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노인의 구강건강 특성에 따른 구강 근기능 운동프로그램 효과

        남지애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With common systemic diseases in seniors, such as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most elderly people are likely to have weak oral tissues and neglect oral hygiene, resulting in suffering different oral health problems including tooth loss, periodontal disease, and dry mouth. In particular, oral muscles also decrease in functions due to aging, which includes muscles in the tongue, the mastication, and the lip. This leads to problems such as chewing, eating, swallowing, and pronunciation in the elderly, and reduces the quality of their life by affecting not only oral but also general health. In order to maintain and improve the functions of oral muscles, it is essential to provide seniors with exercise programs for strengthening oral muscles functions. Against the backdrop,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s for strengthening oral muscles on the improvement of oral muscle functions and develop materials for increased awareness of oral muscle functions in the elderly and for developing community exercise programs for them to strengthen oral muscle functions. To this end, from June 1 to October 16, 2022, a survey and an exercise program for strengthening oral muscles were provided twice a week in 16 sessions for eight weeks to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ho used services from a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located in City Y, Gyeongsangbuk-do. Data from 37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cluding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7 in the control group. The questionnaire examined subjective oral conditions, such as dry mouth, chewing, and swallowing, and objective oral functions, including bite force, tongue pressure, maximum opening of the mouth, and alternating oral move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n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oral muscles exercise program, the results were measured three times before intervention and four weeks and eight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hich was analyzed through repeated measures ANOVA. As a result of attending the eight-week exercise program, the research subjects showed decreases in subjective dry mouth, chewing ability, and swallowing and increases in bite force, tongue pressure, the maximum opening of the mouth, and alternating oral movem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oral muscles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functions of oral muscles in the elderly. It is expected for futur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for strengthening oral muscles on different subject types, such as elderly people in nursing homes or those with systemic dis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vitalize programs for seniors’ oral muscle functions in welfare centers and nursing facilities. 노인들은 당뇨, 고혈압 등 다양한 전신질환으로 인하여 구강 내 조직이 약화되고 구강위생 또한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아 치아 상실 및 치주질환, 구강건조증과 같이 다양한 구강건강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노화로 인한 근기능 감소는 구강에서도 발생하며 대표적으로 혀, 저작근, 구순근의 감소가 있다. 구강 근기능 감소는 노인의 저작, 섭식, 연하, 발음, 삼킴 등의 문제가 발생되며, 단순히 구강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전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쳐 노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최근 노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혀근력, 저작근, 구순근, 연하 등의 구강 근기능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복지관 이용 노인들에게 구강 근기능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 노인의 구강 근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2년 6월 1일부터 2022년 10월 16일까지 경상북도 Y시 소재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실험군 20명, 대조군 17명으로 총 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구강 근기능 운동프로그램을 8주 동안 주 2회 총 16회 시행하였다. 주관적 구강 상태는 설문지를 통해 구강건조증, 저작, 연하를 측정하였고, 객관적 구강 근기능은 교합력, 설압, 최대 개구량, 조음교대운동을 측정하였다. 구강 근기능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개선 효과 차이 확인을 위해 시행 전, 시행 4주 후, 시행 8주 후 변화를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8주간의 구강 근기능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틀니 유무에 따른 구강 근기능 차이는 교합력과 설압, 최대 개구량에서는 틀니 미착용군이 프로그램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음교대운동은 틀니 착용군에서 구강 근기능 프로그램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구치부 현존 치아 수에 따른 구강 근기능 차이는 교합력은 5개 이상 보유군에서 운동프로그램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설압, 최대 개구량, 조음교대운동에서는 5개 미만 보유군에서 구강 근기능 운동프로그램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전치부 현존 치아 수에 따른 구강 근기능 차이는 교합력과 설압, 최대 개구량에서 전치부 치아 8개 이상 보유군에서 개선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음교대운동은 전치부 치아 8개 미만 보유군에서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구강 근기능 운동프로그램은 주관적 구강건조감과 저작 능력과 연하를 완화시키며, 교합력, 설압, 최대 개구량, 조음교대운동량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시행한 구강 근기능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구강 근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구강 근기능 향상 운동과 더불어 복지관 및 노인요양시설 등에서의 구강 근기능 운동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치위생과 학생들의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인식 및 실천도 : 경북일부지역을 중심으로

        남지애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인식 및 실천도를 파악하고자 2018년 3월 5일부터 3월 23일까지 경상북도에 소재한 전문대학의 치위생과 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대응표본 t검정, 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도는 의료폐기물관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식과 실천도 차이에서는 개인보호장구착용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감염관리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의료폐기물관리에서 인식과 실천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실습경험 중 교외실습경험이 있는 경우 감염예방인식과 개인보호장구착용, 의료폐기물관리에 있어 인식도가 높았고, 교내 상호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에서는 손씻기에 대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내실습경험은 기구소독 및 멸균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인식과 실천도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감염관리에 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실천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식과 실천도 간의 차이가 나타나므로 실천도를 높이기 위해 감염관리의 기준의 체계 확립에 대한 국가차원의 정책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며, 임상에서 실제로 실천할 수 있도록 연계성 있는 교육프로그램개발과 이론에서 그치지 않고 실습까지 같이 병행되어 직접 습득 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dental infection control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312 dental hygiene students at junior colleges in Gyeongsangbuk Province on March 5 ~ 23, 2018. Collected data was put to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aired-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1.0 program. The findings show that the respondents recorded the highest perception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medical waste management and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 and practice in the wear of personal protective gear. When they had an experience with infection control education, they scored high points both i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medical waste management. When they had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s off-the-campus, their perception level was high in infection prevention, wear of personal protective gear, and medical waste management. When they had experiences with mutual practical training on the campus, their perception level was high in hand washing.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s on the campus led to their high perception of instrument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There we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ir perception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The higher their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was, the better they practiced infection control. These findings point to clear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 and practice, raising a need for national-level policy institutions to establish a system of infection control criteria for greater practice. It is also need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of connectivity to ensure practice in the clinical field and provide education both on theory and practical training to ensure first-hand acquisition.

      • 문법 탐구 공동체의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남지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atic point of discrepancy between the development of grammar education research and the practice of grammar instruction. The learning experience of the community of grammar inquiry in S high school was examined qualitatively through the lens of a complex adaptive system based on this disagreement. Through this study, I try to establish a cyclical connec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by identifying new possibilities of practical research centering on learners' processes for learning grammar. In order to understand the dynamic and complex aspects of learning phenomena, we first examined the epistemological premise of learning in terms of complexity. Through this, we newly understood the coherence between subjective knowing and objective knowledge in classroom instruction. Next, we tried to make a framework to understand the grammatical learning phenomenon in terms of ‘self-organization’, ‘emergence’, ‘co-evolution’, ‘agent’, ‘nonlinear interaction’, and ‘fractal structures embedded in a complex adaptive system’. More specifically, we understood that the conditioning of learning and the emergence of complex adaptive systems is a balance between inner diversity and inner redundancy, openness and structurality, and creativity and stability. Inquiry learning inevitably presupposes a community of inquiry; thus, grammar inquiry learning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of grammar inquiry.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learning of the community of grammar inquiry, we first examined the meaning of the “learner centered” classroom and the concrete meaning of “knowledge construction” by exploring the coherence of grammar education research and the practice of grammar instruction. In class, grammar inquiry activities should be part of the learners’ ”perception” and interface, in which the learner looks at the world using a grammatical perspective, and, at the same time, reflects upon themselves. In this respect, it is suggested that grammar inquiry activities should be designed to be activities that can induce the emergence of complex adaptive systems through interpretive interactions based on abduction, presupposing grammar as narrative knowledge. Through the design of these grammar inquiry activities, the linguistic subject and the subject of learning should meet and actively aim to construct meaning. The complex adaptive system and the community of inquiry can be integrated in terms of complexity thinking based on pragmatism. By combining the inquiry process of the inquiry community with the dynamics of the complex adaptive system, a grammar inquiry community as a complex adaptive system can be formed. In this paper, the community of grammar inquiry approaches the essence of grammar and grammatical learning. It is a community seeking to be regenerated as a grammatical person in which the linguistic subject and the cognitive subject are united through interpretive interaction as the dialogue about the grammatical phenomenon. In Section III, we qualitatively examin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community of grammar inquiry in S high school as a complex adaptive community in terms of metaphoric analysis. For the analysis, we created the grammar lesson of S high school, including six classes as meta-agents in the whole complex adaptive system. Using the teacher, these six grammar classes could generate a flow of grammar learning resource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s active agents, nonlinear interactions, and fractal structures embedded in the middle layer, and these features show the aspects of the macroscopic learning structure that form the community of grammar inquiry.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collective learners and self-organization were examined in the micro dimension of class. The selected lessons covered semiotic classification activity, morphological analysis activity, and a word-making activity, which all occurred through complex interactions among learners. The target class was analyzed through focus event selection and planning and the enabling of constraints that led to learners’ grammar inquiry activities; the emergence and self-organizing patterns in the class were then examined. The semiotic classification activity occurred in a class that examined various processes of forming meta-learners and the meaning of bottom-up emergence. Morphological analysis activities were able to stimulate a shared understanding of morphemes through learners' participation, and new understanding could be formed as the initial raised conditions were spread to other classes. The word-making activity was developed for teaching word formation in terms of analysis only. This activity was able to integrate the learners’ psychological contexts, social contexts, and linguistic authenticity into classroom learning. In addition, I was able to examine the improvisation of language play, the consideration of the participants, and the dispersion of power. Next, we examined the change i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community of grammar inquiry. This was analyzed by changes in the grammar class, and changes of perception about contents and methods of grammar learning. This result shows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learner-centered grammar inquiry learning. In Section IV, we discuss the design of a grammar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motes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of grammar inquiry based on the discussion in the previous chapter. In order to form a grammar inquiry community, the following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suggested: grammatical interpretation, participation in interpretive interaction, grammatical reflection, and mutual exploration. These should be reinforced by the practical principles of both learners and teachers, who are agents of the community of grammar inquiry. Finally, we propose a teaching/learning strategy to form a community of grammar inquiry in terms of agents and design of the grammar learning environment, along with a grammar inquiry activity. This paper has significance as a practical study in that it discusses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of grammar inquiry, and its meaning is centered on actual grammar-learning phenomena.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reciprocal connection betwe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y of grammar education. 본 연구는 문법교육 연구의 발전과 문법 수업 현상이 함께 나아가지 못하는 데 문제의식을 지니고, S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진 문법 탐구 공동체의 학습 경험을 복잡적응계(complex adaptive system)의 렌즈를 통해 질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문법 학습 과정을 중심으로 한 실천적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론과 실천의 순환적 연결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우선 학습 현상의 역동적이고 복잡한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 복잡성 사고의 관점에서 학습에 대한 인식론적 전제를 고찰하여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주관적 이해와 객관적 지식 간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복잡적응계의 특징을 자기조직화와 창발, 공진화, 행위자, 비선형적 상호작용, 중층적으로 내포된 프랙털 구조의 측면에서 그 원리를 탐색하고 문법 학습 현상 분석을 위한 틀로 삼고자 하였다. 또한 복잡적응계 창발을 위한 학습의 조건화는 다양성과 잉여성, 개방성과 구조성, 창의성과 안정성 사이의 균형을 갖추는 것이 중요함을 이해하였다. 탐구는 필연적으로 탐구 공동체를 전제하므로 문법 탐구 학습은 문법 탐구 공동체의 형성과 관계가 있다. 문법 탐구 공동체의 학습을 개념화하기 위해 우선 문법교육 연구와 문법 수업 실천의 정합성을 탐색하여 ‘학습자 중심’의 의미와 ‘지식 구성’의 구체적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학습자의 실제적인 문법 학습이 중심이 되는 문법 수업에서 문법 탐구 활동은 학습자가 문법적 안목으로 세상으로 바라보는 동시에 자신을 바라보는 ‘지각’이자 인터페이스로 학습자의 일부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문법 탐구 활동은 내러티브적 사고이자 인간의 본질적 사고 양식인 가설적 추론을 중심으로 한 해석적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적응계 창발을 유도할 수 있는 활동으로 설계되어야 함을 논하였다. 이러한 문법 탐구 활동을 설계함으로써 문법 탐구 학습은 언어적 주체와 학습 주체의 합일을 통한 능동적 의미 구성을 지향할 수 있다. 복잡적응계와 탐구 공동체는 프래그머티즘을 기반으로 한 복잡성 사고의 관점에서 합일될 수 있으며, 복잡적응계로서의 문법 탐구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탐구 공동체의 진리 탐구 과정과 복잡적응계의 동역학을 결합하여 문법 탐구 공동체는 문법의 본질과 문법 학습의 본질에 다가가는 공동체이며, 문법 현상에 대한 대화로서의 해석적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적 주체와 학습의 주체가 합일하는 문법적 인간으로 거듭남을 추구하는 공동체임을 개념화하였다. Ⅲ장에서는 문법 탐구 공동체의 학습 경험을 질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은유적 분석의 관점을 전제하고 6개의 분반을 하위 메타행위자로 포함하는 S고 문법 수업을 전체 복잡적응계로 상정하였다. 우선 S고의 문법 수업이 복잡적응계로 존재하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복잡적응계로서의 특질을 고찰하였다. 적극적인 행위자로서의 학습자, 비선형적 상호작용, 다양한 자원의 활용, 중층적으로 내포된 프랙털 구조를 중심으로 복잡적응계로서의 특질을 확인하였다. 이는 문법 탐구 공동체의 거시적인 학습 구조와도 관련이 있다. 두 번째로 수업이라는 미시적 단위를 중심으로 창발과 자기조직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때 대상 수업은 학습자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창발이 일어났던 기호 분류 활동, 형태소 분석 활동, 단어 만들기 활동으로 선정하였다. 학습자의 학습 활동을 유도하는 초점 사건의 선택과 기획, 제약 조건의 활성화를 고찰한 후 실제 수업에서의 창발과 자기조직화 양상을 살폈다. 기호 분류 활동은 메타학습자 형성의 과정과 상향식 창발의 의미를 고찰할 수 있는 수업이었다. 형태소 분석 활동은 학습자들의 참여를 통해 형태소에 대한 공유된 이해를 활성화할 수 있었으며 제기된 초기 조건이 다른 분반으로 확산되면서 새로운 이해를 가져올 수 있었다. 단어 만들기 활동은 생성의 관점을 분석의 관점에서만 가르치던 것에 의문을 품고 창발된 수업이었다. 생성 활동을 통해 언어적 주체의 심리적 맥락과 사회적 맥락, 언어적 실제를 학습 안으로 통합시킬 수 있었다. 또한 언어 놀이의 즉흥성과 권위의 분산을 체험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문법 탐구 공동체의 학습 경험의 변화를 문법 수업을 통한 변화와 문법 학습 내용에 대한 인식, 문법 학습 방법에 대한 인식의 세 측면에서 고찰하여 문법 탐구 학습의 의미와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론적 탐구와 질적 탐구를 바탕으로 문법 탐구 공동체 형성을 위한 학습 환경의 구조화에 대해 논하였다. 문법 탐구 공동체 형성을 위한 실천적 원리로 ‘문법적으로 해석하기’, ‘해석적 상호작용에 참여하기’, ‘문법적으로 성찰하기’, ‘함께 탐구하기’를 제시하고 이것이 학습자와 교사의 실천적 원리로 활성화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문법 탐구 공동체 형성을 위한 실천적 전략으로 행위자의 역량과 자율성 강화, 수업 구조 설계의 측면, 문법 탐구 활동의 설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본고는 문법 수업 실천을 토대로 문법 탐구 공동체의 형성과 학습 과정, 학습 경험의 의미를 논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 연구로서의 의미가 있다. 이론적 안목을 지향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문법 학습 과정과 경험에 대한 실제적 의미에 천착할 때 문법교육 연구와 문법 수업 실천 사이의 상호 순환적 관계가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