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후반 경상도 조운제도의 변화와 기선(汽船) 도입

        문광균 ( Moon Kwnang-kyun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9 No.-

        조선왕조는 현물경제체제 기반 위에서 국가재정을 운영하였다. 이를 위해 반드시 필요했던 제도가 바로 조운이었다. 본 논문은 경상도를 대상으로 19세기 조운제도의 변화 양상을 살폈다. 조선초기 폐지된 경상도의 조운제도는 18세기 중엽 다시 복구되었다. 이는 17세기 이래 노정된 ‘私船賃運’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경제정책이었다. 경상도의 조운제도는 3조창을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국왕을 비롯하여 관료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19세기 중엽 3조창 중심의 조운제도는 점차 균열되었다. 조운선 확보의 어려움, 都差邑의 내부적 문제, 조군에 대한 침탈과 이에 따른 선박의 침몰사고 등이 대표적인 문제였다. 조운제도가 총체적인 난항에 부딪히자 고종 17년(1880) 정부는 조선의 마지막 조운법령인 『漕弊釐正事目』을 반포하였다. 이 사목의 반포로 경상도의 조운제도는 사선을 빌려 세곡을 상납하는 ‘賃運直納’으로 전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의도와 달리 세곡운송 문제는 여전했다. 『조폐이정사목』이 성공을 거두지 못하자 관료들과 지식인은 여러 방향에서 조운에 대한 대책을 제시했는데, 그 중 다수의 논자는 火輪船, 즉 汽船의 도입을 주장하였다. 汽船이 신속성, 안정성, 적재량 등 여러 부문에서 재래선박인 조운선이나 경강선보다 우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결국 고종 19년(1882) 여론을 수렴하여 기선과 풍범선을 세곡운송에 적극 활용하겠다는 결정을 내렸다. 이 조치로 전운국이 해룡호, 조양호, 창룡호 3척을 구비하여 세곡을 상납하였고, 고종 30년(1893)부터는 민영회사인 利運社를 설치하여 세곡운송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기선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세곡운송의 문제점이 모두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조운제도라는 시스템 안에서 선박만 근대식 문물인 기선으로 바뀐 것이었으므로 기존 세곡운송에서 발생한 문제들은 여전하였다. 비록 기선이라는 근대적 외피를 썼다고 하더라도 수 백년 동안 운영되어온 현물경제체제와 그에 기반한 경제구조가 변하지 않는 이상 그것은 무의미한 일이었다. 결국 조운제도는 고종 32년(1895) 세제개혁이 이루어져서야 폐지되었다. In the mid-19th century, grain transportation system of 3 jochang started to be broken. There were representative problems such as difficulties in securing of transportation assistant ship, internal problem of Dochaeup(都差邑), plunder of Tax Shipping and sinking accident of the ship, etc. Due to the general difficulties in transportation assistant system, the government of the 17th year of Gojong(1880) declared final transportation assistant legislation of Joseon 『Jopyerijeongsamok(漕弊釐正事目)』. Due to the declaration, rear end-jochang of Gyeongsang-do was innovated and 11district of total 20district were transferred to 'Imunjiknap(賃運直納)' that borrows saseon and delibers grains. In the next year, the remained left-jochang and right-jochang were abolished. Therefore, grain transportation system of 3jochang was changed to Imunjiknap. But, in comparison to the intention of government, there was still a problem of grain transporation after the declaration of 『Jopyeijungsamok』. The goal of Joseon government, that was to improve grain transportation system through 『Jopyeijungsamok』, was not successful. Therefore, bureaucrats and intellectual people suggested measures in several directions and most of them insisted introduction of Hwaryunseon(火輪船), steamboat, because they thought steamboat was better than jounseon or gyeonggangseon, that were traditional ships, in several aspects of quickness, stableness, and loaded quantity, etc. Finally, national king accepted people's opinion in the 19th year of Gojong(1882) and decided to utilize steamboat and sailing ship actually for grain transportation. Therefore, in the 23th year of Gojong(1886), they established jeonunkuk(轉運局), prepared 3 ships of Haeryongho, Joyangho, and Changryongho, and delivered grains. From the 30th year of Gojong, (1893), eaunsa(利運社) was established to change private way of grain transportation. However, in spite of the introduction of steamboat, all of problems of grain transportation were not solved. In other words, only ships were changed to steamboat that is modern cultural product in the system of Tax Shipping, so the problems fixed on existing grain transportation were still remained. In spite of the modern shell of steamboat, product economic system that has been managed for several hundred years and the economic structure are not changed. And then, it was not meaningful. Finally, Tax Shipping system was abolished after the taxation innovation of gyelhojeon(結戶錢) in the 32nd year of Gojong(189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