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경인통신사의 활동과 일본의 대응

        민덕기(Deak-Kee Min)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3 No.-

        히데요시가 對馬島主 宗儀智에게 조선 침략의 뜻을 처음으로 표명하는 것은 1586년 6월의 일이다. 규슈를 평정하고 나면 조선으로 들이닥칠 터이니 준비하라는 것이었다. 다음해 6월엔, 20만의 정벌군으로 규수에 출정나각 히데요시가 대마도주에게 조선국왕의 직접 來朝를 명령했다. 흥미로운 것은 조선국왕이 대마도주에게 복속된 존재로 히데요시가 인식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조선국왕의 來朝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대마도주는 통신사 파견 요청으로 바꿔치기 해 조선에 간청하게 된다. 조선이 이에 전라도 연안을 노략질한 叛民 사화동을 압송해 오면 파견해 주겠다고 조건을 제시했고, 대마도가 이를 이행하자 1590년 5월 경인통신사가 파견된다. 당시 조선은 히데요시가 조선의 권위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했다. 그래서 통신사 파견을 새로 즉위한 ‘일본국왕’인 자신에 대한 축하라고 히데요시가 대대적으로 일본 국내에 선전할 것으로 여겼다. 그런 만큼 통신사행의 부사 김성일도 일본정탐이란 측면보다, 100여년만에 파견되는 이번의 통신사행이 이후의 통신사행에 올바른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임했다. 대마도주의 無體에는 일일이 대응하여 힐책하고, 히데요시의 답서에 있는 부적절한 용어에는 그 수정을 요구했다. 천황이 아닌 ‘關白’ 히데요시에게는 마루 위에서 절하는 楹外拜가 적합하지, 뜰아래에서 행하는 庭下拜가 절대 불가하다고 주장했다. 1590년 7월 통신사가 교토에 체류하고 있음에도 히데요시는 關東지방의 호죠(北條)씨 정벌(小田原 정벌) 때문에 3개월간 출정해 있었고, 교토로 돌아와서도 천황 궁전의 수리 때문에 11월에 가서야 접견을 하게 된다. 이처럼 내란 진압에 분망하고 천황 권위 고양에 진력하는 히데요시를 바라보는 김성일의 눈에 과연 임진왜란이 상상이나 되었을까? 한편 대마도는 통신사 파견을 기회로 조선과의 무역관계 확대를 企圖하고 있었다. 특송선의 부활이나 세견선과 圖書의 증가를 획책하였다. 감추고 있던 ‘巨酋’ 쇼니시와 오우치씨의 멸망 사실을 김성일이 파악하여 힐책하자, 그 땅을 점유하고 있는 보바야카와씨와 모리씨가 멸망한 그 巨酋의 명의를 승계 받아 조선과 무역하고 싶어한다고 다시 속이고 있다. 이로 보면 대마도도 임진왜란의 발발을 아직 예상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평화 지속을 전제로 한 무역관계 확대 획책이기 때문이다. 대마도의 이러한 획책을 관찰하고 있는 김성일의 눈에도 다가올 임진왜란이 전혀 그려지지 않았을 것이다.

      • KCI등재

        임진왜란기 조선의 북방 여진족에 대한 위기의식과 대응책

        민덕기(Min, Deak-kee) 한일관계사학회 2009 한일관계사연구 Vol.34 No.-

        임진왜란 연구에서 여진족에 대한 접근은 대체로 미미하다. 그러나 임진왜란기를 『선조실록』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면 첫째 ‘南倭北虜’的 위기상황이라고 조선이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은 ‘남왜’와 전쟁한 것만이 아니었다. 동북방과 서북방의 ‘북로’와도 첨예하게 대립한 상황이었다. 남북으로 적을 맞고 있다고(‘腹背受敵’) 인식하고 남북으로 환난을 당하고 있다고(‘腹背之患’)우려하여 그 극복에 분망하고 있었다. 둘째, ‘남왜’와 ‘북로’는 한 쪽 톱니바퀴가 돌아가면 그 톱니에 물려 다른 또 한 톱니바퀴가 돌아가는 그야말로 連動的인 구조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남왜’가 큰 톱니바퀴였을 따름이다. 1595년 10월, 남방에서 활약중인 경상우도별장 한명련과 의병장 김덕령을 서북방의 장수로 차송하려 하거나 경상우도병마절도사 김응서를 시켜 휘하의 항왜들을 인솔하여 북방으로 가 지키게 하려했던 것은 당시 상황이 ‘남왜’보다 ‘북로’가 더 우려되었기 때문이었다. 셋째, 임진왜란기 군량을 포함한 물량적 측면에서 ‘북로’와의 관계도 그 한 축으로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당시 조선에선 군사보다도 군량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며, 그나마 확보한 군량도 명군에게 공급하는데 급급하였다. 그러므로 조선군의 전투력은 약화일로였고 전국의 백성들은 아사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은 동북방 여진에 대한 회 유책으로 물품 지급이 종종 논의하고 있고 실제로 지급되기도 한다. 이처럼 왜란기 ‘북로’는 정신적?물질적으로 조선의 對日 총력전에 커다란 장애가 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studies of the Imjin War, we can find only a little data about the Jurchen tribes. Based on Seonjosillok (Annals of King Seonjo), however, we can find that first the Joseon dynasty was recognizing the crisis of facing against both the Japanese of the south and the northern tribes during the Imjin War period. It was not just the Japanese people of the south that Joseon was fighting against. The dynasty was in very antagonistic relationships with the tribes of the northeast and the northwest. It was in a rush to try to overcome the crisis with an awareness of having enemies both to the north and the south and concerns about troubles. Second, the Japanese of the south and the Jurchens of the north can be compared to a pair of cogwheels geared into each other. Only the Japanese was the bigger one. In October 1595, Myeongryeon Han, an officer of the provincial guards in the Eastern Gyeongsang Province, and Deokryeong Kim, a commander of the militia, who had been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were dispatched to the northwestern frontier, and Eungseo Kim, a senior military officer in charge of soldiers and horses of the Eastern Gyeongsang Province, was ordered to go to fight against the Jurchens of the north with soldiers under his control, who were supposed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This is because the Jurchens of the north was a bigger concern than the Japanese at that time. Third, the relationship with the Jurchens was significant during the Imjin War period in terms of resources including provisions. At that time, the Joseon dynasty had difficulties in securing foodstuffs for the army rather than soldiers. They also had to supply the foodstuff that they had secured with difficulty to the troops of the Ming dynasty. Therefore, the Joseon troops" combating power was being weakened and people were on the verge of starvation across the nation. Against this backdrop, Joseon often talked about supplying materials to the Jurchens as an appeasement policy and it actually supplied materials to them. As described in the above, the Jurchens of the north was a big obstacle to the Joseon dynasty both mentally and materially in its all-out war against the Japanese.

      • KCI등재

        임진왜란 직전 조선의 국방 인식과 대응에 대한 재검토 : 동북방 여진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민덕기(Min Deak-Kee) 호서사학회 2010 역사와 담론 Vol.0 No.57

        Prior studies on the night before Hideyoshi invaded Korea present the following evaluations regarding the cause of the war. The first theory is so-called a theory of peace and tranquility that Joseon enjoyed a peaceful reign for two centuries since its founding. The second theory is a theory of Joseon's crisis due to Japan that Japan's threat became serious as to trigger Lee Yulgok's argument of nurturing 100,000 soldiers. The third theory is that only the pen was placed importance on, thereby weakening military discipline. Were they true? First, small wars were occurring in northeastern areas in the 1580s and therefore Joseon was already in quasi-war. The 1583 January rebellion by Nitangeu from Yeojin against the Joseon government in Six Garrisons (Yukjin) lasted until July and Nitangeu's army consisted of 20,000 horse riding soldiers. Therefore the government had to send 100,000 seoks of crop and 50,000 rolls of cloth for the war, and King Seonjo even ordered to make chongtong firearms by melting the bronze temple bell (beomjong) of a temple in Hasamdo. In 1587 and 1588 Yeojin's invasion into Nokdundo and Joseon's response to it continued to make crises. In short, Joseon was not peaceful and tranquil at all. Second, in the 1580s Joseon regarded that Japan was threatening, but the nation's perception of crisis was resulting not from Japanese regular army's invasion but from Japanese looters' plundering. What Joseon expected was a little bigger riots than the Japanese riots which happened in the year Ulmyo. Therefore the anticipated war zone was the entire south coast, and defending the coast of Jeolla-do was considered important; as a result, Lee Sun-sin was selected as Naval Commander of Left Ch?lla province (Jeolla jwasusa). Third, Generals Sin Rip, Lee Il, and Lee Chun were dismissed due to their blunders, but discussions on their rehabilitation were made, which shows the government's elastic flexibility of prioritizing national defense while applying punishment to blunderers. In order to deal with Nitangeu’ rebellion, the government presided over a massive military special examination to secure a large number of military officials. The government also permitted sons of illegitimate birth to take civil service examinations and made a reform of elevating some public and private salves to the class of ordinary people. As for the ruling class, more responsibilities were imposed on them; for example, rice for soldiers and cows and horses as vehicles were made to be provided by them. In brief, the Joseon society was never biased toward the pen, inflexible, off its guard, or disorder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임진왜란기 정경운의『孤臺日錄』에서 보는 아래로부터의 聞見정보

        민덕기(Min Deak-Kee) 한일관계사학회 2013 한일관계사연구 Vol.45 No.-

        『고대일록』은 함양의 士族인 정경운이 임진왜란이 일어난 해 4월부터 1609년까지 18년 동안 쓴 일기로, 1980년대 최초로 공개되어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사통팔달하는 함양의 선비 정경운이 접한 풍부한 정보에 대한 검토 분석은 그다지 많다고 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정경운이 접한 정보 중에서 官報등의 위로부터의 중앙정보가 아닌, 아래로부터의 지방정보, 예를 들어 知人이나 함양 往來人을 통한 정보를 실록의 그것과 비교하여 검토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정경운의 ‘아래로부터의 聞見정보’는 함양이나 그 인근에서 취한 現地的인 것, 사람을 통한 傳聞에 의한 것, 그리고 떠도는 所聞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아래로부터의 문견정보’들을 실록의 관련내용과 비교하여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측면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우선, 실록의 감춘 것을 고발하는 측면으로 지방관의 附倭행위에 대한 정보가 이에 해당할 것이다. 그리고, 실록을 보충하거나 실록 내용을 입증할 수 있는 측면으론 제2차 진주성 전투의 참상과 생존자 및 전사자의 시신 처리 등에 대한 정보, 또는 1602년 초에 대마도로 파견된 전계신의 귀국 정보 등이 그러하다. 실록의 내용을 다양화시키는 측면도 있으니 조헌의 금산 전투에 관한 정보가 이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실록 내용에 문제를 제기하는 측면이 있으니 1604년 3월에 있은 일본에 대한 開市소문이다. 그런데 실록으로는 그로부터 4개월이 지나서야 사명당의 파견을 통해 대마도에 開市가 허락되고 있다. Godaeillok (孤臺日錄, Daily Journal of JeongGyeong-won) is the journal that JeongGyeong-won, who was from a scholarly family (sajok, 士族) in Hamyang County, wrote over 18 years from the fourth month of 1592, or the year that Japan invaded Joseon (the Imjin War), to 1609. Many studies regarding this journalhave been conducted since it was made public in the 1980s. However, analyt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 to the abundant information that Jeong, a classical scholar in Hamyang who traveled widely in Joseon, had collected. In this paper, the information from below that Jeong collected, such as local information gleaned from his acquaintances or visitors to Hamyang, was compared and reviewed with information in the Korean veritable records.Jeong’s collected “information from below” from local information in Hamyang and its surrounding areas, hearsay from people, and rumors. The result of comparing and reviewing this “information from below” with the relevant contents in the chronicles shows the following. At first, this “information from below”reports fact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veritable records and these facts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Japanese acts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is “information from below” supplements and proves the contents of the veritable records and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the horrors of the second Jinju fortress battle, survivors and the handling of those killed in battle,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return of JeonGae-sin who was sent to Tsushima in early 1602. This “information from below” also diversifies the contents of the veritable records and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Jo Hun’s Geumsan battle. Lastly, this “information from below” points out a problem in the contents of veritable records, including a rumor of the market opening (gaesi, 開市) in Pusan in the third month of 1604. However, the veritable records show that the market opening was permitted four months after the third month of 1604 through the dispatch of Samyeongdang.

      • KCI등재

        室町幕府의 對明朝貢 仲裁요청과 朝鮮의 대응

        Min Deak Kee(閔德基) 일본사학회 1995 일본역사연구 Vol.1 No.-

        This study examines Muromachi shogunate’s requests for Korea’s mediation in its tribute relations with Ming China. Previous studies paid little attention to this aspect of foreign relations in the Muromachi period. This study focuses on the background and method of the Japanese requests and the reac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to them. Ten cases of Japanese requests have been confirmed; two for the reopening of the suspended tribute relations, three for Japanese concern about the possible tightening of the tribute trade caused by the disturbances by the Japanese pirates and the Japanese missions and the Ningpo rebellion, three cases for informing Ming China of Ouchi family’s seizure of tallies to be carried in the tribute trade, and two for the expansion of trade. All of them were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in Japan’s tribute relations with Ming China in the medium of Korea. Japanese attitude toward Korea can be seen from them. The first two requests were conveyed orally, and the rest through state letters. Tsushima sent letters on behalf of the bakufu twice. The Korean government ignored or rejected the Japanese requests seven times. It once passed the letter to Ming China as information on Japan. It also made an effort to mediate between China and Japan once. Korea’s passive response to the Japanese requests reflected Korea’s stance not to be involved in th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Japan. The Ryukyu kingdom, on the contrary, was involved more actively in Japan’s tribute relations with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