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개선교 선교와 지역 공동체의 변화

        김중섭 ( Joong-seop Kim ) 한국사회사학회 1997 사회와 역사 Vol.52 No.-

        Christian mission which started in Kore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brought about enormous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society in various levels. In dealing with the case of Chinju community from the early 1900s to the 1940s, this paper found the two main features of Christian activities: one was t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modernity in working for the deprived such as children, women and paekjong under traditional customs, and patients with insufficient cure; the other to encourage the nationalist mood among Korean believers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which was under Japanese colonialism. These contributions were supported by Christian evangelism which was sharply differentiated from the traditional way of life in Korean Confucianism. These characteristics of d1e early Christianity in Chinju were deteriorated by Japanese authorities in the Shinto Shrine controversy in the 1930s. As a result, the early trend of the Christian activities in Chinju disappeared in the later period of colonial rule

      • KCI등재

        [특집 : 교육] 한국 교육의 위기와 인권

        김중섭(Joong-seop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2 현상과 인식 Vol.25 No.4

        There are numerous warning signals to bring about Korean education in crisis. This paper focuses on the roots of the crisis in human rights perspective. One of main purposes of education is universally accepted to improve human rights which are designed to realise human dignity and equality.<br/> However,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s have, implicitly or explicitly, neglected human rights. There are numerous reports of violation of human rights in school and around. Those situations stem from Korean education which have been deteriorated in over-competition system and performance oriented education policy.<br/> As a result, public educational schools have lost privilege status over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normative relations among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have been broken down. In addition, there are poor perform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from family to schools and society in general. The neglect of human rights education is depriving any hope to escape from destruction of formal education system.<br/>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the urgent duty to save Korean education in crisis is to implement human right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o reinforce human rights education.

      • KCI등재

        1920년대 지역 사회운동과 농민운동

        김중섭(Joong-Seop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8 현상과 인식 Vol.32 No.4

        이 글은 1920년대 진주 지역 농민운동의 형성과 발전 양상을 지역 사회운동과 연계하여 분석하고 있다. 곧, 3ㆍ1운동 이후 진주의 농민운동은 여러 차원에서 지역 사회운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하였으며, 또 농민운동의 발전이 지역 사회운동의 발전에도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 사회의 역동적인 변화에 밀접하게 이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러한 농민운동의 발전 배경에는 직업적 사회운동가들의 등장과, 사회운동 활동가들과 단체들로 구성된 사회운동권의 형성 등이 작용하고 있었다는 것을 강조한 이 논의는 3ㆍl운동 이후 각 부문의 사회운동이 새로운 사회 건설의 꿈을 갖고 연대와 협력을 통하여 발전하였으며, 지역 공동체의 역동성을 통하여 한국 사회가 분화되어 가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This paper argued that the peasant movement of Jinju in the 1920s was closely developed in relation with other local social movements. Soon after the March 1 Movement, the formation of the peasant movement was influenced by social conditions in which social movements with various goals and purposes had been carried out by professional social activities, and their solidarity brought about powerful social movement industries in local community of Jinju. The leaders and activists of social movement industries including peasant movement groups attempted to build up a ‘new society’ through solidarity and cooperation among them. In the process, Korean society have been differentiated into diverse sectors with different goals.

      • KCI등재

        한국의 백정과 일본의 피차별 부락민의 비교 연구

        김중섭(Joong-Seop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4 현상과 인식 Vol.38 No.1·2

        이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전통 사회에서‘버림받은 집단’으로 인식된 백정과 부락민이 겪은 역사적, 사회적 과정을 비교 논의하고 있다. 이 두 집단은 국가를 비롯한 지배 집단과 일반 사람들에 의하여 공적 세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이나 사회관계의 사적 세계에서 차별과 억압을 겪으며 살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한 차별과 억압은 특히 조선시대와 덕천(도쿠가와) 막부시대의 신분제에서 제도적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그들은 직업과 호칭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어‘별난’집단으로 인식되며, 사회적 차별과 억압, 격리 속에서 살았다. 떠돌이 빈민집단인 백정들은 천하고 반사회적인 잠재적 범죄 집단이라는 인식을 통하여, 또 천한 일들을 하는 부락민들은 부정(不淨) 관념에 근거하여 더럽다는 인식 아래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겪으며 버림받은 집단으로 굳어졌던 것이다. 19세기 말 조선의 신분제가 와해되고, 또 덕천 막부의 지배가 끝나면서 백정과 부락민의 신분해방이 이루어졌지만 차별은 사라지지 않았다. 20세기 초에 신분 차별 철폐를 위하여 형평사와 수평사가 결성되어 활동하였지만, 일제의 제2차 세계대전 도발 와중에 활동은 지속되지 못 하였다. 그리고 세계대전 이후 이 두 집단의 궤적은 크게 달랐다. 한국에서는 백정에 대한 차별이 사라지고, 그 존재를 찾을 수 없는 반면에, 일본에서는 여전히 부락민 차별이 큰 사회적 문제로 남아있다. 두 집단을 둘러싸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사회 환경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던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social and historical processes of Korean paekjong and Japanese burakumin who were regarded as being outcast groups in their traditional society, respectively. Both groups had commonly suffered from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in public and private spheres by other members of the society, especially by ruling groups. Such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were institutionalized under hierarchical sinbun systems in Choson dynasty and Tokugawa period. They were identified as being inferior to others by their occupations and titles which contributed to reinforcing social discrimination. Paekjong’s status as poor wanderers led them to be regarded menial and even deviant in potential criminals. As for burakumin, they were regarded as filthy and impure people because of their ‘menial’ works. These social prejudices forced them to be outcast groups under the agony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hen the sinbun system of Choson society collapsed and the ruling system of Tokugawa period was terminated, both paekjong and burakumin were legally proclaimed free from the bondage of social agonies. However,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se groups continued in practice afterwards. These situation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Hyongpyongsa in Korea and the Suiheisha in Japan with the purpose of socially liberating paekjong and burakumin, respectively. Both organizations ended their activities in the last years of Japanese imperialism. After the World War II ended in 1945,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t trajectories. Whereas Korea saw few traces of paekjong and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m, conflicts and tensions that resulted from discrimination against burakumin have often occurred in contemporary Japan. These situations reflect the differences in social circumstances of Korea and Japan.

      • KCI등재

        인권조례 제정의 의미와 법적 근거

        김중섭(Joong-Seop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4

        이 글의 목적은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인권조례 제정의 의미와 법적 근거를 논의하는데 있다. 국제 사회나 국가 차원에서 인권 실행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는 것에 비하여 일상생활의 현장인 지역 사회에서의 인권 보호와 증진 대책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인권전담기구를 두고 있지 않으며, 지역공동체에서의 인권 실행이 인권 발전의 핵심 과제라는 인식이 부족한 탓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지역공동체에서의 인권 발전을 위한 법제화인 인권조례 제정이 필요하다. 인권조례 제정을 통하여 지자체 단체장을 포함한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법률에서 정한 인권 보호와 증진 책무를 올바로 수행하도록 규정하며, 인권증진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권조례 제정의 근거는 헌법을 비롯한 여러 법률과 대법원 판례에서 찾을 수 있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주민들의 권익을 보호하여야 할 책무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인권은 지방사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법리적 근거에도 불구하고, 진주시 사례처럼 인권조례 제정이 순조롭지 않는 이유는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지방의원들이 인권이나 인권조례의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권조례 제정의 사회적 토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지자체 단체장이나 지방의원들이 주민들의 안녕 복리를 위한 인권조례 제정의 취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주민들의 인권 의식을 높이며, 인권조례 제정에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human rights ordinance and its legal found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Jinju city. While there are continued efforts to implement human rights at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vels, it is relatively low understanding and less attentions on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at the local community. There is not any institution with specialized purpose of human rights at local governments and there are fewer attempts to implement human rights and regard it for the initial goal of policy by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 enactment of human rights ordinance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at the local community. There are several legal references of human rights ordinance, including national constitution and human rights laws. And there are also concrete legal descriptions in several laws to define human rights matters as being responsible to local governments. And if there is some dispute on the relevant reference for human rights ordinance, local councils have been empowered to enact human rights ordinances by the judicial precedents of Supreme Court. Regardless of legal foundation, there are some reasons why it is hardly to enact human rights ordinance by the local council. One of main reasons is that mayors and local councillors have not properly understood social significance of human rights and its ordinance. For removing of the obstacles, as shown in the case of Jinju, it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human rights ordinance and making the social atmosphere for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at the local community. Moreover, the mayors and local councillors should change their attitudes favorable to the human rights ordinance. As in the proposal of Jinju city, the human rights ordinance consists of regulations on the duty of members of local community including the mayor and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pecial organization for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These apparatus will contribut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at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사회운동의 시대 : 일제 침략기 지역 공동체의 역동성

        김중섭(Joong-Seop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0 현상과 인식 Vol.34 No.3

        이 글은 진주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3.1운동과 그 이후의 사회운동을 분석하여 근대 사회로 나아가고자 하는 지역 사회의 역동적 변화 과정을 논의하였다. 특히, 어린이, 여성, 백정, 농민, 노동자, 저소득층 같은 사회적 약자의 권익을 위한 활동이 활발하고, 이들이 주체적인 사회적 행위자로 동장하였다는 점을 규명하며, 유력자 중심의 의사 결정 체제가 위협받게 되고 다양한 세력 집단이 지역의 사안을 결정하는 과정에 참여하게 되면서 지역 공동체의 사회적 과정이 더욱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양상으로 발전한 것을 살펴보고 있다. 이와 같이 지역 사회의 환경을 바꾸고자 한 다양한 사회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지역의 사회적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이 시기를 ‘사회운동의 시대’로 규정하면서, 아울러 지역 사회 문제를 결정하는데 참여하는 행위자 유형이 전통적 틀에서 크게 벗어나 더욱 다변화되면서 관심 세계와 활동 목표에 따라 주체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주민들은 ‘시민’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또 다양한 행위자들의 결정이 사회적 과정에서 존중되는 ‘시민 사회’의 싹이 움트고 있다는 것을 이 글은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dynamics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period of the March First Movements and the following social movements, focusing on the cases of Jinju area.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ocial movements was to organize special activities for social minorities such as children, women, paekjong, peasants, laborers, the poor. Some of these groups turned out to be protesters in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began to be active participants of social movements afterwards. Their experiences and participation to various social activities brought about the change of social decision process in the local community. In the convention which social matters were determined by the dominant power groups such as land owners and influentials of Japanese residents, the minorities did not enjoy their rights to determine their own matters. However, after they began to participate the decision of social matters, social process had become more dynamics than ever. These phenomena showed that the diverse social movements became one of major factors to determine the rapid transformation of social process at the period. In this sense, the period could be characterized as the 'era of social movements.' And it also showed that local residents turned to be 'citizens' who enjoy their rights to determination on social matters. This is understood that civil society could be developed in the process, although these trends were not retained and develope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 KCI등재

        지역 공동체와 인권

        김중섭(Joong-Seop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6 현상과 인식 Vol.30 No.4

        이 글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세계나 국가 수준에서 인권이 크게 발전하였으나 여전히 인권 침해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지역 공동체의 인권 실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역 공동체는 특성상 인권 침해 요소를 안고 있지만, 일상적인 삶의 현장으로서 인권 실행의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글은 지역 공동체의 인권 증진 방안으로서 인권 문화의 확산, 인권 교육 실시, 인권 보호 체계 구축, 그리고 다각적인 소통과 연대를 강조하고 있다.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human rights situation has been improved in the world as well as at the national level. Nonetheless, there are numerous records of violations of human rights in everyday life. This paper argues to pay attention to the significant role of local community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Because the local community has the contrast characteristics for developing human rights in practice, we need to encourage the human rights initiative in local community as follows : the spread of human rights, human rights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of human rights groups.

      • KCI등재

        한국 형평사와 일본 수평사의 인권 증진 협력 활동 연구

        김중섭 ( Joong-seop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09 사회와 역사 Vol.0 No.8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형평사(1923-1935)와 일본의 수평사(1922-1942) 사이의 인권 증진 협력 활동을 분석하는데 있다. 형평사와 수평사는 전통사회에서 최하층민으로 차별받아온 한국의 백정과 일본의 부락민의 신분 차별철폐와 인권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역사적 배경과 목적이 비슷한 이 두 단체는 출발부터 상호 협력에 적극적이었지만, 그 과정은 불가피하게 안팎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굴곡을 겪으며 역동적으로 진행된 것을 보게 된다. 창립 직후 1920년대 초 두 단체는 상호 지지와 협력을 모색하는 양상이었다. 특히, 1919년 3.1운동 이후 사회 개혁 분위기에서 백정 지도자들과 비백정 활동가들이 협력하여 만들어진 형평사는 지도부 사이의 파벌 대립과 일제 책략에 의한 ‘스파이 사건’을 겪으면서 수평사와의 협력에 소극적인 반면에, 1918년 쌀소동을 겪으며 발전된 수평사는 비부락민의 참여를 허용하지 않는 배타적 조직으로 발전하며 형평사와의 협력에 적극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파벌 대립이 완화되면서 형평사는 수평사와의 협력에 더욱 적극적으로 바뀌었고, 그 결과 1920년대 중반 두 단체의 협력은 상호 교류 활동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1920년 후반 일제의 전쟁 준비와 식민지 지배 체제 강화, 해소론 제기와 활동 방향 전환 같은 외부 환경의 영향 속에서 두 단체의 협력은 급속도로 위축되었다. 이와 같이 인권증진을 위한 국제 연대의 시도로서 평가되는 이 두 단체의 협력 활동은 안팎 환경의 영향을 피할 수 없었다. 특히, 일제가 제2차 세계대전을 도발하며 전시체제를 구축하는 상황에서 두 단체는 원래의 목적을 상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직조차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he cooperative activities between Korean Hyongpyongsa (1923-1935) and Japanese Suiheisha (1922-1942)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The Hyongpyongsa and the Suiheisha were founded with the goals to abolish social discriminations against paekjong in Korea and burakumin in Japan respectively who had been regarded as beings inferior to the main population of traditional Korea and Japan. In sharing with historical backgrounds and goals for their activities, they were enthusiastic to support for their counterparts. However, they were inevitably influenced from social situations in which Korean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se complex conditions surrounding their human rights activities resulted in the dynamic fluctuations of their historical process. The Hyongpyongsa which was founded soon after the nationwide massive protest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became passive stance for the cooperation with Suiheisha, supposedly because of the Japanese intervention like he ‘spy scandal’ in the early stage of the cooperation. In contrast, the Suiheisha was rather active to promote their cooperation with the Hyongpyongsa. Both developed their cooperation to exchange delegates for the counterpart organizations in the mid-1920s. However, in the late 1920s, their cooperation was discouraged in the aftermath of outer influences such as Japanese attempts for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World War, and Communist intervention for domestic social activities. Their cooperative activities for improving human rights no longer lasted in the early 1930s, and both ended their activities in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colonial suppression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 KCI등재

        인권조례와 지역 사회의 인권 발전

        김중섭(Joong-Seop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5 현상과 인식 Vol.39 No.4

        이 글은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조례 제정과 운용 상황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규명한 뒤, 지역 사회의 인권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인권조례의 제정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실행 수준은 여전히 미흡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초 지자체, 특히 도의 농촌 지역에서의 인권조례 제정이 크게 미진한 실정이다. 그리고 인권조례의 주요 내용인 지자체 인권위원회 구성, 인권기본계획 수립, 인권교육 실시 등이 전반적으로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역 공동체의 인권 증진의 법적 기반인 인권조례의 제정과 실행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요망된다. 그리고 인권 친화적 지역 공동체를 만들기 위하여 인권조례의 제정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며,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지역 사회의 인권 증진을 위하여 지역 민주주의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인권 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맡고 있는 지자체의 집행부, 집행부의 사무를 감사하고 예산을 심의하는 지방의회, 인권 관련 사항에 대한 시민사회와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등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본연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는 인권조례의 실행을 위한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특히, 전담 기구의 설치와 담당 요원의 배치, 예산 편성 등 인권 실행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는 지역 간의 연대와 협력이 필요하다. 지역 사회끼리 여러 차원에서 협력하고 연대하면서 지역 사회뿐만 아니라 전체 사회의 인권 증진을 모색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This paper analyzes human rights ordinances in metropolitan and primary local governments. It deals with the general situation of their enactment and management and then attempts to suggest how to improve human rights conditions at local communities. In recent years, there are a numbers of metropolitan and primary local governments which enacted human rights ordinances. However, this paper finds that most of local governments, particularly those in rural areas, have not accomplished the goals of human rights ordinances in various aspects. Most of local governments also failed to incorporate main elements of the ordinances, such as forming local commission for human rights, establishing human rights action plans, and introducing human rights education. Therefor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how to rapidly enact and fruitfully manage the ordinances aiming to initiate local communities that are sensitive to human rights. To accomplish this goal, the paper proposes three main points. First of all, democracy should be developed on at local level for communities to be sensitive human rights. Members of local communities should carry out their respective roles: a local government should striv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policies and their implementation; local councillors must watch the local governments’ human rights-related activities; and civil groups and people should take part in participatory democracy. Second, conditions to implement human rights ordinances should be established. It is especially crucial that a bureau is established and members are appointed to be in charge of human rights-related matters and that a budget is allocated for activities to enhance human rights conditions in the communities. Third, there should be a network of solidarity and cooperation between members of local communities. These network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human rights situation at national and local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