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만 핵폐기물의 북한 반출 사례 분석 - 초국가시민사회의 정치와 규범체제의 변화

        문순홍(Soonhong Moon) 한국환경사회학회 200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 No.-

        지난 2월 대만정부는 핵폐기물을 북한으로 수송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 대만 핵폐기물의 북한 반출은 1997년 1월 발생하여 6개월 동안 동북아 국제정치의 뜨거운 감자로 부각되었다가 소강상대로 접어든 사안이다.<br/> 이 논문의 목적은 이 일련의 과정 즉, 대만 핵폐기물의 북한반출 사안이 발생해서 기존 협약의 보완 및 새로운 협약의 가결을 거쳐 소강국면에 이르는 과정을 “초국가 시민사회”란 개념과 담론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초국가 시민사회의 정치와 규범체제의 형성·변화 그 사이에 놓여 있는 역학관계를 드러내고자하였다.<br/> 이를 위해 이 글은 다음과 길이 구생되었다. 1장에선 현 세계환경정치를 이해하기 위해 규범체제와 초국가 시민사회를 개념화해보고, 특히 초국가 시민사를 구성하는 실제와 그 작동을 살펴보기 위해 담론분석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선 대만 핵폐기물의 북한 반출이란 사건을 전후하여 핵폐기물의 국가간 이동을 억제해왔던 두 개의 메커니즘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 사안의 특이성이 규범 체제 그 자체의 허약성과 북한 및 대만이 규범체제의 규제를 받을 수 없는 대상들에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런 조건에서 한국 정부는 핵폐기물의 북한반출을 저지하기 위해 반핵단체들의 시민사회 정치가 필요하였고, 시민사회는 핵폐기물 관련 국제규범제제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직접적 통로로 정부와 국제기구의 역할이 필요하였다. 이들에 의해 초국가 시민사회의 핵억지망이 동원되었다. 3장에선 이 핵억지망을 구성하는 실제로 정부기구, 국제기구, 관련 초국가 시민사회단체들, 담론들, 그리고 전략들이 분석되었다. 4장조에서는 결과적으로 나타난 규범체제의 변화를 기술하였다. 이로써 이 사안은 일단락 된 듯이 보이나, 여전히 문제는 남아 있다. 왜냐하면 북한 반출을 억제하는 6개월 동안 초국가시민사회 활동의 이념과 한국정부의 국가이익이 서로 다른 것임이 드러났기 때문이다.<br/> <br/> <br/> <br/> In February 2000, the Taiwanese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as ready to transport nuclear waste into North Korea This nuclear waste 'trade' between Taiwan and North Korea was signed m January 1997, drawing an immediate criticism from environmentalists and becoming an intensely-international issu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greement, modification and the new agreement of the nuclear waste deal by using the concepts of regime and 'transnational civil society' In the process, the dynamic relation extant III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politics and regulatory system of transnational civil society is revealed<br/> Chapter 1 conceptualizes the regulatory system and transnational civil society to understand the current environmental politics Chapter 2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two mechanisms that were used to control the transportation of nuclear waste from one country to another It is pointed out here that those mechanisms had little enforcible power and that the countries m question could not have been subjected to any international supervision because of their unique political circumstances. In this situa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ed civil society politics of anticivic groups to stop nuclear waste from being shipped to North Korea CIVIC groups, on the other hand, needed the active engagemen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as direct channels to exert influence over nuclear waste-related international regulations. Their concerted efforts resulted m the mobilization of a transnational anti-nuclear waste network Chapter 3 examines government agencies,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transnational organizations as well as their discourse and strategies as indices of transnational civil society's<br/> substance and operation. Chapter 4 discusses the resulting changes m the regulatory system While the significance of this Issue seems to have abated, the problem still remains, for the principle of transnational civil society and the interes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 fighting international nuclear waste movement is quite different<br/>

      • KCI등재

        생태여성론으로 분석한 한국 여성환경운동 - 동기화 구조, 사회공간 내 운동유형, 그리고 지향

        문순홍(Moon Soonho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0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 No.-

        한국의 여성환경운동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980년대 중반 경이다. 이후 몇 단계를 거쳐 확장·변화해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생태여성론의 시각에서 이 한국여성환경운동을 동기화구조, 운동의 사회공간 및 유형 그리고 지향점의 측면에서 분석·평가하는 것이다.<br/>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우선 1장에선 여성과 환경을 엮는 여러 이론들, 즉 여성과 환경주의, 젠더와 환경, 생태여성주의 그리고 페미니스트 정치생태학을 동기, 운동영역 및 유형 그리고 그 지향점이란 측면에서 재조합하여 분석틀로서의 생태여성론이 제시되었다. 2장에선 즉자적 존재로서의 여성이 참여한 환경운동, 대자적 존재로서의 여성들이 남성과 동등한 주제로 참여한 환경운동, 여성들만의 환경운동 그리고 여성적 관점에서의 환경운동에 따라 한국 여성환경운동의 확산과정을 세 단계로 구분 기술하였다. 3장에선 여성환경운동의 동기들이 변화하는 과정을 동기화 구조로 보고 한국 여성환경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의 동기화 구조를 분석·평가하였으며 4장에선 한국 여성환경운동의 유형 및 그 확산과정을 가정, 지역사회 그리고 제도접면이란 사회공간별로 분석 평가하였고, 5장에선 지향점이란 측면에서 분석 평가하였다.<br/> 전반적으로 한국 여성환경운동은 현재 동기 및 운동유형 및 지향점에서 질적 전환기에 도달해 있다. 우선 동기 측면에서 환경운동 내 남녀차별에 대한문제의식과 여성성의 사회원리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운동유형에서 새로운 대안에 대한 실험들이 진행되고 있고 동시에 제도 및 정책에 대한 성평등성 및 성형평성 분석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br/>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and evaluat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Korean women's environmental movements, which began around the mid-1980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structure, movement types m social space and goal The paper first reviews various theories combining woman and ecology-such as woman and environmentalism, gender and environment, ecofeminism and feminist political ecology-and reconsiders them focusing on the three aspects mentioned above to build an analytic framework, namely ecofeminology. The next part differentiates Korean women's movements into three categories environmental movements participated by women as an sich being, environmental movement of women as fuer sich being equal to men, and environmental movements organized by only women (and environmental movement based on the feminine viewpoint), Part Ⅲ examines motivation structure, analyzing why Korean women are involved m environmental movements and how their motives have changed The types in social spaces where Korean women's environmental movements have been developing are discussed m Part Ⅳ, followed by their goal m Part Ⅴ<br/> In terms of their motive, type and goal, Korean women's environmental movements have now arrived at a turning point As regards the motive, they are concerned with the Issue of gender equality m the environmental movement They also realize that the Issue IS also central to institutional and policy analyses<b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