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불안감소를 위한 이완요법 적용 효과

        문현숙 ( Hyeun Sook Moon ),이향련 ( Hyang Yeon Lee ),이지아 ( Ji A L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수술을 받는 척추마취 환자에게 수술 전날과 척추마취 전 이완요법을 적용함으로써 이완요법이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불안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1. 이완요법이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 척추마취 전 실험군의 상태불안은 35.00점이고 대조군의 경우 44.55점으로 나타나 Spielberger (1972)기 보고한 입원환자 의 불안정수 42.68점보다는 실험문은 낮게 니타났으며 대조군 은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국내에서 보고한 Lee (2004)의 자궁 절제술 수술환자의 수술 전 불안점수 49.42점과 Woo (2003) 의 척추수술 환자의 수술 전 불안점수 48.75접보다는 낮게 나 타났다. 이완요법이 상태불안에 미친 효과를 보면 본 연구에서는 척추마취 시술 전, 이완요법 적용 후 상태불안은 실험군의 경우 35,00점에서 2318점으로 감소하였고, 이완요법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도 감소의 폭은 실험군에 비해 낮았으나 44.55점에서 33.64점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 가 있었으나(F=6.392, p=.003),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083, p=.921), 이는 Park (2005)의 연구에서 중환자 실에 입원한 관상동맥확장술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관상동맥 확장 시술 전남부터 시술 2시간 전까지 최소 5회에서 최대 9회 까지 이완요법을 시행하였으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 한 차이가 없었던 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중환자실에서 관상동맥확장술이라는 심장관련 중재술을 앞두고 환자의 불안이 더 가중 되었을 것이며 개심술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시술에서는 이완요법을 적용하여도 상태불안 감소에 영향을 마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척추수술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Kim (1996)의 연구, 기관시내시경검사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Lee (2002) 의 연구,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Park (2005)의 연구 결과들은 이완요법을 받은 심혐군이 대조군보다 상태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에서 이완요법이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일치하지 않은 연구 결과는, 상태불안은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시각적인 변통이 수반되고 그 강도가 자주 변화한다는 점(Spielberger,1972)에서 실험 처지 후 즉시 조사했을 때와 시간이 경과한 후 조사한 것의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이완요법의 효고를 높이기 위해서는 Kim (1996)의 연구 결과와 같이 이완요볍을 3회 이상 반복 시행하여 수술환자에게 자연스럽게 내면화되기를 기다려야 하는데, 본 연구 대상 병원 은 수술에 필요한 보든 절차를 외래로 내원하여 시행 확인 후 수술 전남에 입원하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술 전날과 수술 당일 척추마취 시술 전에 이완요법을 시행할 수밖에 없어 수술 후 상황에 적절하지 못했거나 내재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없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이완요법의 기본 조건인 정선적 집중, 수동적 태도, 근육긴장 감소, 조용한 환경의 4가지 기본 조건,(Chun, 2004) 에서 본 연구대상의 병원 정형외과 병동은 3인설 이상의 다인 실 병동으로 수술환자에게는 보호자와 방문객이 많았고, 척추 마취 시술 전 이완요법을 시행한 통원환자 회복실에서의 환자 , 보호자 통제 시설도 미흡하여 시행 시 환경적인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 결과에서는 척추마취 수술환지에게 이완요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김소는 없었으나, 연구 진행 과정에서 시간과 공간의 확보를 위한 노력과 이완요법 적용을 위한 환경적 제약 부분 등을 보완하면, 수술과 같은 특정 상황과 관련하여, 의식이 있는 척추마취 환자가 수술 중 경험하게 되는 불안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신체적 훈련을 통한 인지적 측면의 이완요법 적용과 함께 감정적, 정서적 측면의 지지를 함께 제공하여 수술환자불안 완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는 간호중재로 반복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2. 이완요법이 혈압 및 맥박에 미치는 효과 불안의 생리적 반응은 자율 신경계를 활성화시키므로 교감 신경과 시상하부가 자극을 받아 심장, 뇌조직 및 근 골격계를 제외한 모든 기관의 혈관을 수축시켜 말초 저항을 증가시킴 으로서 혈압을 상승시카고, 심근자체의 수축력을 강화시켜 심박 동수와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Smeltzer & Bare, 1992). 특히 수술이나 심근 경색중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으로 인하여 교감 신경계가 활성화되면 혈압과 맥박이 증가되고 반대로 이완되면 부교감신경이 증진되어 혈압과 맥박이 감소된다. 이러한 기전에 의하여 혈압상승과 빈맥, 호흡증가, 피부 창백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러한 증상과 증후는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Su et .la 2004). 이완요법이 수축기 혈압에 미친 효과를 보면 본 연구에서는 척추마취 시술 전, 이완요법 적용 후 수축기 혈압은 실험군의 경우 125.55 mmHg에서 121.23 mmHg로 감소하였고, 대조 군의 경우 134.77 mmHg에서 122.64 mmHg로 실험군과 대 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 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6.637, p=.002),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1.242, p=.294). 이러한 결과는 기관지내시경검사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Lee (2002), Im (200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수축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되지는 않았으나 인공슬관절 환자에게 이완요 법을 적용한 Kim (2005)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이완 요법으로 수축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완기 혈압은 실험군의 경우 73.55mmHg에서 69.27mmHg 로 감소하였고, 대조군의 경우 77.45mmHg에서 69.41mmHg 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9.997, p=.000),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601, p=.55l). 이러 한 결과는 기관지내시경검사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Lee (2002)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이완기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지는 않았으나,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 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Kim (2005)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이완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 타났다. 맥박은 실험군의 경우 76.36회/분에서 70.32회/분으로 감소 하였고, 대조군의 경우 78.64회/분에서 69.68회/분으로 실험 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8.856, p=.000),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346, p=.708). 이러한 결과는 기관지내시경검사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Lee (2002), Im (200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맥박이 유의 하게 감소되지는 않았으나,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Kim (2005)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맥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에서 이완요법이 혈압 및 맥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일치하지 않은 연구 결과는, 이완요법의 이완효과를 생리적으로 측정한 연구 결과들이 서로 일치되지 않으며, 그 가치 또한 제한적이고 낮은 수준의 생리적 각성상태의 변화는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견해(Sims,1987)와, 대상자에게 적용한 이완요법의 방법 및 실시된 횟수가 다양하고 이완요법에 반응하는 개개인의 생리적 다양성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정상인이 이완요법에 의해 혈압이 낮아지는 정도는Wal-lace와 Benson (1976)이 제시한 묵상에 의한 정상적 혈압 하강 과 비슷한 결과로, 수축기 혈압은 6-8mmHg 정도, 이완기 혈 압은 5 mmHg정도로 매우 적은 것이라고 보고한 Cho (1982) 와, 맥박수의 변화보다는 맥박의 variability가 긴장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타당하다는 Porges (1972)의 연구 보고도 있어, 혈 압과 맥박이 불안측정 도구로서의 유용성은 아직 논란의 여지 가있다고 보겠다. 그러나 이완반응의 생리적 지표인 혈압과 맥박을 포함한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복잡하고 많으며,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서도 다양한 변화를 보일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 결과 혈압과 맥박에서 변화가 없는 이유는 대 상자 대다수의 혈압과 맥박이 정상수준 이내에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수술이나 검사의 중요성, 위협정도,수술시간 등에 의해 불안 정도가 변화하며 혈압과 맥박의 측정시기에 서 측정치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이완요법을 적용 받는 대상자 와 시기에 따라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이완요법 적용 후 혈압과 맥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는 없었으나, 이완요법의 적용시기와 방법에 따라 측정값이 변화할 수 있고, 연구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개인차, 그리고 환 경의 내 · 외적 요인을 보다 철저하게 통제하고 적용하여 대상 자를 확대하여 반복 측정할 경우 이완반응의 생리적 지표에 효 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to reduce anxiety level among spinal anes-thesia surgery patients.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pre-and-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15-min muscle relaxation therapy on the day before the surgery and an hour before the spinal anesthesia. Data were collected from 44 patients (22 in experimental and 22 in con-trol group) who were planned to have spinal anesthesia surgery from an orthopedic surgery department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January 13 to March 21, 2006.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lower level of state anxiety after the surgery (23.18 vs. 33.64) than did control group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or pulse rat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surgery. Conclusions: The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polish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for various types of patients and to create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setting for application of the therapy.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may be a convenient and useful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anxiety among spinal anesthesia surgery patients if more studies prove its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