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전문대학의 응용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 산동성 내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노검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Applied Korean Language in a junior college, which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curriculum for Korean learners for vocational purposes in China,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it.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China Colle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s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Shandong University of China. In addition, in order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 that can be applied in the actual Korean language field,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and professor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 Shandong Province, Chin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the go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pplied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junior colleges in China and the contents to be learned were set more clearly and proposed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In Chapter 1, we looked at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ts scope and methods, and existing studies. It was analyzed focusing on related research in Korea and China as a prior study necessar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Chapter 2 summari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xamined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meaning of the Chinese language. To this end, we first identified theories such as the concepts, components and development procedures of the curriculum, and the concepts and types of syllabus. Next, we looked at the concep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types by purpose, and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 found out the definition of a Korean curriculum for general purposes and a Korean curriculum for special purpose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vocational purposes can be said to be Korean-related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general purposes," in that Korean is educated as a way of clear practice. It will examine the general theory of curriculum and the theory of Korean curriculum, analyze the Korean curriculum of colleges in Shandong Province, and conduct a demand analysis for learners and education officials to use it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Chapter 3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applied Korean language major in China College and the actual state of the curriculum. First of all, we looked at the concept of applied Korean language major in Chinese colleges and looked at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language majors in general universities. We looked at the large framework of China's general university curriculum and identified what the representative curriculum was like in the case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Next, we examined the curriculum and current state of education of applied Korean language majors in Shandong Province, China. After examining the large framework of the curriculum of Chinese colleges, we analyzed specifically the applied Korean language education goals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Chinese colleges. Eight representative schools in Shandong Province, the region with the most applied Korean major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current education status used by the universities. Referring to the curriculum framework of Jeon Young-chul et al. (2009) and Kim Joong-seop et al. (2017),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pplied to colleges in China was analyzed into five categories: communication functions, language knowledge, culture and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in the applied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a Chinese junior university organiz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function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appli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Korean Writing" subject was relatively difficult to train "Korean Writing" skills because it did not have many teaching hours. Second, subjects that train language knowledge skills accounted for the lowest percentage of all functions, 2.83%. This meant that there was a very lack of subjects related to the language knowledge system.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lack of class assignment for subjects related to culture and literature. Fourth, the subjects related to job performance accounted for a considerable portion, but it seemed that more subjects with greater practicality should be opened to learners. Fifth, even though the subjects related to practical and practical training accounted for a reasonable portion, it is necessary to open many practical and practical courses to enhance the practical effectiveness. In addi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curriculum were presented, and education difficulties such as textbooks, faculty, and teaching methods were reviewed. In addition, I wanted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Korean language major. In Chapter 4,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and demand of the current applied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um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applied Korean language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eds of learners and professors of Korean language at junior colleges, the problem of the appli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forms the ba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los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firmed that learners and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Applied Korean Language at Chinese College generally need to improve the current curriculum. In additio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revealed that the goals of each subject's learning are not clearly presented, the setting of the subject is not appropriate, and the allocation of class hours of the practice and theory courses is not appropriate. These problems ar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study and are actively reflected in presenting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Chapter 5 presented problems in the appli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Shandong Provincial College and measures to improve them accordingly based on the situation analysis conducted in Chapter 3 and the demand analysis conducted in Chapter 4. Finally, four ways to improve the appli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Chinese colleges were summarized. First, it is the realization of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s target for human resources education. Second, it reflects measures to foster talent that are tailor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Thirdly, it is an improvement in the hands-on process. Fourth, it is developing a plan to promot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Chapter 6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progress of the study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이 연구는 중국 내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의 대표적인 사례인 전문대학 내 응용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의 운영 현황과 각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에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중국 산동성 전문대학 한국어 교육에서 교육과정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중국 산동성 내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 학습자와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현행 응용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내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학습하여야 할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설정하고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범위와 방법, 기존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선행연구로 한국과 중국 내의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중국 내 광의의 의미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이론적인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과정의 개념, 구성요소 및 개발 절차, 그리고 교수 요목의 개념과 유형 등 이론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념, 목적별 유형 및 한국어 교육과정의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일반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특수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정의를 알아내었다.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은 명확한 실무를 위한 방안으로 한국어를 교육한다는 점에서 ‘일반 목적’과는 구분되는 ‘특정 목적’의 한국어 관련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 일반 이론과 한국어 교육과정론을 살펴보고 산동성 내 전문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학습자와 교육 관계자를 대상으로 요구 분석을 실시하여 개선 방안 제시에 활용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 개관 및 교육과정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에 먼저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 전공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일반 대학의 한국어 전공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중국 일반 대학 교육과정의 큰 틀을 살펴보고 그 중에 한국어학과의 경우에는 대표적인 교육과정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중국 산동성의 전문대학 응용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과 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의 큰 틀을 살펴보고 나서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 교육 목표와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응용한국어 전공이 가장 많이 개설된 지역인 산동성의 대표적인 8개 학교를 선정하여 그 대학들이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과정과 현재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전영철 외(2009)와 김중섭 외(2017)의 교육과정의 틀을 참고하여 중국 내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을 의사소통 기능, 언어지식, 문화와 문학, 직무 수행 관련 및 실무+실훈 등 5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함으로써 실제로 각 영역의 교육 내용을 포함한 현황 및 특성을 밝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정리된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에서의 교육과정의 특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용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기능은 절반 이상의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한국어 쓰기’ 과목은 비교적 교학 시수가 많지 않아 ‘한국어 쓰기’능력을 양성하기에 좀 어려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둘째, 언어지식 능력을 양성하는 교과목들은 전체 기능의 2.83%로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언어지식 체계와 관련 있는 교과목이 아주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셋째, 문화와 문학에 관련된 교과목도 수업 배정이 부족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직무수행에 관련된 교과목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학습자들에게 실무성이 큰 과목은 더 많이 개설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였다. 다섯째, 실무+실훈에 관련된 교과목들은 적당한 비중을 차지하였는데도 실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천과 실훈 교과목을 많이 개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교 분석을 통해서 기존 교육과정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교재, 교수진, 교수법 등 교육 실제 애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응용한국어 전공의 특성도 정리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이 연구의 실용적 가치를 고려하여 응용한국어학과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응용한국어학과 학습자와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현행 응용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대학 응용한국어의 학습자와 교수자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 전문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데 한국어 교육의 기틀을 이루는 응용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통해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 학습자와 교수자들이 보편적으로 현행 교육과정에 대해 개선할 필요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 각 교과목 학습의 목표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못하고 교과목의 설정이 적절하지 못하고 실천 과정과 이론 과정의 수업 시간 배정도 적절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큼 것으로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적극 반영하였다. 5장에서는 3장에서 진행한 상황 분석과 4장에서 진행한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산동성 전문대학의 응용한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전문대학에서의 응용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은 최종적으로 다음의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중국 교육부의 인재 교육 목표 구현이다. 둘째, 지역 특성에 맞춘 인재 육성 방안 반영이다. 셋째, 실습 과정의 개선이다. 넷째, 산학협력 증진을 위한 방안 개발이다. 6장은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연구 진행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