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행자 보호 Flex PLI 다리 모형의 십자 인대 거동 해석

        김한승(Hanseung Kim),이용훈,박재원(Jaewon Park),Jeongkeun Kh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5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5 No.5

        European New Car Assessment Program (EuroNCAP) has applied Flexible Pedestrian Legform Impactor (Flex-PLI) instead of Transport Research Laboratory (TRL) legform impactor as pedestrian protection lower leg assessment since 2014. The TRL legform focused on knee acceleration and bending angle when legform impact to vehicle, but in case of Flex-PLI, ligament elongation is main measuring factor as leg injury. To find condition that effect to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an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behavior, thickness and density of energy absorber (EA) are considered as control factor. Pedestrian protection assessment will be conducted to CAE analysis by LS-Dyna.

      • KCI등재
      • KCI등재

        도박사의 오류와 그 역

        김한승(Hanseung Kim) 한국분석철학회 2010 철학적 분석 Vol.0 No.21

        해킹은 도박사의 오류와 논리적으로 대칭인 뒤집어진 형태의 도박사의 오류를 제시한다. 또한 그는 ‘드문’ 지구의 존재을 설명하려는 목적론적 논증에 대한 우주론적 반론의 사례로 ‘카터 반론’과 ‘휠러 반론’을 제시하면서 이 중 카터 반론과는 달리 휠러 반론은 뒤집어진 형태의 도박사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레슬리와 크레그는 해킹이 ‘인류 원리’를 오해하고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휠러 반론이 오류를 저지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또한 휫테이커는 카터 반론과 휠러 반론이 본질적으로 차별화되지 않는다고 주장함으로써 휠러 반론이 오류를 저지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필자 역시 휠러 반론이 뒤집어진 형태의 도박사의 오류를 저지르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레슬리-크레그의 반박이나 휫테이커의 반박과는 다른 근거를 제시한다. 필자는 해킹이 언어적 표현이 갖는 특정성의 여러 차원을 무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원에 대한 분석이 뒤집어진 형태의 도박사의 오류를 진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의 이러한 새로운 반박은 기존의 반박이 갖는 난점을 피한다는 점에서 더 낫다. Ian Hacking presents the inverse version of gambler's fallacy. Also he examines two cosmological arguments against the design argument of the existence of the 'rare' earth, the one by John Wheeler and the other by Brandon Carter, and claims that Wheeler's argument commits the inverse gambler's fallacy. John Leslie and William Craig criticize Hacking by claiming that he misunderstands the anthropic principle, which frees Wheeler's argument from the fallacy charge. M. A. B. Whitaker also claims that there is no fallacy in Wheeler's argument. According to Whitaker, there are no crucial differences between Wheeler's argument and Carter's. I shall claim that Wheeler's argument does not commit inverse gambler's fallacy but on the different ground that Hacking does not appreciate various dimensions of specificity of linguistic expressions. I shall present the difficulties that Leslie-Craig argument and Whitaker's argument face, which shows superiority of my argument.

      • KCI등재

        불쾌한 골짜기와 미적으로 더 좋음

        김한승 ( Hanseung Kim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3

        ‘불쾌한 골짜기’는 로봇의 형상이 사람의 형상과 닮을수록 로봇에 대한 호감도는 증가하지만 사람의 형상과 너무 유사한 단계에 이르면 그 호감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 현상의 존재 여부와 원인에 대한 경험과학적 연구는 있었지만 우리가 이 현상을 기이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개념적 분석은 없었다. 필자는 속성과 비교급 관계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불쾌한 골짜기라는 현상이 존재하더라도 기이할 것은 없다고 주장한다. The uncanny valley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a humanoid object whose face looks very similar to that of a human being elicits eerieness or uncanniess while its resembleness to a human face generally increases our familarity with it. There have been various empircal researches to shed light on the very existence of the phenomenon and its cause. However, it is rare to find a conceputal analysis regarding the uncanny valley to answer the question why we tend to regard its existence, if any, as perplexing. I will argue that there is no conceptual perplexity in the uncanny valley once we put comparative relations in general under scrutiny.

      • KCI등재

        비개념적 내용으로서의 지표적 내용 : ‘잠자는 미녀’ 문제에 대한 관점주의적 대답

        김한승(Hanseung Kim)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20

        ‘잠자는 미녀의 문제’로 알려진 문제에 대해 필자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잠자는 미녀는 깨어나는 순간 새로운 정보를 얻는다. 둘째, 이 새로운 정보는 비개념적이다. 셋째, 이 비개념적 정보는 잠자는 미녀가 그 정보를 갖고 있다는 사실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를 논증하는 과정에서 필자는 언어적 표현에 의해서는 포착될 수 없지만 확률 결정에 영향을 주는 내용상의 차이가 있음을 주장하며 이를 ‘내부적 관점’과 ‘외부적 관점’이라는 부르는 관점의 차이를 통해 설명할 것이다. I shall make the following claims concerning what is known as 'the Sleeping Beauty Problem': First, Sleeping Beauty gains a new information at the moment when she is awaken. Second, this newly gained information is nonconceptual. Third, the content of this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erms of the fact that she entertains the very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arguing for these claims I shall make clear that there is an element of content which cannot be captured by linguistic articulation and yet affect the probability calculation appropriately. The notions of 'insider's perspective' and 'outsider's perspective' shall be introduced to explain this element.

      • KCI등재

        내가 살아있음은 인류 종말의 증거인가?

        김한승(Hanseung Kim) 한국분석철학회 2013 철학적 분석 Vol.0 No.27

        인류 종말 논증은 인류의 역사가 종말을 맞게 된다면 그 종말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더 가까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논증에서 사용되는 주요 전제 중 하나가 자기 표본 가정이다. 이에 따르면, 우리는 자신의 출생이 인류의 역사에서 무작위로 뽑힌 표본이라고 여겨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인류 종말 논증에 대한 비판들 중에서 자기 표본 가정을 둘러싼 세 가지 유형의 논증을 살펴본다. ‘출생 순서 논증’이라고 부를 첫 번째 유형에 따르면, 인간이 갖는 고유한 출생 순서를 고려할 때 자기 표본 가정은 받아들일 수 없는 전제이다. 또한 ‘상쇄 논증’이라고 부를 두 번째 유형에 따르면, 자기 표본 가정과 동등한 자기 지시 가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둘의 상쇄작용으로 인류 종말 논증은 성립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불가피 논증’이라고 부를 세 번째 유형은 자기 표본 가정이 인류 종말이라는 문제에 적용되면 비일관적인 결과를 낳는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인류 종말 논증이 이러한 비판들에 의해서 훼손되지 않는다는 점을 밝힌다. According to Doomsday Argument the end of the human race, if it is to occur, may be nearer than we generally suppose. One of significant premises of this argument is Self-Sampling Assumption, according to which we should be able to consider our birth as a random sample from the entire history of the human race. In this paper we shall scrutinize three types of counter-arguments, directly or indirectly concerning Self-Sampling Assumption. The first one, called ‘Birth Rank Argument’, tries to directly deny the assumption. The second one, called ‘Counterbalance Argument’, tries to undermine the force of Self-Sampling Assumption by claiming that Doomsday Argument introduces another assumption, Self-Indication Assumption, and that these two assumptions cancel out each other. The third one, called ‘Inevitability Argument’, tries to show that Self-Sampling Assumption, applied to the issue of the human race’s fate, results in an inconsistent consequence. In this paper I shall claim that Doomsday Argument is immune to these criticisms.

      • KCI등재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누군가를 속이려는 의도를 가져야 하는가?

        김한승 ( Kim Hanseu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연구 Vol.- No.63

        ‘거짓말’을 정의하는 데 누군가를 속이려는 의도를 필요조건으로 받아들일 것인지를 두고, 여러 철학자들은 그런 의도가 없어도 거짓말이 성립할 수 있다는 반례를 제시한다. 필자는 이 반례가 성공적이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런 반례가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보이는 것만으로는 누군가를 속이려는 의도가 거짓말의 필요조건이라는 점이 충분히 드러난다고 볼 수 없다. 필자는 속이려는 의도를 거짓말의 필요조건으로 받아들여야 거짓말에 대한 ‘진실들’이 보다 더 잘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Is the intention to deceive someone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definition of lying? Some philosophers claim not by providing counterexamples of lying in which there are no such intentions. I shall show that these counterexamples are not successful. But showing this is not sufficient for the argument that the intention to deceive is necessary for lying. I shall present an abductive argument that we can explain generally accepted truths about lying once we accept the intention to deceive someone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lying.

      • KCI등재

        파핏의 사적인 원리와 비사적인 원리 : 파핏이 잠자는 미녀에게 배울 수 있는 것

        김한승(Hanseung Kim)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19

        파핏(Derek Parfit)은 미래 세대의 인구 규모를 둘러싼 윤리적 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함으로써 인구 윤리학(population ethics)이라는 새 영역을 개척한 바 있다. 이 문제는 우리에게 윤리적 딜렘마를 제시하는데 이는 이를 ‘비동일성 문제’(non-identity problem)와 ‘당혹스런 결론’(repugnant conclusion)이라는 문제 상황으로 보여준다. 필자는 이 문제의 기원이 사적인 원리와 비사적인 원리의 충돌에 있음에 주목한다. 필자는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된 ‘잠자는 미녀의 문제’(The Sleeping Beauty Problem)라는 틀 안에서 이 파핏의 문제를 볼 것을 제안한다. 잠자는 미녀의 문제에 대한 주요한 해결책으로 1/2 이론과 1/3 이론이 제시되었는데, 필자는 파핏의 문제가 잠자는 미녀의 문제의 형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때 1/3 이론이 파핏의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지평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Derek Parfit explores the new area of ethics, called population ethics. by raising a thought-provoking ethical problem concerning the population size of the future generations. This problem is presented in a form of dilemma, in the name of 'non-identity problem' and 'repugnant conclusion'. In this paper. it is noted that Parfit's problem is rooted in the conflict between his personal principle and impersonal principle. This paper suggests to look at Parfit's problem from the Sleeping Beauty's perspective, where Sleeping Beauty is the main persona from Sleeping Beauty Problem which has been a recently much discussed issue. Among the two main solutions to Sleeping Beauty Problem, viz. the 1/2-theory and the 1/3-theory, it is argued that the 1/3-theory provides a fruitful way of rethinking Parfir's problem.

      • KCI우수등재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김한승(Hanseung Kim)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2

        죽음이 죽음의 당사자에게 나쁠 수 있는지 하는 물음은 오랫동안 철학자들 사이에서 논의되어 왔다. 반면 죽음을 맞이하는 시기가 죽음을 더 나쁜 것으로 만드는지 하는 물음은 별다른 주목을 받아오지 못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젊은이의 죽음이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쁘다는 주장을 정당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죽음의 더 나쁨을 허용하는 이론 중에서 ‘비례 설명’과 ‘심리적 연결 설명’을 대표적으로 소개한다. 이 두 설명이 만족스럽지 못함을 보이고 나서, 필자는 죽음의 시기에 따라 죽음이 더 나빠지는 또 다른 근거로 죽음이 죽음 당사자의 과거 노력을 헛된 것으로 만들기 때문이라고 논변한다. 이는 박탈이론이 죽음에 대한 균형적인 통찰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It has a long history of debate whether death is bad for a person who dies. It draws little attention whether the time of death in one’s life makes death worse. I shall attempt to justify the claim that the death of a youth is worse than the death of a baby. After introducing ‘Proportion Account’ and ‘Psychological Connection Account’ as the major theoretical frameworks to explain that a death is worse than another death, I shall show that these accounts are not satisfactory. As a major reason why time to die makes one death worse than another death I shall argue that a death makes endeavors in one’s lifetime futile. This shows that the deprivation theory fails to provide a balanced insight into the nature of death.

      • KCI등재

        다중 결말과 미완성 예술작품

        김한승 ( Hanseung Kim ) 한국미학회 2015 美學 Vol.81 No.4

        이 글은 다음 두 물음 사이의 관계에 주목한다. 하나는 ‘하나의 예술작품이 다중 결말을 갖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물음이고, 다른 하나는 ‘어떤 조건에서 예술작품은 미완성이라고 받아들여지는가?’하는 물음이다. 필자는 다중 결말에 관해서 서로 구별되는 두 견해, ‘선언적 견해’와 ‘연언적 견해’를 제시하고, 예술작품의 ‘미완성’에 대한 세 가지 해석, 즉 ‘결핍’, ‘미결정’, ‘수준 미달’이라는 해석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서 필자는, 다중 결말에 관한 선언적 견해를 받아들이고 ‘미완성’을 ‘미결정’으로 해석한다면, 다중 결말을 가진 예술작품은 미완성이라고 주장한다.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lowing two questions: One is ‘Is it possible for a work of art to have multiple endings?’, and the other is ‘Under which conditions is a work of art accepted as unfinished?’ I shall present two distinct views on multiple endings, which I shall call ‘the disjunctive view’ and ‘the conjunctive view’ respectively, and also present thre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unfinishedness’ of artworks: ‘deficiency’, ‘indeterminateness’, and ‘failure to reach a desirable level’. I shall claim that if we accept the disjunctive view on multiple endings and the indeterminateness interpretation as unfinishedness, then a work of art with multiple endings should be viewed as unfin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