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르뗀두의 희곡 연구

        김우조(Kim, Woo-Jo)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1 남아시아연구 Vol.16 No.3

        근대 힌디문학의 토대를 확립한 바르뗀두의 가장 큰 공헌은 봉건시대의 귀족문학에서 대중의 삶과 분리되어 있던 문학을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따라 대중의 삶과 연결시켰다는 점이다. 그는 새로운 시대의 현실 문제들을 다루기 원했다. 이를 위해 산문의 여러 장르를 발전시켰으며 대중의 언어인 카리 볼리 힌디어를 새로운 문학 언어로 채택했다. 바르뗀두 자신은 산문의 여러 장르 중에서 희곡에 집중했고, 근대힌디문학은 바르뗀두의 희곡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그러나 바르뗀두의 희곡작품은 서구의 근대산문희곡과 다르다. 그의 희곡에는 운문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그 운문에는 주로 중세 봉건시대의 문학어인 브라즈바샤가 사용되었다. 바르뗀두시대라고 불리는 근대힌디문학 제 1기를 대표하는 근대성의 상징들을 새로운 의식을 표현한 현실 문제, 산문의 장르 그리고 카리 볼리 힌디어라고 볼 때 그의 희곡의 근대성에는 봉건성이 내재되어 있다. 이에 대한 이해는 근대힌디문학의 새로운 장르로서 바르뗀두의 희곡을 자리매김하고, 더 나아가 근대힌디문학의 제 1기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데에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그의 희곡에서 근대적인 요소와 함께 중세의 봉건적인 요소에도 주목하면서 그의 대표적인 희곡작품의 주제, 기법 그리고 언어를 분석하고자 한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s of Bh?ratendu, the founder of modern Hindi literature is the elimination of the gap between the literature and the life of the people in the aristocratic literature of the feudal age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new era. He adopted prose genres and ‘Khar? Bol? Hindi’, a language of the people as the new literary language to deal with the issues related to the life of the people aroused in the new era. The fervor for new consciousness in the new era, the prose genres and Khar? Bol? Hindi can be termed as symbols of modernity in the early beginnings of modern Hindi literature. Drama was Bh?ratendu’s preferred genre in prose. The reasons for this selection is contemporary compulsion. He was conscious of the importance of dramatic exposi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people as it required to be staged and needed immediate reactions from its audience. Same way, he recognized the possibilities of Khar? Bol? Hindi as the tool of modern communication between literature and the people at large. The works of Bh?ratendu are mostly related to the issues of society and politics. His attitude towards society and religion, he adopts satirical and realistic approach and towards woman is modern and liberal. However, there is no denying the fact that he could not free himself totally from the feudal influences of the medieval age which can be traced in the ideological basis of his social reformation based on ‘Bhaktism’ of Vallabha community. At the same time, he revealed sharper eyes to recognize the nature of the British rule in India more then anybody else when he pinpointed that British imperialism in India was to exploit Indian people economically. It goes beyond the comprehension of the social-political leadership of the country of his times. There was the background of resistant spirit of the people of Hindi speaking area exploded in ‘Sepoy Revolt’ which continued to consider British as economic plunderers. Bh?ratendu experimented with and established the new suitable form of modern Hindi plays. The most notable technique in his plays, in my opinion, is the massive use of verses and songs, for which he choose Brajbh??? the literary language of the middle ages instead of Khar? Bol? Hindi. It is true that the plays of Bh?ratendu are no match to western modern prose playwriting. But simply by using verses and songs in his plays he can not be termed as medieval or pre-modern. These instruments were used primarily for a better communication with the people. Nevertheless, keeping in mind the factor of beginnings of modern Hindi literature and the task of depicting the life realistically, the technique of the massive use of verses and songs and the use of Brajbh???, the language of Kri??a Bhakti literature and the aristocratic literature of the medieval time, are not suitable. Thus, though Bh?ratendu had chosen play as the representative prose genre to express modernity, modernity and feudality are co-existed in the themes, techniques, and languages in his plays. And it can be considered as the reflection of the contradictions which his era was unable to resolve.

      • KCI등재

        스와얌부의『빠움짜리우』에 관한 연구

        김우조(Kim, Woo-Jo)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09 남아시아연구 Vol.14 No.2

        최초의 어쁘브란슈어 시인, 스와얌부의 『빠움짜리우』는 첫 번째 어쁘브란슈어 서사시이며 자이나교의 람까타(람-이야기)이다. 인도의 최초의 시인, 발미끼가 람에 생애에 관한 시들을 집대성하여 람의 전 생애를 다룬 첫『라마야나』창작한 이후 람까타는 인도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이야기가 되었다. 대중의 사랑을 받던 이야기를 통해 종교적 가르침을 전파하여 왔던 인도종교에서 람까타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자이나교에는 람까타의 풍부한 전통이 있다. 스와얌부의 『빠움짜리우』는 문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작품이지만 인도의 람까타 전통에서는 이에 상응하는 중요성을 인정 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이 글에서는 인도의 람까타 전통에서 이 작품의 위상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자이나교의 람까타 전통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최초의 어쁘브란슈 서사시로서 『빠움짜리우』의 서사시적인 특성을 살펴본 후 텍스트분석을 토대로 람까타가 자이나교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성 및 사건의 전개에서의 새로운 점, 인물의 새로운 해석 그리고 작품에 반영된 시대와 사회 등을 발미끼의『라마야나』와 비교하여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도의 람까타 전통에서 자이나교의 람까타가 갖는 의미와 함께 『빠움 짜리우』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그 위상의 정립을 시도할 것이다.

      • KCI등재

        중세 힌디어 박띠문학

        김우조(Kim, Woo-jo)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6 남아시아연구 Vol.21 No.3

        중세 인도에서 범인도적으로 성행했던 대중적 성격의 종교운동인 박띠(Bhakti)운동을 배경으로 나온 힌디어 박띠문학의 가장 큰 특징은 대중을 위한 문학이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힌디어 박띠문학의 이러한 대중적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박띠가 대중운동으로 발전하여 힌디어 사용지역인 북부 인도의 대중에게 수용되는 과정과 북부 인도의 힌디어 박띠문학의 분류에 관해 간략하게 살펴보고 대표적 시인의 텍스트 분석을 토대로 신에 대한 이해, 박띠의 길과 그 수행방식 그리고 형상화와 문학담당층에 나타난 대중성을 구명하며 대중을 위한 문학이면서 더 나아가 대중에 의한 문학으로서 힌디어 박띠문학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nature of medieval Hindi Bhakti literature as the literature for the populace on the basis of textual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works by the great Bhakta poets of the time. Hindi Bhakti literature for the populace can be considered as the natural result since it is a product of Bhakti Movement which was the massive religious movement in medieval India. After the acceptance of Bhakti and Bhakti Movement by people in northern India many masterpieces of great Bhakta poets belonging to diverse branches of different streams had come out. And the traits of trend of the literature for the populace can be traced in the several aspects of medieval Hindi Bhakti literature. Their understanding towards the Supreme Divine Being with emphasizing on the importance of the path of bhakti for attaining emancipation (Mokṣa) in spite of the differences in their ways of performances of devotion can be a significant trait of the trend of Hindi Bhakti literature for the populace. And the adoption of poetic meters and forms prevailed among people as well as regional languages as poetic language can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literature for the populace. Above all, medieval Hindi Bhakti literature was the unique literature of all kinds of people transcending castes, gender, religion etc. in in medieval India. In sum, Medieval Hindi Bhakti literature can be highly evaluated as the literature of and for the people.

      • KCI등재
      • KCI등재

        영역 본 『기딴잘리』에 나타난 인도낭만주의의 특성

        김우조(Kim, Woo-Jo)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3 남아시아연구 Vol.18 No.3

        라빈드라나트 타고르가 191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계기가 되었던 작품은 1912년 발간된 영역 본 『기딴잘리』이었다. 영역 본 『기딴잘리』는 타고르의 별도의 작품이 아니고 그가 약 10여 년 동안 발간된 기존의 벵갈어 작품에서 발췌하여 직접 영어로 번역한 비교적 짧은 서정시들의 모음집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영역 본 『기딴잘리』의 성격을 타고르의 시의 발전 단계와 연관시켜 분석,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당시 인도의 시대적.문학적 상황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영역 본 『기딴잘리』가 나오기 이전까지의 타고르의 벵갈어 시 작품을 소개한 후 작품집에 나타난 경향의 변화에 따라 시 발전 단계를 나누어 그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분석을 토대로 영역 본 『기딴잘리』를 조명하여 영역 본 『기딴잘리』가 단순한 신비주의 색채의 신앙시편이 아니고 당시 인도의 시대적ㆍ문학적 필요성에 따라 대두되었던 인도 낭만주의의 산물임을 밝힐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인도 람-이야기 전통에서 깔리다사의 『라구원샴』

        김우조(Kim, Woo-Jo)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8 남아시아연구 Vol.23 No.3

        발미끼가 람의 영웅적 삶에 관한 시를 취합하여 최초로 람의 전 생애를 다룬 『라마야나』를 창작한 이후 『라마야나』는 람-이야기의 동의어가 되었고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다양한 집단의 사람들이 그들의 시대와 지역의 가치와 신념체계, 사회구조, 친족관계 등을 반영하면서 람-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왔다. 산스크리트문학에서 발미끼 이후 람-이야기를 다룬 시인은 깔리다사이다. 그는 『라구원샴』(라구왕조)의 서문에 해당되는 1장의 1-10번째 시에서 이전 발미끼의 람-이야기 전통을 따르지만 라구왕조에 속한 왕들에 관해 들은 것을 이야기 할 것이라고 하면서 람이 속한 가문이 포함된 람-이야기를 쓸 것임을 밝히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람-이야기 전통에서 매우 독특한 위상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깔리다사는 서문에서 라구왕조의 특징을 열거하고 그 후 19장에서 라구왕조의 왕들의 삶과 통치에 그 특징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보여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깔리다사의 『라구원샴』 텍스트를 토대로 그가 밝힌 라구왕조의 왕들의 이야기를 ‘라자다르마’ (왕국의 체제를 유지에서 왕이 지켜야 할 법, 의무, 윤리, 도덕 등)의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9-15장에 서술된 기존의 람-이야기에서 비슈누신의 7번째 화현의 이야기로서의 성격과 특성 그리고 라자다르마의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작품 전반에 반영된 깔리다사의 시대와 사회의 반영을 간략히 살펴볼 것이며 이를 통해 람-이야기 전통에서 깔리다사의 『라구원샴』의 독특한 위상을 구명할 것이다. After Vālmiki had gathered the poems about Rāma"s whole life with his heroic deeds and created the epic Rāmāyaṇa for the first time, Rāma-Kathā (literally means ‘story of Rāma’) have been constantly reconstituted by those from various communities in different regions and dates. Each retelling reflects the values, beliefs, social fabric, and the ties of kinship, etc. according to its regions and dates. In Sanskrit literatur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oets of Rāma-Kathā after Vālmiki is Kālidāsa. Unlike Vālmiki’s traditional heritage, Kālidāsa, in his epic poem Raghuvanśam (literally means ‘lineage of Raghu’), narrates the kings of Raghu dynasty where Rāma belongs to. In this respect, Raghuvanśam has a unique status in the Rāma-Kathā tradition. Kālidāsa himself mentions in the preface of the poem (sarga 1/ślokas 1-10) that he will recites the story of the kings of Raghu dynasty following Vālmiki’s traditional heritage, but differently from other narratives. Kālidāsa enumerates the characteristics of Raghu dynasty at the beginning, and then illustrates how those characteristics are manifest in the kings’ life and reign in sarga 19. In this article, based on Raghuvanśam text, the story of the kings of Raghu dynasty has been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Rājadharma (literally means ‘dharma of the rulers’). In Raghuvanśam, Rāma-Kathā is described from sarga 9 to sarga 15, and here, Rāma is identified as the 7th avatar of Lord Viṣṇu, and the features of Rāma-Kathā of Raghuvanśam show the influence of Rājadharma. On that basis, I have looked into the reflection of Kālidāsa ’ s times and society throughout Raghuvanśam; and through this, I tried to identify an indigenous status of the work in the Rāma-Kathā tradition. To Sum up, Kālidāsa wrote Raghuvanśam with the object of presenting Rājadharma necessary for his times and society; Raghuvanśam is Rāma-Kathā with Raghu dynasty story written for showing Rājadharma in which rules of kings and Brāhmaṇas centered Hindu culture of the Gupta period is reflect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타고르의 조선에 대한 인식과 조선에서의 타고르 수용

        김우조(Kim, Woo-Jo) 한국인도학회 2014 印度硏究 Vol.19 No.1

        R. 타고르는 “동방의 등불(The Lamp of the East)” (1929)이라는 메시지 형태의 짧은 송시로 우리 민족의 마음을 완전히 사로잡아 우리나라에서 매우 독특한 위상을 누리고 있는 외국 시인이다. “동방의 등불”, 그리고 우리민족과 관련된 타고르의 또 다른 시 “패자(敗者)의 노래(The Song of the Defeated)” (1916)에 관한 논의가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또한 이런 종류의 논의에서 종종 극단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경우를 접하게 된다. 그것은 타고르의 사상과 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배경지식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이에 글쓴이는 이 글에서 인도문학 전공자의 입장에서 먼저 우리 민족과 관련된 타고르의 시 2편에 나타난 타고르의 조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후, 조선에서 타고르의 도입과 우리 문학에 미친 타고르의 영향, 그리고 한용운의 “타골의 시(Gardenisto)를 읽고”(1926)를 중심으로 우리 민족의 타고르 수용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밝혀, 조선에 대한 인식에서 보여준 타고르의 시각과 우리 민족의 타고르와 그의 시의 수용과 반응에서 중요하게 작용한 시각 사이에 상위한 점을 구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 민족과 관련된 타고르의 시에 대한 실체적인 이해와 함께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