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빙랩 (living lab)을 활용한 환경 에너지 정치 교육

        이태동 ( Taedong Lee ),류소현 ( Sohyeon Ryu ),박재영 ( Jaeyoung Park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論集 Vol.50 No.2

        리빙랩(living lab)은 사용자 주도의 실험과 혁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는 리빙랩을 정치외교학과 환경-에너지 정치 수업에 활용하여, 학생(연구자)-지역주민-관-기업이 미세먼지, 폐기물, 에너지 문제 등에 대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지역 기반의 문제 해결 중심수업에서 리빙랩은 학생-지역주민-관-기업의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 참여와 실험을 포함한다. 리빙랩을 통해 시제품 (프로토타입: proto-type) 혹은 정책안 제시가 가능하며 정책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리빙랩을 교육방법론으로 활용할 경우, 각기 다른 환경에서의 미시적 실험 결과와 방안 제시를 어떻게 일반화할 것인가, 사용자들의 문제 인식과 이해를 어떻게 조율할 것인가, 프로토타입을 어떻게 실현 (혹은 상용화) 할 것인가 라는 과제도 남긴다. Living Lab is a problem-solving method through user-centered experiment and innovation. This research explains the application of living lab methodology to Environment and Energy Politics, a course from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t suggests the process of students (researcher)-local community-public-private partnership defining related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waste and energy, and pursuing the solutions. Living lab includes problem-solving participation and experiment by the student-local community-public-private partnership dur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community-based circumstance. It is possible to develop prototypes or policy methods and to enhance policy adoption by living lab. However, living lab as pedagogics still has limitations to be solved; generalizing the experiment results and solutions derived from microscopic setting, managing different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problems from users, and realizing or commercializing of living lab prototype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제도적 역량의 측정과 유형화

        이태동 ( Taedong Lee ),류소현 ( Sohyeon Ryu ),정혜윤 ( Hyeyoon Jeong ),김한샘 ( Hansaem Kim ),고인환 ( Inhwan Ko ),박재영 ( Jaeyoung Park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2

        전세계적인 기후변화는 한 국가에서도 지역에 따라 끼치는 영향이 다르다. 이에 기후변화 적응 대책 또한 지역이 처한 위험과 취약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지역 기후 변화 취약성에 대한 자연과학연구에 비해, 지역과 지방자치단체의 기후 적응 제도적 역량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지역의 기후 적응 제도적 역량을 개념화하고 측정한 후 적용하여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2차기후변화 대응 계획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이 연구는 한국의 17개 광역시도의 기후변화 적응의 제도적 역량을 계량화하여 측정한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는 기후 인식, 리더십, 예산, 조직의 기후 적응 제도적 역량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자체가 시민들과 공무원의 기후변화 인식 증진, 기후 리더십의 주류화, 적절한 기후 조직과 예산을 갖출 것을 제안한다. Global climate change has different impacts on local places.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with adaptive capacity vary in responding to different local climate vulnerability and risk. While natural science research and projects on measuring local vulnerability have looked at local climate attributes, research on adaptive capacity, particularly institutional capacity has been scant.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measure, and categorize institutional capacity for local climate adaptation. By analyzing the data of the 2 nd climate adaptation action plan, we quantitatively measure and categorize climate adaptation institutional capacity of 17 Korean provinces and metropolitan cities. To effectively tackle local climate adaptation,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improve institutional capacity in perception, leadership, organization capacity, and climate budget. For this end, this study suggests policy direction to enhance climate change sensitive perception of citizens and public officers; to mainstream local political leadership on climate adaptation, and securing climate budgets and comprehensive gover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