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 내 대학 교양교육의 글쓰기 교과목에 대한 고찰 -도쿄외국어대학 글쓰기 교과목(기초 연습)의 현황과 과제-

        다카하시아즈사 ( Azusa Takahashi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1 교양교육과 시민 Vol.3 No.-

        본고에서는 2012년 도쿄외국어대학(東京外國語大學) 외국어학부 개편 이후 “세계 교양 프로그램”으로 설치된 글쓰기 교과목(기초 연습) 사례를 통해 일본 내 대학 교양교육의 글쓰기 교과목 현황과 과제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위해 빠른 시기부터 글쓰기 교육을 실시해 왔던 도쿄대학(東京大學)과 간사이국제대학(關西國際大學)의 사례를 연구했다. 도쿄외국어대학 사례에 있어 “기초 연습”을 담당하는 교수자와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분석하여 도쿄외국어대학의 글쓰기 과목이 가지는 의미와 과제에 대해 분석했다. 그 결과, 이하의 세 가지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는 도쿄외국어 대학에서의 “기초 연습” 수업은 도쿄대학 “초년차 세미나”와 마찬가지로 자료의 수집, 분석을 토대로 한 리포트 작성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교수자마다 여러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질문을 구성하는 법 등, 리포트를 쓸 때 필요한 아카데믹 스킬을 수업에서 가르치고 있다는 점이 공통된다는 점이다. 셋째로 교수자들은 문헌에 관해 논의하는 등 논문의 내용에 관한 부분이 수업에서 다루어지지 못한 점을 문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처럼 도쿄외국어대학 “기초 연습”은 학생들이 리포트를 쓰는 능력을 어느 정도 향상하는 데 유익하며 다른 수업을 수강할 때도 활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인원수나 수업 시간의 부족, 충분히 실시되지 못하는 피드백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수업 시간에 연구서의 강독이나 검토 등 논문의 내용에 관한 부분까지 다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남아 있었다. “기초 연습”의 역할을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전공을 살리는 수업 설계, 인원수의 감축, 글쓰기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의 설치 등을 통해 논문의 내용을 다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UFS) offers the Education for New Students (First-Year Experience) course (basic seminar) as part of its Global Liberal Arts Program, which was established in 2012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Faculty of Foreign Studies. Through the case of the basic seminar at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academic writing courses and their teaching materials in Japanese universities. First, as a background, this study presents cases at the University of Tokyo and Kansai University of International Studies, two of the first institutions to implement first-year education. Next,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data from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in charge of the TUFS basic seminar, this research discusses the essence and issues of academic writing courses at TUFS. As a result, this study clarified three points. First, the basic seminar at TUFS, like the First-Year Seminar at the University of Tokyo, focuses on writing reports based on material collection and analysis. Second, despite differences in the teachers’ instruction methods, they all shared the same approach, which was teaching the necessary academic skills for writing reports, such as how to formulate questions. Third, the faculty members were concerned that they could not sufficiently address their students’ written content. Thus, to some extent, the basic seminar at TUFS can be considered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bility to write reports. On the other hand, several factors, such as the large number of students per lecturer, the lack of class time, and the lack of sufficient feedback, have sometimes limited paper content coverage, including reading and reviewing research papers, during class time. To clarify the basic seminar’s role as a liberal arts subject, it is necessary to design classes that utilize the specialties of relevant faculty members, implement small classes, and establish a specific department for first-year education to guide thesis content.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인 작가의 창작이 생성된 장(場)이란? : 창작 언어, 발표 매체, 교류

        다카하시 아즈사(Azusa Takahashi)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5 No.-

        이 글은 라운드테이블 “교차하는 한국학의 장소들”에서 행해진 필자(다카하시 아즈사)의 연구 소개 및 다른 참가자에게 던진 질문들을 기록한 것이다. 또한 이 글은 라운드테이블 당일에 준비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라운드테이블을 같이 진행한 정한나, 조은애 선생님의 질문을 받고 수정/가필한 부분도 포함하고 있다. 필자가 연구 대상으로 삼은 작가 김사량(1914-1950?)은 식민지기에 일본어로 많은 작품을 발표한 이른바 ‘일본어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아쿠타가와상 후보작이 된 「빛 속으로(光の中に)」(<문예수도(文藝首都)>, 1939.10)에 일본사회에서 조선인들이 느끼는 갈등이 그려졌기 때문에 다른 ‘일본어 작가’와 달리 ‘민족주의 작가’라는 잣대 속에서 언급되는 경우가 많았다. 필자도 처음에는 김사량의 ‘저항’한 ‘일본어 작가’라는 이미지를 전제로 하면서 김사량 작품에 접하게 되었기 때문에 작품에 새롭게 접근하지 못했던 것 같다. 그런데 필자가 박사과정에 들어간 2010년대에는 한국과 일본에서 검열 등 문학이 발표된 매체를 둘러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필자도 김사량이 작품을 발표한 잡지가 작가의 창작활동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되었는지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다. 나아가 김사량이 일본어로 많은 작품을 발표해 왔던 시기에 조선어로도 작품을 발표했다는 점에 주목하여 지금까지의 ‘일본어 작가’라는 틀을 벗어나 김사량 작품을 둘러싼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필자의 박사논문(「김사량의 이중어 문학 연구: 식민지기의 조선어/일본어 창작을 중심으로」, 도쿄외국어대학 박사논문, 2019)은 김사량이 <문예수도>의 동인으로 식민지 출신 작가들과 교류하면서 문제의식을 공유했다는 점, 그리고 그가 두 가지의 언어를 왕복하면서 창작했다는 점을 통해 김사량이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창작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두 선생님께 발표 매체, 창작 언어, 여성 등장인물을 둘러싼 묘사(방언)에 관한 질문을 던져 봤다. 김사량이 조선어와 일본어로 동시에 창작했다는 상황은 당대의 식민지 조선의 작가 및 해방후의 재일조선인 작가들에게 공통된 특성이라는 것을 이번에 선생님들과의 대화를 통해 새삼스레 생각하게 되었다. 쓰여진 언어와 발표된 매체를 함께 염두에 두면서 김사량의 작품이나 평론을 다루는 필자의 논문의 연구방법이 김사량 작품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식민지 조선의 문학 작품과 평론, 해방후의 재일조선인 문학 작품에 관한 연구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 등, 선생님들과의 대화를 통하여 필자의 연구를 재검토할 수 있었다. On account of the masterpiece “Into the Light (Hikarinonakani),” Kim Saryang(1914–1950?) was often described as a nationalist writer, unlike other Japanese-language writers. While it was difficult to escape from such evaluation of Kim’s work, in the 2010s, media studies of modern literature were actively conducted in Korea and Japan. During this period, l explored how the medium of Kim’s works influenced his writing. In my doctoral dissertation, I was able to discover that Kim Saryang created his works through a process of trial and error that was informed by his interactions with colonial writers, as a coterie member of Bungei Shuto. I further examined how he wrote his works shifting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 KCI등재

        이동과 창작언어로부터 본 김사량 문학의 생성 : 일본과 중국으로의 이동 경험을 중심으로

        다카하시 아즈사(TAKAHASHI Azusa)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4

        본격적으로 일본 문예지에 작품을 발표하기 전에 일본과 중국(북경)으로 ‘이동’한 경험을 가진 김사량(1914~1950?)은 이후 ‘이동’의 경험을 이중언어 수필로 발표하였다. 김사량이 일본으로 ‘이동’했던 시기는 그가 일본어 창작을 시작하기 직전이었고, 그가 중국(북경)으로 ‘이동’했던 시기는 그가 본격적으로 일본 문예지에 작품을 발표하기 직전이었다. 이 점에서 김사량의 일본 및 중국으로의 ‘이동’은 그의 창작과 상당한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그동안 연구자들은 그의 ‘이동’에 충분히 주목하지 않았다. ‘이동’ 경험을 다룬 김사량의 수필은 그의 전기적 사실을 정리할 때 함께 언급될 뿐, 그 수필을 그의 작품과 함께 검토한 경우는 지금까지 거의 없었다. 본고는 김사량의 일본과 중국으로의 ‘이동’ 경험이 그의 문학 생성(生成)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일본으로 ‘이동’한 김사량은 문예동인지 『제방(堤防)』과 『문예수도(文藝首都)』에 참가하는데, 이때 그는 자신의 경험과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식민지 출신 작가들과 교류하고 제국의 ‘국민’에서 배제된 조선인 이주 노동자의 삶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또한 중국으로 ‘이동’한 결과 김사량은 북경 ‘만유’를 다룬 조선어 수필 「북경왕래(北京往來)」(『박문』, 1939.8)와 일본어 수필 「에나멜 구두의 포로(エナメル靴の捕虜)」(『문예수도』, 1939.9)를 남겼다. 김사량은 중국으로 이동 중에 제국 일본의 시선으로 중국의 현실을 이해하지 않았다. 그는 일본의 침공 하에 있는 북경에서 중국의 고유문화가 남아 있음을 발견하며 나아가 중국인이 ‘게릴라전’의 형태로 제국 일본에 ‘저항’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는 북경에 살고 있는 조선인이 제국 ‘국민’의 입장에서 조선인이 “방약무인”한 태도를 취하는 것을 비판적으로 제시하면서, 사실 조선인들은 중국인의 “포로”라고 인식하였다. 김사량의 시선은 중국인의 저항에 식민지 작가로서 공감한 것이었다. 김사량은 두 번의 ‘이동’ 경험을 통해 제국 일본의 국민 안에서 조선인의 유동적이고 불안정한 위치를 확인하였다. 그는 일본 ‘이동’의 경험을 통해 ‘국민’에서 배제된 존재들과 조우하며, 또한 중국 ‘이동’의 경험을 통해 북경에서 저항하는 중국인들의 ‘게릴라전’을 목격하며 식민지 조선인의 ‘국민’으로서 정체성을 재고하였다. 이후 김사량은 자신의 작품에서 제국 일본의 ‘국민’으로서의 정체성과 어긋나는 식민지 조선인의 정체성에 대한 탐색을 이어간다. Kim Saryang (1914-1950?) had experiences of “moving” to Japan and China (Beijing) before publishing works in Japanese literary magazines. He also wrote about these travel experiences in his essays, expressing how such “movement” was key to his experience as an author. Kim Saryang “moved” to Japan just before he started to write novels in Japanese, and he “moved” to China (Beijing) just before he published his works in Japanese literary magazines. Kim’s experiences of “moving” to Japan and China may be significantly related to his creative works. However, researchers have not paid enough attention to his movement across the Japanese empire. His essays directly addressing his experiences in Japan and China are generally only mentioned as a part of his biographical summary, and only a handful of studies has reviewed these essays along with his fictional works. This paper considers how Kim’s experience of “moving” to Japan and China influenced his literary creation. After he moved to Japan, he participated in literary coterie magazines Teibo and Bungei shuto, which also brought him to interact with Japanese and colonial writers. Through participating in these magazines as a coterie member, he became interested in the lives of Korean migrant laborers. On the other hand, Kim Saryang published essays which deal with his tours (manyu) in China;“Beijing Street” (Pangmun, August 1939), written in Korean, and “The Prisoner with the Enamel Shoes” (Bungei shuto, September 1939), written in Japanese. Both essays focus on his realization of the remaining indigenous cultures in Beijing under Japanese invasion, and further discovery that the Chinese are “resisting” imperial Japan in the form of a “guerilla war.” Particularly, through his Japanese essay, Kim describes Koreans living in Beijing taking a culturally superior attitude toward the Chinese, whereas Kim’s critique of the situation demarks Koreans as “captives” of China. It shows that Kim Saryang criticizes the superior attitude of Japanese and Koreans who advanced to Beijing along with the expansion of Imperial Japan, using their status as “nationals” of Imperial Japan to belittle the Chinese. As a result, Kim Saryang’s “moving” experiences reveal Korean peoples’ fluidity and unstable subjects as a “nation” within Imperial Japan. It can be said that his works released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depict various subjects who deviate from the “national subject” (kungmin), who are likely influenced by his “moving” experiences in Japan and China and encounters with people excluded from the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