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이데거의 자유론

        맹주만 ( Joo-man Mae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6 존재론 연구 Vol.13 No.-

        자유 개념은 하이데거 철학의 중심 개념이다. 그런데 존재와 시간의 구성은 현존재의 존재방식을 특유의 실존적 언어로 포착해 내려는 형식적 지시 개념의 천착, 이른바 현존재의 형식지시적 해석학에 경도되어 있다. 이런 사정 때문에 다양한 논의들이 야기되기도 하는데, 이를 구분해 보면 대략 상호 대립하는 두 가지 견해로 집약된다. 하나는 하이데거에게서 자유에 대한 논의는 자유의 철학을 위한 거점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하이데거 철학 전체를 자유의 철학으로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두 견해 중에서 이 글은 두 번째 입장에 서서 하이데거를 해석한다. 하지만 이런 선택이 자의적인 것은 아니다. 가령 존재와 시간의 전개 자체가 자유라는 인간의 근원적 존재방식에 의존하고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이러한 이유에서 현존재의 현사실성의 해석학 역시 현존재의 자유의 해석학에 빚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존재와 시간의 귀결은 필연적으로 자유 개념의 확대를 수반하며, 이는 동시에 존재사유의 새 길을 열어주는 이정표가 된다. 이는 곧 하나의 동일한 자유 개념에서 실존적 인간의 유한한 자유와 진리의 본질로서의 탈존적 자유가 상호 공속관계에 있다는 것의 확인이다. 이 때문에 후기의 하이데거에게서는 인간적 자유의 철학을 넘어서 자유의 현상학의 구체적 수행이라 할 수 있는 인간 현존재와 존재자 일반이 다 같이 문제가 되는 존재의 진리가 본격적으로 탐구되기 이른다. Das Interesse der vorliegende Untersuchung besteht darin, Heideggers Konzept von Freiheit einsichtig zu machen, und Heideggers Denkweg in seiner Einheitlichkeit zu verstehen. Heidegger entwickelt eine neue Konzeption von Freiheit im Zusammenhang der Frage nach dem Sein mit einer Diskussion der Kehre von Sein und Zeit zu Zeit und Sein. Bezogen auf das Konzept von Freiheit, entweder man meint, bei Heidegger lediglich Anhaltspunkte fur eine Philosophie der Freiheit finden zu können, die es dann eigenständig zu entwickeln gilt; oder man behauptet, die Philosophie Heideggers sei im Ganzen als eine Philosophie der Freiheit zu lesen. Fur die zweite der genannten Alternativen versucht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sich stark zu machen. Aber das Verständnis Heideggers späteren Schriften durfte unmöglich sein, wenn es nicht zuvor gelungen ist, sich den Gedankengang und die zentralen Thesen von Sein und Zeit klarzumachen. Wenn die These richtig ist, dáß Ich Heideggers Frage nach dem Sein als Frage nach der Freiheit zu verstehen habe, so hat seine Konzeption von Freiheit nicht nur ontologische Implikationen, sondern ist selbst nichts anderes als Ontologie und eine Phänomenologie der Freiheit.

      • KCI등재

        칸트와 미학적 자살

        맹주만 ( Joo Man Maeng ) 한국칸트학회 2015 칸트연구 Vol.36 No.-

        나는 정당화될 수 있는 자살이 존재하며, 그러한 경우를 미학적 자살이라고 부른다. 미학적 자살이란 옳고 그름, 좋고 나쁨, 즐거움과 고통, 미와 추가 함께 공존하며 어우러져 있는 것들의 총체가 인간적 삶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자기 자신 및 타인과의 관계에서 그것을 증진시키거나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는 최저 한계점에 이르게 되었을 때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 죽음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 나는 자살 반대 논증들 중 가장 강한 주장에 속하는 ‘칸트의 관점’(Kant``s viewpoint)이 갖는 약점과 한계를 밝힌 다음, 이를 재해석한 ‘칸트적 관점’(Kantian viewpoint)에서 미학적 자살의 정당성을 옹호할 것이다. 이에 근거할 경우, 칸트의 자살 반대 논증의 일부를 수정한 엄격한 조건의 자살과 완화된 조건의 자살, 즉 ‘완전한 미학적 자살’과 ‘불완전한 미학적 자살’의 가능성이 성립하게 된다.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re is a suicide which can be justified morally and rationally. I will call it the aesthetic suicide. I define: it is free death which I can choose for myself when my human life become to run into the minimum threshold which I can’t prompt or recover it any more in relation with myself and the others, in the viewpoint of which human lives mean the totalities of right and wrong, good and bad, pleasure and pain, beauty and ugliness. In order to prove my assertion I will argue for the aesthetic suicide in the Kantian viewpoint that is reinterpreted on the modified conditions, not Kant``s viewpoint which has its own weakness and limits. Accordingly, the aesthetic suicide is divided into the perfect aesthetic suicide and the imperfect aesthetic suicid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칸트와 노자: 경계와 사이의 철학 -사이의 존재론과 경계적 자아-

        맹주만 ( Joo Man Maeng ) 한국칸트학회 2009 칸트연구 Vol.24 No.-

        이 글에서 필자는 칸트와 노자의 철학을 사이의 존재론과 경계적 자아라는 관점에서 읽어내려고 시도한다. 이 같은 시도는 서로 상이한 체계와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또 서로 편차가 있는 동서양 철학의 개념들의 직설적인 비교가 낳을 수 있는 오해를 줄이기 위해 그들의 철학적 사유를 공유 가능한 제3의 관점에서 해석하면서 동시에 그들 철학에 대한 보다 선명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칸트와 노자의 철학은 한편으로는 현상 존재론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만으로는 모두 담아낼 수 없는 전체로서의 존재를 밝혀내려는 형이상학적 사유를 추구한다. 칸트와 노자 철학의 공통된 사유 주체로서의 경계적 자아는 그들의 사유를 이끌어 가는 보이지 않는 이성 자신의 눈이다. 칸트에게 인간은 감성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도덕적 존재이다. 비록 인간이란 감성적 현상의 제약과 조건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지만, 사이의 존재론을 사유하는 경계적 자아는 선의지를 통해 물자체의 세계를 인간적 관점에서 인식가능한 도덕적 의지의 세계로 정립한다. 이는 스스로 계획한 것, 자신의 원칙에만 철저한 이성의 자기인식, 즉 경계적 자아의 치열한 자기인식의 산물이다. 이 같이 두 세계의 경계에 머물며 두 세계 각각에 정당하게 이를 수 있는 길을 사유하는 주체가 칸트의 경계적 자아이다. 이 칸트의 자아는 안과 밖의 존재의 세계를 바라보는 시선으로서의 눈 위의 경계에 서서 그 눈 자체를 끊임없이 성찰하는 자아이다. 노자에게 인간은 도의 표현으로서의 만물의 일부이며, 전체와 부분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는 존재이다. 노자의 존재론적이면서 동시에 도덕적인 경계적 자아는 하나의 현상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독법의 가능 근거로서 사이의 존재론에 의지해서 자연 만물에 대한 총체적 조망에 이르고 또한 인간이 걸어가야 할 마땅한 방도, 모든 정치가 근본으로 삼아야 할 원칙과 이념을 제시한다. 내재적이며 초월적인 자아, 즉 현상과 실재의 경계에 서서 현상의 안과 밖을 관통하며 경계적 자아가 응시하는 사유의 극점에서 노자는 허정의 자아, 무위의 도와 덕을 인식하는 유무위의 자아를 발견한다. In this paper I will try to read Kant and Laotzu`s philosophy from a point of view on the ontology of the between and the boundary self. The reason why I interpret Kant and Laotzu`s philosophy as this way is that I think this can become a solution to be able to diminish a probable misunderstanding that might happen from straight comparisons between Kant and Laotzu`s philosophy. Philosophy of Kant and Laotzu is basically at once ontology of appearance at their philosophical starting point, and pursues metaphysical thinking that reasons out Being as a wholeness which cannot be contained only through it. Their boundary self means reason`s own eye which cannot objectify whatever we do, nevertheless it is a subject that guides to their metaphysical-practical thinking about Being and Life. For Kant Human being is a phenomenal and moral being, and is not free from sensational conditions of phenomenal world, but the boundary self that is thinking ontology of the between depending upon the good will establishes thing in itself as a world of moral will that is able to know from anthropocentric point of view. Laotzu gets at the truth of the self of XuJing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appearance, standing on the boundary of appearance and reality.

      • KCI등재

        칸트의 덕과 덕-감정

        맹주만 ( Joo Man Maeng ) 한국칸트학회 2011 칸트연구 Vol.28 No.-

        This paper aims to focus on the problems of emotion which make great play in Aristotle`s ethics, and is emphasized the better in contemporary virtue ethics. The emotion is known as one of the problems sharply conflicting between Kant`s deontological ethics and virtue ethics. I will clarify a concept of the virtue of Kant and Aristotle in order to understand better this problem of emotion. The relation of virtue and emotion in Kant ethics is different completely, and each other is separate in moral valuation of our action. Kant says that virtue signifies a moral strength of will, and virtue is the moral strength of a human being`s will independent of his emotion in fulfilling his duty. But Aristotle argues that virtues are all dispositions not only to act, but to feel emotion, as reactions as well as impluses to action. I will call emotion in the Aristotelian virtue ethics ``virtue-emotion``, in contrast to Kant`s ``virtue will``. In this paper I think my work will contribute something to proper understanding of Kant`s ethics that has been very severely criticized from contemporary virtue ethics.

      • KCI등재

        칸트의 도덕적 행복과 아리스토텔레스

        맹주만 ( Joo Man Maeng ) 한국칸트학회 2013 칸트연구 Vol.32 No.-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n article ‘Is Aristotelian Happiness a Target for Kant`s Critique` which was recently published in the journal Kant-Studien. The author of this article argues that he can find a compatibility between Kant`s and Aristotle`s ethics, because Kant`s critique of happiness is not imposed on Aristotelian happiness and there is a structural sameness between ‘Aristotelian pleasure brought by activity of virtuous soul’ and ‘Kantian contentment accompanied by the good will’. But in this paper I will show it to be nearly impossible. Arguing for my opinion, I evaluate Kant`s critique of eudaimonism and his new concept of happiness distinguishing the sensuous from the moral in order to establish his own deontological ethics. According to Aristotle`s ethical theory, virtues are means, states of the mind, they lead to actions that are in accordance with virtues and such as those from which they developed, they are in our power and voluntary, and they are as correct reason prescribes. Furthermore, virtue is the sort of state to do the best actions in connection with pleasures and pains, and vice the contrary as well. Meanwhile, according to Kant`s points of view, sensuous happiness which is full of our all inclinations is contrary to virtue(morality), especially in relations to emotional happiness, and moral happiness also is a kind of negative feeling which is different from Aristotle`s positive feeling as satisfaction which is in state of the highest good. I think that these differences between both of Kant and Aristotle mean: first, Aristotle`s concept of happiness is not free from Kant`s critique of eudaimonism. second, in both of Kantianism and Aritotelianism it is hard to succeed in their attempts to read a compatibility of their ethics, and also a structural sameness between them. third, it is hard of them to avoid a choice between deontology and teleology in that Aristotle`s teleology could not accommodate within his conceptual system an activity which did not have an end, also is built on a system of good.

      • KCI등재

        칸트와 흄 - 도덕적 이성과 공감

        맹주만 ( Joo Man Maeng ) 한국칸트학회 2014 칸트연구 Vol.34 No.-

        이 글은 객관적이면서 보편타당한 도덕 판단의 가능성을 공감이나 자비심 같은 인간애에서 찾으려 한 흄의 감정 도덕은 실패한 시도이며, 그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공감의 가변성과 편파성을 제약할 수 있는 칸트의 실천이성 즉 도덕적 이성과 같은 의지에 토대를 두어야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감정과 의지의 고유한 작용 관계를 통찰하지 못한 흄과 마찬가지로 칸트 역시 동정심이나 자비심과 같은 감정들이 이성과 관계하는 본질적 연관을 간과했기 때문에 그의 윤리학이 과도한 형식주의라는 비판을 받게 된 원인이 되었다. 이 글은 보편적으로 타당한 인간적 도덕성의 이해는 단순히 공감적 감정의 교정과 같은 반성적 원리나 순수한 형식적인 이성적 법칙과 원리만으로는 불가능하며, 그것은 칸트의 실천이성의 관점을 수용하면서 도덕적 의지 혹은 도덕적 이성이 감정과 맺고 있는 본질적인 내재적 작용과 연관을 포함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In this paper I tried to show the third way to argue for the thesis that moral judgment contains a objective and universal general one or a general point of view. I would contend insist that Hume failed to show a possible general standpoint of moral judgment by sympathy and humanity through the correcting of sympathy, and Kant couldn`t know that emotions like compassion or benevolence have deeply close relation to reason, likewise. The reason why Hume and Kant failed is that they believed that an general and valid moral judgment is possible through the correction sympathy by reflective imagination or purely formal rational law independently of emotion at all costs. But these conditions is not sufficient to justify possibility of such a moral judgment because Hume`s concept of emotions is insufficient to sustain a general point of view of moral judgment, and Kant`s reason cannot explain properly why we observe or follow moral duty. Therefore I insist that an objective and general moral judgment is based on moral will or rational emotion similar to Kant`s practical reason which contains internal connections between reason and emotion in order to dissolve these problem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