263조의 적용을 배척할 수 있는가. 본고에서는 「집합건물법」의 체계와 준용규정, 제11조의 취지, 점유권원의 성질 및 「집합건물법」제3절 제22조의 취지 등을 고찰하여 판례 적용의 부당성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요양급여기준위반의 진료행위와 불법행위의 성립: 특히, 원외처방의 불법행위성립을 중심으로

        박세창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경희법학 Vol.48 No.1

        Since the separation of pharmacy and clinic. up to May 2007, had been inspected, if a medical off-prescription, that a doctor belonged a medical institution have issued to his patient, is wrote out to exceed the range of authorized criterion,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to prevent hospitals from using unnecessary medicine. And as a violation of the authorized criterion, exceeds the portion of the medical care expenses are restituted as a unfair profits. But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were invalid, as follow reasons;An obligator by unfair profits on article 52, Clause 1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Law must be ‘a person or institution who get expenses by fraudulent means’. however, the medical institutions(a pharmacy, etc) not have any profits, but also by oneself use any fraudulent means. After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deduct from the next medical care expenses to insist on his right of setoff against the indemnity bond based on the tort(as a violation of the authorized criterion). If so, is such a redemption as a indemnity bond on the law of tort(Article 750 of the Civil Law) of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justifiable? and if it could be, may can be uniformly set off by medical care expenses bonds of medical institutions? It has been the subject of discussion. In this dissertation, considered about legal nature of medical care expenses bonds and propriety of exercising a right of setoff as a redemption on article 750 of the Civil Law in order to protect medical care expenses claim of medical institutions.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 제1항은 부당이득의 징수라는 표제로 “공단은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를 받은 자 또는 보험급여비용을 받은 요양기관에 대하여 그 급여 또는 급여비용에 상당하는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징수한다.”라고 규정한다. 이와 같이 「동법」은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으로 요양기관에 지급된 요양급여비용을 「민법」 제741조 부당이득에 근거하여 환수토록 한다. 그러나 의약분업의 실시로 요양을 급여한 자와 요양급여비용을 받은 자가 각각 분리됨으로써 동조 근거에 의한 환수에 한계를 가져왔다. 그러자 건강보험공단은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제 새로운 법리로서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에 근거한 손해배상채권으로 환수한다. 그렇다면 과연 요양기관의 요양급여기준 위반의 요양급여는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성립으로서 위법한 요양급여로 되고, 또한 심사평가원의 이와 같은 판단은 불법행위 성립으로 단정되어 「건강보험법」 제52조 제1항에 의한 환수 근거로 될 수 있는가 문제된다. 그리하여 이 논문에서는 「건강보험법」상 ‘요양급여기준’의 법적 성질을 중심으로 그 위반의 요양급여에 대한 불법행위의 성립을 크게 위법성, 입증책임, 손해와 손해의 발생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건강보험법」 제52조 제1항에 의한 환수 근거로의 타당성 여부를 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건물의 구분행위와 구분소유권의 성립

        박세창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3 집합건물법학 Vol.11 No.-

        On the Aggregate Buildings Law(ABL), Article 1. provides that, ‘when several parts of a building is used independently on structural accept, each part can be the object of ownership in accordance with this law’ ABL provide that each part, independently divided, can be the object of ownership, under the premise that could be used independently as a building. To be the Divided Ownership, first of all each parts of a building, on a structural specific divided, should be used as a separate building, and should be a Division Action on the Building, for the purpose of purchase the Divided Ownership of the physically separated part of the building. In this regard is consistent with. But there are disagreements on a meaning of Division action on a Building that is required separate to the physical independence. So cause confusion on the decision existence time of the Divided Ownership and the Right to use Land Area. In this paper, present an opinion about significance and a property of the Division action on a Building, as a necessary requirement of a Divided Ownership or existence of an Aggregate Building and existence time of the Divided Ownership. 「집합건물법」 제1조는 “1동의 건물 중 구조상 구분된 여러 개의 부분이 독립한 건물로서 사용될 수 있을 때에는 그 각 부분은 이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각각 소유권의 목적으로 할 수 있다.”라고 하여 1동의 건물을 구조상 구분된 여러 개의 부분이 독립한 건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전제로 그 각 부분을 각각 소유권의 목적으로 할 수 있음을 규정한다. 따라서 동조에 의한 건물의 구분소유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물이 구조상 구분된 여러 개의 부분이 독립한 건물로서 사용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물리적으로 구분된 건물부분을 각각 구분소유권의 객체로 하려는 구분행위가 있어야 한다는데 학설․판례가 일치한다. 그러면서도 집합건물 또는 구분소유권의 성립요건으로서 건물의 물리적 독립성과 별개로 요구되는 건물의 ‘구분행위’란 어떤 행위를 의미하는가에 대하여 일치된 견해를 보이지 못하고, 이로 인한 구분소유권의 성립 및 대지사용권의 성립시기에 혼선을 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집합(구분)건물의 성립 또는 구분소유권의 성립요건으로서 구분행위의 의미와 성질 및 구분행위에 따른 구분소유권의 성립시기를 지금까지의 학설과 판례를 고찰하여 필자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집합건물의 공유대지와 분할방법에 관한 소고 -「집합건물법」 제7조 매수청구권의 원용을 중심으로 -

        박세창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2 집합건물법학 Vol.10 No.-

        When a building as the subject of divided ownership belonging on a Land Area, a joint owner of the Land Area, within necessary area to use the building, may not claim for it’s division.(Article 8. of 'the Aggregate Buildings Law') states prohibition of separate disposal and the article 8. states prohibition of division within the scope of necessary to usually use. As to try to secure the basis of the existence of Aggregate building or for the protection of the communal living relationship between divided owners, is actually limited to partitioning of the land area by the precedents. so essentially restrict Land sharer’s exercise of property rights, who has no exclusively owned part or right of share excessively In this dissertation I insist, as a way of complementing, let another divided owner or owners, who have exclusively owned part, acquire shares of land sharer, who has no exclusively owned part and who acquired it compensate for the price. Or should be invoked a right to request the purchase of divided Ownership on the Article 7. of 'the Aggregate Buildings Law' to protect the Land sharer’s exercise of property rights, who has no exclusively owned part or right of share excessively 「집합건물법」제8조는 “대지위에 구분소유권의 목적인 건물이 속하는 1동의 건물이 있는 때에는 그 대지의 공유자는 그 건물사용에 필요한 범위의 대지에 대하여는 분할을 청구하지 못한다.” 라고 하여 그 분할을 ‛건물사용에 필요한 범위의 대지’로 제한한다. 동조 제한과 관련하여 판례는 동조규정의 취지를 집합건물 존립의 기초를 확보하려는데 있다고 하거나, 구분소유자 공동생활관계의 보호를 들어 그 제한의 범위를 대지의 분할이 향후 전체대지의 이용가치, 즉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들어 확대하고 분할을 사실상 제한함으로써 구분소유자의 보호는 물론이고, 건물의 전유부분없는 대지공유자 또는 과대지분권자의 재산권 행사를 본질적으로 제한한다. 본고에서는 집합건물의 공유지분의 분할방법의 보완으로서 건물의 전유부분 없는 대지공자의 지분을 건물의 전유부분을 가지는 구분소유자의 1인 또는 수인에 분속하게 하고 그 지분을 취득하는 자는 그 지분의 가격을 배상토록 하는 가액정산을 명하거나, 「집합건물법」 제7조의 구분소유권의 매도청구권의 원용을 법원이 적극 인용토록 함으로써 건물의 전유부분없는 대지공유자 또는 과대 지분권자의 재산권 행사를 보호할 것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부동산산업화와 공동주택관리업의 개선

        박세창 한국부동산법학회 2021 不動産法學 Vol.25 No.3

        With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real estate is also industrialized. The urban concentration of the rural population is transforming and industrializing from a supply-oriented real estate business to a management-oriented real estate business as urban spaces are concentrated and space utilization is differentiated into functional spaces. However, the Municipal Housing Management Act sets only the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the housing management business, and regulations on cancellation and cancellation of registration, but does not contain any provisions regarding the status of the housing management business. In addition, as for the management metho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housing management industry is hindered by the management of the management office centered on the manager, and the house manager takes an anomalous management system that receives a management fee.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housing management business is promoted by analyzing the actual situation of the apartment housing management business and suggesting improvements such as the form of consignment management as an unrealistic management system under the current legislation, service costs, management tasks, and guarantee of group activities of housing managers. 제조업의 산업화로 부동산도 산업화가 일어난다. 농촌 인구의 도심 집중은 도심의 공간이 밀집되고, 공간의 활용이 기능별 공간으로 분화되면서 공급 중심의 부동산업에서 관리 중심의 부동산업으로 변모되고 산업화한다. 그리나, 공동주택관리법령은 주택관리업의 등록 요건과 말소 및 등록의 취소 규정을 두고 있을 뿐 주택관리업자의 지위에 관하여는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한다. 뿐만 아니라, 관리 방법에 관하여도 관리사무소장을 중심으로 관리하고 주택관리업자는 단지 관리수수료를 받는 변칙적 관리체계를 취함으로써 주택관리업의 산업화를 저해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공동주택관리업의 실태를 분석하여 현행 법제 하의 비현실적인 관리체계로서의 위탁관리 형태와 용역비, 관리업무의 내용, 주택관리업자 단체활동의 보장 등 개선안을 제안함으로써 주택관리업의 산업화를 도모토록 한다.

      • KCI등재후보

        집합건물의 법정대지에 관한 소고

        박세창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1 집합건물법학 Vol.8 No.-

        The 'Aggregate Buildings Law(ABL)' stipulates 'Right to use Land Area Right'(Article 2, No. 5), but not commented on 'Statutory Land Area Right'However, theorys and precedents, related with the exercising 'Right to use Land Area Right' of the dividing owner, restrict exercise of joint-owership portion to claime the 'Statutory Land Area Right'In this paper, define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Statutory Land Area' which is on the land area of an aggregate building as follows:(1) As the statutory land area of an aggregate building means the ratio of building area on the gross land area by the land area which stipulates the building law, it shall be a maximum moral land area of which the 'Law about Plan and Use of National Land Area', Article 77. stipulates building-to-land ratio. (2) As the ratio of a statutory land area of the divided owner to own the exclusively possessed area determined by floor area ratio on the gross land area(the Building Law, Aticle 48.) it shall be a maximum moral land area of which the 'Law about Plan and Use of National Land Area', Article 78. stipulates floor area ratio. (3) The statutory land area of a building or gross of the statutory land area divided owner to own the exclusively possessed area shall be standard on the prohibition of separate disposal, the prohibition of division and decision the scope of the 'Right to use Land Area Right', etc. Therefore, prohibition of separate disposal and the prohibition of division on the exclusively possessed area is given an absolute limit in a range of statutory land area. Profits that is attained by exercising the 'Right to use Land Area' of devided owner not to be an unfair profits, if a divided owner has acquire shares in statutory land area corresponding the exclusively possessed area on the land area of the building. But an Exercising the 'Right to use Land Area' of a divided owner, who has not enough acquire shares in statutory land area to own the exclusively possessed area, constitute unjust profits. 「집합건물법」제2조 제5호는 ‘대지사용권’을 규정하나 법정대지권에 관하여는 언급하고 있지 아니하나, 학설․판례는 구분소유자의 대지사용권의 행사와 관련하여 법정대지를 들어 공유 지분 행사에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집합건물 건물의 대지에 관하여 가지는 법정대지의 개념과 범위를 다음과 같이 정의 하였다. (1) 집합건물의 법정대지는「건축법」제47조의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에 의한 대지면적을 말하므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77조의 규정에 의한 건폐율의 기준에 의한 최대한도의 대지면적으로 하여야 한다. (2) 구분소유자의 전유부분의 소유를 위한 법정대지의 비율은「건축법」제48조의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의 비율에 의하므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78조에 의한 당해 건물의 "용적률"에 의한 최대한도의 대지면적으로 된다. (3) 건물의 법정대지 또는 구분소유자의 전유부분의 소유를 위한 법정대지면적은 건물의 전유부분과 분리처분의 금지, 분할의 금지 및 구분소유자의 대지사용권의 범위를 정하는 등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건물의 전유부분과 분리처분 및 분할의 금지는 법정대지면적의 범위에서 절대적 제한이 주어지고, 구분소유자가 건물의 대지 중 그 전유부분에 상응하는 법정대지의 지분권을 가지는 이상 그 대지사용권의 행사로 수취한 이익은 부당이득으로 되지 아니하나 전유부분의 소유를 위한 법정대지의 지분에 미달하는 구분소유자의 대지사용권 행사로 수취한 이익은 부당이익을 구성하는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 KCI등재

        집합건물의 대지공유와 그 분할의 청구

        박세창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경희법학 Vol.45 No.4

        How the right is reverted in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have with a exclusively owned part of the building, in case that a divided owner of a congregate building possess a ‘land area right’ or ‘right to use the land area’ on the land area of the building to own exclusively owned part. Thus, even though the right belongs as a similar co-ownership form, the article 20. of ‘the Aggregate Buildings Law’ states prohibition of separate disposal and the article 8. states prohibition of division within the scope of necessary to usually use. Then, which standard should be applyed to a divition, however, that could be separated with the land area of the building. In this dissertation I insist, that possession of a divided owner’s ‘land area right’ or ‘right to use the land area’ of a congregate building as a co-ownershipa or similar co-ownership should be applied the provisions of ‘Civil Law’, unless it’s prescribed another special regulation in the ‘Aggregate Buildings Law’And ‘the legal land area’, minimum land area of a building to be permited, prohibied it’s divition, but the land, that is except the scope of aticle 8, in principle should be dividable land part to demand, not a object of prohibition on divide demand only reason for the existaence of a building on the land area. 집합건물의 구분소유자가 전유부분을 소유하기 위한 건물의 대지에 대하여 대지권 또는 대지사용권을 가지는 경우 그 권리는 어떠한 형태로 귀속되고 그 건물의 전유부분과는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또한 비록 공유적으로 귀속하는 경우에도「집합건물법」제20조는 처분의 일체성과 분리처분의 금지를 규정하고 나아가 제8조는 건물의 통상 사용에 필요한 범위에서의 분할금지를 규정함으써 그 분할 청구의 대상이 되는 범위와 분할의 대상이 되는 건물의 대지라 하더라도 그 분할에는 어떤 기준이 적용되는가. 본고에서는 집합건물에서 구분소유자의 대지권 및 대지사용권의 귀속은 「동법」 에서 특별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는 한 「민법」의 일반 법리에 따라 공유 또는 준공유적으로 귀속하고. 이에는 원칙적으로 「민법」의 규정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또한, 건물이 소재할 최소한의 대지, 즉 법정대지는 그 분할이 금지되고, 그 기준은 건축법 및 집합건물법 제8조의 범위 밖에 있는 토지는 원칙적으로 분할의 대상이 될 것이므로 건물이 소재하는 토지라는 것만으로 분할청구금지의 대상이 되는 토지라 할 것은 아니며,그 밖에도, 집합건물법 제8조의 ‘건물의 사용에 필요한 범위 내의 대지’에 해당하는지는 집합건물과 분할청구 토지 부분 및 전체 대지 등의 분할청구 당시 현황은 물론 이들의 과거 이용관계와 장래 예상되는 상호관계 등이 고려될 것이지만, 대지의 분할이 이루어질 경우 집합건물의 사용자들이나 그 분할된 토지 부분 및 나머지 토지 부분 등에 미치는 영향, 그 분할이 향후 전체 대지의 이용가치 내지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효과 등은 분할방법에 관한 문제(현물분할이나 대금분할이냐의 문제)될 뿐이고, 분할 여부의 판단기준으로 확대할 것은 아님을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