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청각장애인의 장애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시청각장애인의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과정에 참여한 당사자를 중심으로

        박관찬(Park, Kwan-chan),조문순(Cho, Moon-Soon) 한국장애학회 2020 한국장애학 Vol.5 No.2

        본 연구는 시청각장애인 관련 법안을 준비하는 토론회에 참여하고 있는 시청각장애인의 장애 정체성 형성과정을 사례연구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론회의 전 과정에 참석한 2명의 시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인터뷰한 내용을 전사하였고, 이외에도 토론회 속기록, 신문 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지속적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총 41개의 하위개념과 9개의 소주제, 그리고 4개의 중심주제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너무 답답한 시청각장애인의 삶’, ‘더 이상 농인이 아닌 이질적인 사람’, ‘공감과 자각의 기회를 가짐’, ‘시청각장애로 인정받고 싶은 나의 장애’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정체성은 시청각장애 상태에 대해 체념하고 있다가, 토론회를 통해 집단소속감을 가지고 시민권을 주장하며, 시청각장애인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고자 하는 것으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했다. 또한 시각장애와 청각장애를 복합적으로 가진 사람을 시청각장애인이라는 명칭으로 호명되어야 하며, 시청각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한 의사소통 지원자의 양성과 배치, 시청각장애인의 자조 집단 지원, 시청각장애인이 장애 유형으로 인정되고, 지원 체계가 마련된 법률이 제정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identified the process of forming disability identities of Deaf-Blind who participated in the debate preparing a bill related to the Deaf-Blind by a case study method. To this end, in-depth one-on-on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o audio-visual impaired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e entire discussion session. The interviewed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other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records and newspaper articles. As a result, a total of 41 sub-concepts, 9 sub-themes, and 4 main topics were revealed. It appeared as ‘too frustrating life of a person with both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 , ‘a disparate person who is no longer a deaf , ‘having an opportunity for empathy and awarenes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bill debate , and ‘my disability wanting to be recognized as a Deaf-Blind person .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ability identity was formed by giving up on the state of hearing and hearing impairment, asserting citizenship with a sense of belonging to a group through discussion meetings, and seeking to be recognized as a person with a Deaf-Blind. It was suggested that a law with a support system should be enacted. In addition, a person with a combination of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must be called under the name of Deaf-Blind.

      • KCI등재

        장애아동 양육을 위한 최저주거기준의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장애아동 양육가정의 경험을 중심으로-

        남지현 ( Nam Ji Hyun ),박관찬 ( Park Kwan Cha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2 사회복지정책 Vol.49 No.1

        본 연구는 만 18세 미만의 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가족이 인지한 최저주거기준의 의미를 살펴보고 최저주거기준이 장애아동과 가족의 삶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최저주거기준과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장애아동 가족 8명을 의도적 표집을 통해 모집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는 주제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개의 개념, 4개의 범주, 10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협소한 최저주거기준으로 인하여 장애아동과 가족은 주거 영역에서 배제당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장애아동의 가족은 공간에 맞춘 주거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다. 최저주거기준이 반영되지 못한 불충분한 주거생활로 인해 장애아동은 의존적 존재가 되었으며, 가족은 이웃과의 부정적인 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이에, 최저주거기준은 최소한의 기준만 담보하는 것이 아닌 장애아동의 거주를 전제로 한 기준의 마련과 더불어 기본적인 기준을 담은 적정주거기준으로 나아가야 한다. 구체적으로 최소주거면적 및 방 개수의 향상, 스마트홈 기준의 개발, 필수설비 및 구조환경 기준의 상세한 수정방안, 장애아동 양육지원 주거기준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perceived by families caregiv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der the age of 18 and to suggest a way for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o include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Eight familie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could actively express their opinions regarding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were recruited through intentional sampling, and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 concepts, 4 categories, and 10 topics were derived. Due to the narrow minimum housing standards,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were excluded from the residential area, and as a result,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leading a residential life tailored to the space. Due to insufficient housing life in which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were not reflect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came dependent, and families forme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neighbors. Accordingly,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should not only guarantee the minimum standards, but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premise of the resid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oceed to the appropriate housing standards including basic standards. Specifically, a detailed revision plan for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area, essential facilities and structural environment standards was proposed.

      • 장애아동 양육을 위한 최저주거기준의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 장애아동 양육가정의 경험을 중심으로

        남지현 ( Nam Ji Hyun ),박관찬 ( Park Kwan Chan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21 아동복지연구소 보고서 Vol.2021 No.15

        본 연구는 만 18세 미만의 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가족이 인지한 최저주거기준 의미를 살펴보고 최저주거기준이 장애아동과 가족을 포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최저주거기준과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장애아동 양육 가족 8명을 의도적 표집을 통해 모집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는 주제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개의 개념, 3개의 범주, 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최저주거기준은 여전히 장애아동과 가족을 배제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장애아동의 주거생활은 다른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최저주거기준이 반영되지 못한 불충분한 주거생활로 인해 장애아동은 의존적 존재로 격하되었으며, 가족의 돌봄 부담은 더욱 심화되었다. 이에, 최저주거기준은 최소한의 기준만 담보하는 것이 아닌, 기본적 기준을 담은 적정주거기준으로 나아가야 함을 본 연구는 제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주거면적의 향상, 필수설비 및 구조환경 기준의 상세한 수정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recognized by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der the age of 18 and to propose a plan for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o includ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Eight families were collected who can express their opinions abou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hrough intentional sampling, and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ubjec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wo categories, three major topics, and eight sub-themes were derived.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still exclud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nd as a result, the residential lif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ppeared in different forms. In addition, due to insufficient residential life that did not reflec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downgraded to dependent beings, and the burden of family care was further deepened.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should not guarantee only the minimum standard, but should proceed to an appropriate housing standard containing basic standards, and specifically proposed improving residential area and detailed standards for essential facilities and structural environment.

      • 장애아동 양육을 위한 최저주거기준의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 장애아동 양육가정의 경험을 중심으로

        남지현 ( Nam Ji Hyun ),박관찬 ( Park Kwan Chan ) 어린이재단 2021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21 No.-

        본 연구는 만 18세 미만의 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가족이 인지한 최저주거기준 의미를 살펴보고 최저주거기준이 장애아동과 가족을 포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최저주거기준과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장애아동 양육 가족 8명을 의도적 표집을 통해 모집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는 주제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개의 개념, 3개의 범주, 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최저주거기준은 여전히 장애아동과 가족을 배제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장애아동의 주거생활은 다른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최저주거기준이 반영되지 못한 불충분한 주거생활로 인해 장애아동은 의존적 존재로 격하되었으며, 가족의 돌봄 부담은 더욱 심화되었다. 이에, 최저주거기준은 최소한 의 기준만 담보하는 것이 아닌, 기본적 기준을 담은 적정주거기준으로 나아가야 함을 본 연구는 제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주거면적의 향상, 필수설비 및 구조환경 기준의 상세한 수정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recognized by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der the age of 18 and to propose a plan for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o includ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Eight families were collected who can express their opinions abou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hrough intentional sampling, and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ubjec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wo categories, three major topics, and eight sub-themes were derived.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still exclud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nd as a result, the residential lif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ppeared in different forms. In addition, due to insufficient residential life that did not reflec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downgraded to dependent beings, and the burden of family care was further deepened.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should not guarantee only the minimum standard, but should proceed to an appropriate housing standard containing basic standards, and specifically proposed improving residential area and detailed standards for essential facilities and structur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