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베트남과 한국의 유학(儒學) 유입과 전개과정 비교연구

        르엉미번 ( Luong My Van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5 No.-

        이 글의 앞부분에서 먼저 필자는 유학이 베트남과 한국으로 유입되는 과정과 18세기의 양국 유학의 특수한 성격을 살펴본다. 베트남 경우에 유학은 기원전-후 즈음에 유입된다. 북방으로부터 독립을 다시 얻은 시기(10세기)에 유학은 치국의 영역에서 정통적인 체계로 확립된다. 그러다가 14세기부터 유학은 독존(獨尊)의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18세기에 들어오면서 유학에 새로운 학술적인 경향이 일어나 뛰어난 학자들 많이 배출되고 우수한 작품들이 출판되는 양상이 나타나는데 이 시기를 베트남 유학사에 있어 가장 정점에 오른 시기로 말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유학은 삼국시대에 수용된다. 14세기 조선에서는 성리학이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위치를 얻는다. 18세기 이르기에 한국유학은 지속적으로 이어진 활발한 성리학적 논쟁과 함께 실학이 전개되고 한국양명학이 형성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18세기의 한국유학을 학술적으로 보면 깊이 있는 전통적인 특징에 덧붙여 다양성이 보완되어 새로운 유학발전의 전환기를 연다고 할 수 있다. 글의 후반 부분에서 필자는 베트남유학과 한국유학을 비교하고 몇 가지 평가들을 제시해 본다. 필자는 이 두 유학체계의 가장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한국유학이 좀 더 강력하고 철저하며 베트남유학은 좀 더 유연한 특징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이 특징으로부터 많은 결과가 나타났고 그 결과들에 따라 한국유학과 베트남유학은 똑같은 유학의 근원에서 출발하지만 놀랄 만큼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In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ism into Vietnam and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wo countries` Confucian intellectual life in the 18th century. Confucianism entered Vietnam around the Christian era, and after the independence from China (in the 10th century), Confucianism became orthodox ideology in the field of state management. From 14th century, Confucianism got the highest status in the whole intellectual life as well as the national culture in general. The 18th century could be regarded as the peak of Vietnamese Confucianism, with a flourish of new theoretical trends, many great thinkers and valuable works. In Korea, Confucianism was introduced in Three-country era, up to the 14th century, means in Joseon Dynasty, Confucianism - or rather New-Confucianism - has gained the controlling status in Joseon`s culture and intellectual life. In the 18th century, Korean Confucianism could be characterized by the theoretical arguments between New-Confucian scholars, the formation as a distinguishing school of Silhak (實學),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Yangming Study. Thus it can be said that Korean Confucianism in the 18th century became diversified and opened a new turning-point to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the second half of the paper, the author attempts to make some remark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Confucianism in the 18th century. One of the differences the most outstanding between these two, according to the author, is that Korean Confucianism is more radical and solid, while Vietnamese Confucianism is more flexible. This different point would produce many outcomes and make the two countries`` Confucianism, although originating from the same source, have surprisingly different looks.

      • KCI등재

        정치는 무위(無爲)인가 유위(有爲)인가? - 정약용과 레뀌돈의 관점 비교 -

        르엉미번 ( Luong My Va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7 No.-

        본 논문은 무위정치(無爲政治)에 대한 정약용과 레뀌돈의 관점을 살펴본 것이다. 무위(혹은 유위有爲)정치라는 주제는 덕치(德治)나 위정자의 수신(修身), 교화(敎化), 왕도(王道) 등과 같은 유교의 정치철학 속에 있는 근본적인 주제들과 밀접하게 연관된 주제이다. 애초에 공자(孔子)가 순(舜)임금의 이상적 정치를 ‘무위이치’로 여겨서 유교의 정치사상사에서 유학자들은 이러한 확언을 논의하지 않고 그냥 무위는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질문에 대해서도 대답과 의견이 많이 있었다. 주희에 이르러서 무위정치란 덕으로 정치를 함으로써 위정자(임금)의 수덕(修德)의 작위가 보이지 않아서 무위라고 불리고, 그 덕이 궁극적으로 이르면 백성에게 하는 교화가 다른 수단이나 방법을 필요하지 않게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이라는 설명은 널리 시인되고 용납되었다. 비록 왕의 수신과 덕치에 강조하더라도 무위정치라는 이론에 있는 ‘아무것도 안 한’다는 뜻이 제어되지 못함으로 실제의 정치에 폐단을 일으키게 되었다. 그 상황에서 정약용은 무위정치에 대한 성리학과 주희의 관점을 직접 살펴보고 비판하였다. 그는 무위가 현학과 청담의 폐단사술이지 성인의 진정한 이론이 아니라고 지적하였다. 공자가 말한 무위는 인재 등용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뿐이고 이상적 정치가 유위의 정치 즉 위정자가 끊임없이 분발한 행동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베트남 성리학자인 레뀌돈은 이상의 정치를 무위정치로 여기지만 무위정치에 대한 그의 해석은 유위정치에 대한 정약용의 해석과 같은 점이 많이 있었다. 즉 그는 위정자의 적극적인 행동을 긍정적으로 받아 들였다. 그러므로 레뀌돈이 이해한 무위는 이상적 정치가 이룰 수 있는 상태뿐이지 정치를 하기 위한 어느 방식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무위와 유위정치에 대한 정약용과 레뀌돈의 관점을 살펴보면 서로 다른 사상적 사조의 속에 있더라도 두 학자 간의 유사점이 있으며, 또한 이러한 유사점은 두 학자의 사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독특하고 진보한 점이라고 할 것이다.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some main contents of Jeong Yak Yong and Le Quy Don’s thought on non-action politics (無爲政治). Non-action (or active (有爲) in contrary) politics is a topic closely connected to other key topics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such as rule-of-morality (德治), self-cultivation (修身), cultural transformation (敎化), the way of King (王道) etc. Right from the beginning of Confucianism, Confucius confirmed that Emperor Shun’s ideal politics was the non-action politics, therefore in the history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Confucian scholars did not consider that confirmation, they only discussed about what non-action politics was. However to that question, there were many different answers. From Zhu Xi downward, almost all Neo-Confucian scholars agreed that non-action politics was governing relying on the morality, in that situation the politician’s self-cultivation could not be seen, hence it was called ‘non-action’. And when that cultivation reached the extreme point, then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people could automatically occur without intervention of other treasures or methods. However, although they emphasized the aspect of the king’s self-cultivation and the rule-of-morality, the meaning of ‘do nothing’ in the ‘non-action politics’ cannot be perfectly rejected and it caused several evils in the real political life. In that situation, Jeong Yak Yong considered and criticized directly the thought of Neo-Confucianism and Zhu Xi on ‘non-action politics’. He thought that ‘non-action’ was nothing but the heretical thought of the Mysterious learning (玄學) and the Pure discussion (淸談), not the genuine thought of Confucian sages. The ‘non-action’ that Confucius said was only the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the engagement of talents in governing the country. The true politics must be active, meaning the unceasing activities of the politicians. In another respect, Le Quy Don - the Vietnamese Neo-Confucian scholar - although admitted that non-action politics was the ideal politics, as the orthodox Confucianism, but his interpretation of ‘non-action politics’ was similar to Jeong Yak Yong’s ‘active politics’, that is to say Le Quy Don affirmed the positive activities of the politicians and their influence to the real political lif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non-action’ in Le Quy Don’s thought seems only a state that the ideal politics can reach to, not some method to control the politics. Considering two scholars’ thought on ‘non-action politics’, we can see similarities of them,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y were from different schools of Confucianism and different countries. And those similarities can be seen as the distinguishing and progressive features of their thou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