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기(記紀)에 의한 「일국일신화화」와 단군신화

        나행주(번역자),Shoko KITAYAMA 한일관계사학회 2022 한일관계사연구 Vol.77 No.-

        본고는 건국신화가 국민형성과 국가추진에 끼친 영향력에 주목하여 조선총독부 통치하에서 조선과 일본의 건국신화의 위상에 대해 고찰한다. 식민지조선에서 일어난 「단군논쟁」에서는 일본인연구자에 의한 압도적인 단군부정론이 지배적이며, 그 근거에는 다양한 신화군을 인정하지 않는 기기(記紀)의 배타적인 「일국일신화화」의 논리가 있었다. 메이지정부가 천황제의 정신적 지주로 삼은 기기는 그 성립과정에 있어서 「일국일신화화」의 연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신화의 윤멸」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이외의 신화가 천황가의 사정에 맞춰 취사되고 개변 흡수되어 말살되어서 기기신화가 성립했다. 장기간 지속된 무가사회에 있어서 기기의 대중적인 인지도는 낮았는데 메이지시대가 되면 천황제와 함께 일본신화=기기라는 「일국일신화화」가 철저하게 되었다. 그 영향은 당연한 일이지만 식민지조선에도 미쳐 역사를 4천 년 이상이나 소급하는 단군신화는 조선사편수회의 어용학자들에 의해 철저하게 비판되었다. 조선사편수회가 편찬한 『조선사』에 단군조선의 조는 없다. 일본인연구자들의 강인한 「일국일신화화」의 배경에는 기기밖에 인정하지 않는 절대적인 배타성은 물론 박은식이나 신채호 등이 민족주의 운동의 정신적 지주로 단군을 위치시킨것도 원인이 되고 있다. 그들이나 『삼국유사』의 재발견에 의해 단군복권을 목표로 했던 최남선, 단군신화의 중용에 회의적이었던 백남운이나 김태준 등의 단군언설에서는 입장의 차이는 있지만 조선민족으로서의 자부심과 기나긴 역사에의 자부심이 담겨있다. 일본인연구자와 조선인연구자의 논의는 국민국가와 건국신화의 불가분성이라는 점에 있어서 실은 동질적이며 일본이 초래한 「일국일신화화」의 충격은 그대로 조선민족이 주체가 되는 「일국일신화화」의 희구로 이어졌다. This article sets the term “one country, one founding myth policy” as expressing the importance of a founding myth tha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a nation or state and the logic of excluding others. Based on this term, I examined the phase of the founding myths of colonial Korea and Japan. The first part of the article confirms that the Japanese at the end of the Edo period had no consciousness of being a nation-state and that there was little sense of awe regarding the Emperor. To my understanding, the constitution of the Empire of Japan needed a myth of Japanese origin to make these people Japanese subjects. From the above, I clarified the actual situation of “one country, one founding myth policy” by the Kiki that became a spiritual pillar of the constitution of the Empire of Japan. The second part of the article reveals the impact on colonial Korea of “one country, one founding myth policy” that was brought about by the inseparability of the nation-state and the founding myth, and the phase of colonial Korea and Japanese myths. From the above, the sharp arguments of Japanese and colonial Korean researchers are in fact homogeneous in terms of the inseparability of the nation-state and the founding myth.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mpact of “one country, one founding myth policy” by the Kiki brought by Japan directly led to the desire to seek a “one country, one founding myth policy” by the Dangun myth of the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