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비욕구, 사회적 기능 태도, 패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유형선호와 구매의도

        남운효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Consumers have changed from passive buyers to leaders in consumer decisions that value subjective tastes and personalities, which have become the center of marketing. To satisfy this consumer need, fashion brands and companies had to introduce different products and services than before. Reflecting this phenomenon, the fashion industry, which is more customer-oriented than other industries, chose mass customization, a way to push for cheap production, the home of mass production, while meeting the individual requirements and various expectations of customers, and respond flexibly and quickly to each customer's individuality, allowing the company and brand to stand in a competitive position. Based on the need for research on fashion mass customization, which has emerged as a hot topic in fashion brands and compan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fashion mass customization consumers' Consumption Want on social functional attitudes, to find out the effect of social function attitude on mass customization type preference,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mass customization type preference on Purchase Intention. For the twenty two days from September 3th to September 25th in 2019,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consumers who have heard or purchased mass customization fashion products. Finally, a total of 319 questionnaire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 18.0 were conducted. Based 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a confirmed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MOS 25.0. Firs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 that consumers' consumption want are categorized into six factors for consumption want which referred for aesthetic, pleasure, relationship, discrimination, show off, recognition. Social functional attitude consisted of two factors: self-expression and self-presentation. Mass customization type was classified as cooperative customization, cosmetic customization, adaptive customization, and transparent customization based on Pine & Gilmore's mass customization methodology as a total of four factors. Purchase Intention was derived as one factor. The results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pat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factors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the suitability of the latent factors and the overall measurement model was derived. Second, consumption want effects on social functional attitudes, the study expressed that aesthetic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xpression, pleasure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presentation, relationship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presentation, discrimination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xpression, show off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xpression, presentation, and recognition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presentation. Third, social functional attitudes effect on mass customization type preference, the study showed that Self-express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operative customization, cosmetic customization, and adaptive customization. Among them, it was found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cooperative customization. self-presen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operative customization, cosmetic customization, and transparent customization. Among them, it was found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transparent customization. Fourth , analyzing path coefficient between mass customization typ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e transparent customization prefer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Collaborative customization, cosmetic customization, and adaptive customization have all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Through the afore mentioned analysis resul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ashion brands and companies in establishing mass customization marketing strategies for consumers, and to present data that could be based on academia lacking related research. 소비자는 예전의 수동적인 구매자에서 주관적인 취향 및 개성을 중요시하는 소비 결정의 주도자로 변화하였고, 이는 마케팅의 중심이 되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패션 브랜드와 기업은 이전과 다른 상품과 서비스를 도입해야 했다. 타 산업보다 고객 지향적 산업인 패션 산업은 이러한 현상을 반영해 고객의 개별적 요구조건과 다양한 기대수준을 충족시키면서도 대량생산방식의 해택인 저렴한 생산을 추진할 수 있는 방식인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이라는 방식을 선택하였고, 고객 개개인의 개성을 중요시하면서도 유연하면서도 신속하게 대응해 기업과 브랜드가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와 기업에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패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패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소비자들의 소비욕구가 사회적 기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적 기능 태도가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유형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유형선호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9월 3일부터 2019년 9월 25일 까지 총 22일 동안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패션 상품에 대해 들어보거나 구매해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319부를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활용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근거하여 AMOS 25.0을 활용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소비자들의 소비욕구는 심미의 욕구, 쾌락의 욕구, 관계의 욕구, 차별화 욕구, 과시의 욕구, 인정의 욕구의 6가지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사회적 기능 태도는 자기표현, 자기제시의 총 2가지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유형은 총 4가지의 요인으로 Pine & Gilmore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방법론에 근거하여 협동적 커스터마이징, 외관적 커스터마이징, 적응적 커스터마이징, 투명적 커스터마이징으로 분류되었으며 구매의도는 한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탐색적 요인 분석으로부터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으로부터 추출된 요인들을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잠재요인과 전체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적합한 수준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비욕구가 사회적 기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심미적 욕구는 자기 표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쾌락의 욕구는 자기 제시에 영향을, 관계의 욕구는 자기 제시에, 차별화의 욕구는 자기 표현에 영향을 미쳤다. 과시의 욕구는 자기 표현과 자기 제시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인정의 욕구는 자기 제시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기능 태도가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유형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자기 표현은 협동적 커스터마이징, 외관적 커스터마이징, 적응적 커스터마이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 중 협동적 커스터마이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제시는 협동적 커스터마이징, 외관적 커스터마이징, 투명적 커스터마이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그 중 투명적 커스터마이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유형선호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투명적 커스터마이징 선호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협동적 커스터마이징, 외관적 커스터마이징, 적응적 커스터마이징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된 분석 결과를 통해 패션 브랜드와 기업들이 소비자들에게 맞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데 시사점을 제공하며, 관련 연구가 부족한 학계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