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히스토리와 음식의 역사 -음식 속에 내포된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 -

        남철호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동서인문학 Vol.0 No.59

        This theses aimed to review the power and ideology in food. I have studied three aspects on the columbian exchange, foods, colonialism and capitalism, and food’s globalization. So, I have three concludes as followings. Firstly, the Columbian exchange was not just an ecological exchange of animals and plants. It led to the exchange of foods and the subsequent colonialism and capitalism development. Also this brought the power of Europe and America. Foods became the basis of colonialism and capital(or capitalists) rule. Secondly, Power lies in foods, and that power is occupied by Europe and America. They brought about domination and expansion of capital markets through foods. After the Great Depression, governments of each country attempted to actively engage the state and expand capitals. This phenomenon continues today. And lastly, with the influence of neoliberalism in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policies and market favorable to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ere applied, and it was food that played leading roles. There are two aspects to the globalization of food, which can be reduced to the domination of capital and resistance to it. Our current situation is also in this context, but I hope we do not make the same mistake. 이 논문은 음식에 내포된 권력과 이데올로기 문제를 다루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먼저, 콜럼버스의 교환에 의한 생물학적 교환은 매우 포괄적이었다. 식민 시기 음식은 신분과 카스트의 전형을 보여주었고 일부 교환과 확산은 이를 유지한 채 이루어졌다. 음식은 문화적 민족주의를 대표하였다. 다음으로, 음식 속에는 식민주의와 자본주의 발달의 뿌리가 놓여 있다. 음식 정책은 자본주의 발달과 궤를 같이 하였다. 음식은 또한 유럽인의 식민과 기타 지역의 민족주의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멕시코의 혼합 음식은 민족 해방과 통합의 상징으로 읽히기도 한다. 식습관과 조리법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음식과 농업 분야에서 생산과 자본주의 관계의 발달로 생산을 증대 해왔으며, 그로 인해 음식 본연의 모습과 그것에 접근하는 사람의 모습을 크게 변화시켰다. 게다가 지역과 계급의 투쟁 산물인 음식 제도를 합리화하기 위한 국정운영은 농촌 생산업자와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의도적으로 희생시키면서 도시민에 유리한 결과를 낳았다. 마지막으로, 현대의 음식 글로벌화는 제2의 식민시대의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음식의 글로벌화는 신자유주의와 그 체제의 확산과 밀접하다. 그 결과, 자본주의 하의 불평등과 함께, 북반구의 남반구 지배와 남반구인의 북반구를 위한 농업 생산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식습관 및 음식을 새로운 형태로 유지하기 위한 운동이 전세계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아래로부터의 글로벌화와 反GMO(유전자변형작물) 운동과 같은 다민족 생산업자와 소비자 네트워크 형성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러한 운동과 조류는 엄청난 사회적, 경제적 압박하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생산과 음식 습관에 대한 광범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지나친 국가의 개입과 통제 정책, 제2의 식민주의, 그리고 신자유주의의 폐해를 다시는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과내용 선정과 조직- 글로벌 히스토리와 세계사 교육을 중심으로 -

        남철호 대구사학회 2013 대구사학 Vol.113 No.-

        This theme aims to review the elementary school text Sociology『6-2』chapter 2 according to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 History, and to offer some proposals. I have some results in this theme as follows. Firstly, the global history is one of the new world history. It is a new field of history studies in this age. The global history pursuits the world history of diffuse, network, experience, environment(nature), and Big History. It also stresses the history of cultural negotiation, cultural diversities, and comparative studies. The global history must intend to remove the focus of the nationalism and self-states, and intend to examine the vast majority of history and all events in the world from Big Bang to the present times. The global history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education aim of the subjec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Secondly, after examining, I have pointed the errors in the text『Sociology 6-2』and proposed some improvements. Also, according to the method of global history studies, I suggest that the text『Sociology 6-2』chapter 2 is divided into Afro-Eurasia, America, and Australia instead of the southern hemisphere and the northern hemisphere. Thirdly, we should choice the events and topics rather than chronological approach, and comparative approaches should be considered. These are cultivating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and the ways to overcome the complaints of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progress of classwork. We also should consider the project teaching in text『Sociology 6-2』chapter 2(especially unit 4) and multicultural education. Lastly, by way of the method of the global history, we must aim to understand the various world and culture. And I have stressed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exchange. So, I hope that a true world history education take place and foster true democratic, and global citizens in the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19세기 스코틀랜드 기독교 차티스트 교회의 설립과 활동

        남철호 대구사학회 2014 대구사학 Vol.115 No.-

        The Chartism began in May, 1838 when the People’s Charter was published. The Scotland Chartist movement is called ‘Christian Chartism.’ This theme aims to review Scotland Chartism, especially to review ‘Christian Chartists Churches’ in the 19th century. I have two results in this theme as follows. Firstly, the most significant development of the early 1840s in Scotland was the spread of Christian Chartist Churches. They are particularly extensive in Scotland. The center of the Christian Chartist Churches was Glasgow. Christian Chartist Churches are established by the conflicts of the religion of the 1830s and so on. Secondly, there are many Christian Chartists and Churches in the 19th century Scotland. It can be argued that Christian Chartist Churches had have great effects on political and religion reform, education, and the course of the chartist movements. The Chartists Churches seem to have been stronger in Scotland, but this is because Church issues were right at the forefront of Scottish political debate in the 1830s and 1840s. Summing up, the Christian Chartist Churches was developed in Scotland in the early 1840 and after 1843 they were spread in England. They have great roles in the chartist movements in the 19th century English history. (Gyeou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nch64610@chol.com)

      • KCI등재
      • KCI등재

        스코틀랜드 차티스트 운동과 언론

        남철호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8 No.-

        So far, I have been reviewed the Scottish Chartist movement and pres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ly, the thesis was reviewed by Scottish Chartist journals, the True Scottman, the Scottish Patriot, and the Chartist Circular. The three media, each with their own colors, led the Scottish Chartist movements. The Scottish Chartist Movement was mainly developed by Christian Chartism, Teetotal Chartism, and Education Chartism, and the three media played a major role in promoting the movement from these three perspectives. Secondly, the Scottish Chartist press was largely anti-Whig, and opposed the use of 'physical force', albeit with occasional ambivalence. Although the three presses competed, the Chartist movement was divided and newspapers were shut down, but their common goal was clear. It was the reform of workers and society as a whole through the acquisition of universal suffrage, improvement of workers through education, the workers' abstinence movement, and reform of the church (Christianity). In the midst of these competitions and movements, various social reform programs were derived from and the Chartist movement was nurtured to continue in the 1860s and beyond. 본 논문은 스코틀랜드 차티스트 언론인 트루 스캇먼지, 스코티시 패트리엇지, 그리고 차티스트 서큘러지를 검토 대상으로 하여 언론의 간행과 목표, 성쇠, 그리고 경쟁과 활동 등에 초점을 맞추고 살펴보았다. 세 언론은 각자 고유 색깔을 지니면서 스코틀랜드 차티스트 운동을 이끌어나갔다. 스코틀랜드의 차티스트 운동은 주로 기독교 차티스트 운동, 금주 차티스트 운동, 그리고 교육 차티스트 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는데, 상기 언론이 이러한 운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스코틀랜드 차티스트 언론은 대체로 反휘그적 입장을 견지하였으며, 가끔 이중적인 태도를 취하기는 하였으나 ‘물리적 힘’의 사용을 반대하였다. 비록 세 언론이 경쟁하면서 차티스트 운동이 분기되고 신문이 폐간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이들의 공동 목표는 명확하였다. 보통선거권 획득, 교육을 통한 노동자들의 물리적 상황 개선, 노동자들의 금주운동, 그리고 교회(기독교) 개혁을 통한 노동자와 사회 전반의 개혁이었다. 차티스트 언론의 경쟁과 운동 속에서 다양한 사회개혁 프로그램이 도출되었고 차티스트 운동을 1860년대와 그 이후로 지속할 수 있는 자양분을 키웠다. 나아가 그것은 영국 특유의 평화적이면서도 점진적인 노동운동의 선례를 남겼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음식의 역사와 글로벌 히스토리- 음식 역사의 연구사와 세계사 서술을 중심으로 -

        남철호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동서인문학 Vol.0 No.54

        This thesis is aimed to review the Global history and the history of food history, and to produce a few proposals. I have two results as followings. As a scholarly field, food studies is very import the general on the one hand, and the particular, on the other. This thesis reviews scholarship connecting the histories of food and of human mobility in order to think about how and under what circumstance food practices ‘spread’ or ‘diffuse’ among many or all human societies. I have basically looked up the books of Patrick Manning, Ross Dunn, Adrian Carton, and Jeffrey M. Pilcher. I have especially stressed three periods. Firstly, it is the earliest or Paleolithic(Stone Age) periods and humans. Secondly, it is Columbian exchange and 19th and 20th century. And lastly, it is our present period. The three cases explored briefly here suggest that each of the food regimes considered-foraging, international commerce in staple foodstuffs, and fast food(McDonaldization)-has been associated with a distinctive mobility regime. So, I suggest that new high school’s world history texts are contained theses contents. 이 논문은 음식의 역사와 인간의 유동성과 관련하여 연구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동아시아사와 세계사 교과서 목차에 대한 간단한 제언을 하였다.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선사 시대 인류사와 관련하여, 정주주의의 개념을 거부하면, 수렵과 채집, 유목민 및 목축업자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고 나아가 토인비식 문명사 서술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음식을 찾아 나선 초기 인류의 이주와 다양성은 인류사의 엔진 역할을 하였다. 새로운 세계사는 선사시대로 더 확장되어야 하며, 이는 글로벌히스토리와 나아가 빅 히스토리의 가능성까지도 열어 준다. 둘째, 문화 이동, 전파, 확산, 채용 및 발명을 음식과 이주의 문제와 연관시켜서볼 때 그것은 매우 복잡한 문제이다. 지구화를 문화적, 무역적 관계망의 공고화의의미로 받아들인다면 요리 형태로는 이미 수세기간 지속되었다. 오히려 콜럼버스교환 시기는 제국주의자나 정복자에 의한 차용된 상품과 간접적 확산에 대한 이야기일 수도 있다. 다만, 19세기와 20세기 대규모 이주시기 동안에는 이주자들뿐만아니라 내국인 혹은 모국인들도 이주자들이 전파한 음식과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받았다. 오리엔탈리즘적 역사 설명에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시기는 앞의 두 시기와는 전혀 다른 형태로 음식과 문화가이동, 전파, 확산, 그리고 발명 되고 있다. 현재 음식의 전파와 확산 과정을 보면이전 시기의 사람의 이동에 따른 형태와는 차원을 전혀 달리하고 있다. 이는 주로관광, 매스 미디어, 상업적인 기업 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전파된다. 그러나 획일화내지는 동질화가 아닌 일종의 재정립된 확산의 형태를 띤다. 이러한 변화된 양상들이 문화적 측면에 대한 설명뿐만 아니라 세계사 서술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