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도시에 서식하는 참새(Passer montanus)의 국내 번식생태 연구

        이주현(Ju-Hyun Lee),남완희(Wan-Hee Nam),성하철(Ha-Cheol Sung) 한국조류학회 2020 한국조류학회지 Vol.27 No.2

        조류 종에 있어서 번식생태의 연구는 해당 종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참새 Passer montanus는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 분포하는 흔한 종으로 인간 거주지 주변, 특히 인공 구조물 및 인공 둥지에 주로 거주한다. 참새는 국내에서 매우 흔한 텃새이지만, 국내에서는 기초 번식생태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참새의 번식시기, 한배산란수, 성장률, 둥지 특성 등을 조사하여 기초번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9년 3월부터 8월까지 총 6개월간 광주광역시 북구의 기와건물과 남구의 인공둥지 설치지역 두 곳의 연구지역에서 진행되었으며, 연구기간 동안 총 21개의 둥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참새는 4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번식하며 한배산란수는 3 – 7개 범위로 평균 4.7 ± 1.1개로 나타났다. 포란기는 10.8 ± 0.48일, 육추기는 16.4 ± 1.05일로 각각 나타났으며, 부화성공률, 이소성공률, 번식성공률은 각각 73.7%, 83.6%, 61.6%로 나타났다. 참새의 둥지는 대부분 마른 풀을 엮어 굴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산좌에는 깃털, 털, 비닐 등의 재료가 사용되었다. 알의 크기는 장경 18.88±0.86mm, 단경 14.26±0.47mm, 무게 2.07±0.22g, 부피 1962.63±189.82㎣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참새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됨과 동시에 도시 환경에 서식하는 소형 참새목 조류의 번식생태 비교에 활용될 수 있다. The Eurasian tree sparrows Passer montanus are small, sexually monomorphic birds that live near human residence. They are a cavity-nesting species that inhabits numerous types of hole, especially in buildings and nestboxes. Although the birds are common residents in the South Korea, their breeding ecology has no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monitored the breeding ecology of 21 pairs of the tree sparrows in Gwangju city, Korea, in 2019. The breeding period spanned from mid-April to mid-August, and the clutch size was 4.7 ± 1.1, ranging from 3 to 7 eggs. Incubation span was 10.8 ± 0.48 days, and feeding stage lasted for 16.4 ± 1.05 days. Hatching and fledging success were 73.7% and 83.6%, respectively, and reproductive success was 61.6%. Nest cup mostly contained dry grass, with the addition of feathers, hairs, and plastic threads for lining. The size of the eggs was 18.88 ± 0.86mm length, 14.26 ± 0.47mm width, 7 ± 0.22g in weight, and 1962.63 ± 189.82㎣ in volume. Nestling growth followed a logarithmic curve. Our data can be used as a baseline data for future studies on tree sparrows and will be useful in any comparison of breeding ecology of small passerine species inhabiting in urban environments.

      • KCI등재

        Distribution of the Fairy Pitta (Pitta nympha) in the South Korea: A focus on protected areas

        Gil-Pyo Hong(홍길표),Jae-Hoon Kim(김재훈),Seul-Gi Seo(서슬기),So-Yeon Cho(조소연),Bo-Yeon Hwang(황보연),Jong-Hyun Park(박종현),Seung-Yeon Lee(이승연),Ga-Young Kim(김가영),Wan-Hee Nam(남완희),Ha-Cheol Sung(성하철)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국내 팔색조(Pitta nympha) 분포 현황을 알아보고자 전국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 중심으로 총 19개 지역을 조사하였고,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자료를 보강하였다. 전국 19개 지역을 조사한 결과 북한산, 지리산 등 내륙지역 7개 국립공원에서는 팔색조가 확인되지 않았고, 경남 거제, 남해, 해남, 장흥 고흥 등 남해안과 인접한 12개 지역에서 팔색조 서식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팔색조 출현 위치 정보 82건을 분석한 결과, 전국 8개 광역지자체 모두 팔색조 서식이 확인되었고, 내륙지역(26.8%)보다 해안지역(73.2%)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의 팔색조는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분포하며, 그 보다 적은 개체수가 내륙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distribution of Fairy Pitta (Pitta nympha) in South Korea. A total of 19 study areas, including protected areas such as national and provincial parks in South Korea were surveyed, and additional data obtained from an expert network. According to the results, Fairy Pitta was absent in seven inland national parks, including Mt. Bukhan and Chiri parks. Fairy Pitta inhabited 12 areas near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including Geoje, Namhae, Haenam, Jangheung, Goheung, and Gyeongnam Province. The analysis results of 82 datasets obtained from experts with regard to the locations where Fairy Pitta have been spotted showed that the bird inhabits all the eight metropolitan regions in South Korea, and is more frequently spotted in coastal areas (73.2%) than in inland areas (26.8%).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Fairy Pitta is mainly distributed in Jeju Island and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and is distributed in inland areas at relatively lower nu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