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여성 예술가의 작품에 나타난 개인서사와 감정에 관한 연구

        김진경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3

        This paper aims to discover korean female artist Chun Kyung-ja(1924-2015)’s art world by analyzing the personal narratives and emotions through ‘Becoming- Animal’ in the her works of art. Chun Kyung-ja is female artist who shows almost 100 years of korea art history from colonial period to modern times. Her art should be noted that it is not only an attempt to change the core of the nationalistic cultural tradition, into women-centered by expressing ‘women’ as women in order to coincide with the trend of restoration of the nationalistic cultural tradition led by the art power of the time, or an artistic achievement due to the artistic spirit of the individual, Chun Kyung-ja, but not borrowing the ism as a power collaborating with the west. As you can see, the Korea art gallery that experienced the colonialism operated as an art authority by combining confucianism (traditional society) which existed as an ideology and the male-centered patriarchy. However, I considered the snake as the main subject matter that reflected Chun Kyung ja’s personal narrative, emotion and the image of the ‘goddess’ after the world trip as ‘becoming-Animal.’ The ‘Becoming-Animal’ of Chun Kyung ja, which started from <SangTae(生態)>, to <The Shadow of AllamandaⅡ(Therianthropic半人半獸)> created an unperceptible-zone by self-deterrence of minority by endlessly escaped the territory, which is a paternity relationship, to the people who are integrated with patriarch. This can be seen as the mental state and art world of Chun Kyung-ja who communicates with or responds to all things in one body. To sum up, “Becomings” are “creations,” but “Becoming-Animal” on the line is a process that ends up being unrecognizable. The “Becoming-Animal” of the Chun Kyung-ja, which begins with a snake, can be seen as a process for “Becoming female,” which is the extreme of all-becoming, creating a perceptual, self-desertion zone out of territory, a paternal relationship dotted with male-centered patriarchal society and power.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as the spiritual(氣)energy and art world of the Chun Kyung-ja, who communicates or responds to everything as a whole. As a result, the ‘Becoming-Animal’ of Chun Kyung-ja, who reflected the personal narrative and emotions of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centered on men under the colonial rule, can be said to be the process of ‘Becoming-Woman.’ 본고는 한국의 여성 예술가 천경자(1924-2015년)의 개인서사와 감정이 투영된 작품 속 ‘동물-되기’를 분석하여 그의 예술세계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천경자는 식민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거의 100년의 역사를 작품에서 보여주는 여성 예술가이다. 그의 예술은 당대 미술권력이 주도했던 민족주의적 문화전통 복원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하기 위해 단지 여성으로서 ‘여성’을 표현함으로써 그 민족주의적 문화전통의 핵심인 남성을 여성중심으로 바꾸려고 시도하거나, 혹은 서구와 결탁한 권력으로서의 이즘ism을 차용한 것이 아닌 오로지, 천경자 개인의 예술정신과 이로 인한 예술적 성과라는 점에 주목해야한다. 주지하다시피, 식민지를 겪은 한국의 화단은 이데올로기로서 존재했던 유교와(전통사회) 남성중심의 가부장제가 결합된 미학규범체계가 하나의 예술권력으로 작동하였다. 이에 여성개인의 인생과 예술로서 그 새로운 경계를 열어낸 천경자는 분명 우리의 여성주의를 발견하는데 중요한 근거를 함의한다고 본다. 필자는 천경자의 개인서사와 감정이 반영되었던 주 소재로써의 뱀 그리고 세계여행 이후 탄생된 女神像을 ‘동물-되기’로 고찰해 보았다. <생태>로부터 시작된 천경자의 ‘동물-되기’는 만물과 일체가 되는 半人半獸까지 친자관계인 영토를 끝없이 탈영토화 하여 스스로 소수자를 자처하면서 지각불가능-지대를 생성하였다. 이것은 만물과 일체가 되어 氣로 소통하는 혹은 감응하는 천경자의 정신적 경지와 예술세계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식민지하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사회구조 속에서 내밀한 여성의 개인서사와 감정이 투영된 천경자의 ‘동물-되기’는 결국 ‘암컷-되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겠다.

      • 조형을 이루는 형식원리에 의한 도자조형작품 표현 연구

        김진경 한국도자학회 2006 한국도자학연구 Vol.3 No.1

        The ceramic modeling art is the simplest, yet the most profound art among many arts. “It is the simplest because it is the most essential and the most profound because it is the most abstract”. said Herbert Read, a 20th century art critic, on the meaning of existence of and pride for the ceramic art. As a way of work to express the modeling characters of modern ceramic art, artists imagine designs to express visual forms on the basis of objective trends of the time and subjective theories of the mind. The choice of principles and functions is important for the factors in the process of work, and plans and orders do exist in them. In expressing ceramic modeling art, I would like to pursue the principle of art with a process based theoretically on Fluxus, which values the harmony of life and art. Formal principles of modeling that think of three-dimensional forms and build modeling in the process of working with clay- I would like to make works that motivate visual interests, applying the basic principles like harmony, comparison, proportion, balance, movement, transition, repetition, unification and visual illusion. Repeating and mixing small clay units, I would like to express the harmonies of simplicity and complexity and part and whole. 도자조형예술은 모든 예술 중에서 가장 단순하면서 가장 난해한 예술이다. 가장 본질적이므로 가장 단순하며, 가장 추상적이므로 가장 난해하다. 라고 도자예술에 대한 자부심과 존재의 의미에 대해 20세기 미술비평가 허버트 리드(Herbert Read)가 언급했다. 현대의 도자예술의 조형성을 나타내는 작업 방식으로 작가들은 객관적인 시대의 흐름과 주관적인 정신적 이론을 토대로 시각적인 형식을 나타내는 형태를 구상한다. 제작과정의 각 요소들은 개념과 기능의 선택이 중요하며 그 안에서 계획과 질서가 존재한다. 본 연구자는 도자 조형 예술을 표현하는데, 삶과 예술의 조화를 가치로 삼는 플럭서스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흐름이 있는 예술이라는 개념을 추구하고자 한다. 입체적인 형태를 생각하고, 흙으로 작업하는 과정에서는 조형을 이루는 형식원리- 조화, 대비, 비례, 균형, 율동, 점이, 반복, 통일, 착시 등의 기본 개념을 적용하여 시각적 흥미가 유발되는 작품을 만들고자 한다. 작품의 형태는 작은 도자 단위체들의 반복과 엮음은 단순함과 복잡함, 부분과 전체의 조화를 나타내고자 한다. 그러므로 도자조형 작업의 새로운 형태표현을 추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