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대내외 정세평가 : 2011년 신년공동사설 분석

        김연수(KIM Yeon-su)(金蓮洙) 신아시아연구소 2011 신아세아 Vol.18 No.4

        지난해 김정은 승계체제 공식 등장 이후 북한은 체제안정을 유지하면서 김정은 승계체제 안착을 위한 대내외 여건조성에 주력해 왔다. 올해 북한정세에서 김정은 승계체제의 안착국면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자원공급 한계로 경제 활력 회복에는 적잖은 한계를 보이고 있고 체제 구심력 회복도 쉽지 않으나, 김정은 승계체제의 정치적 안정성은 북한군 수뇌부 지지를 중심으로 증대되고 있다. 북한은 그 승계체제에 대한 중국의 확고한 전략적 지원과 러시아의 전략적 협력태도를 이끌어냈다. 대미관계에서도 고위급회담 개최를 통해서 관계개선에 대한 원칙적 합의에 이르렀다. 북한은 대남 멸적의식을 강조하며 비대칭전력 증강과 대남 군사훈련에 적극적 행태를 보이면서도 대남관계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간헐적 대남 강경태도 시현이 있었으나 대화공세를 이어 오며 남북 비핵화회담 개최 및 남한의 소위 '5. 24' 대북 제재 조치의 부분적 완화태도를 이끌어냈다. 앞으로도 김정일 사망에도 불구하고 김정은 승계체제 안정화 차원의 이러한 올해 북한의 대내외 정책기조가 지속될 것이다. '강성국가' 원년 즈음 각종 정치행사 등 후계체제 정통성 고취행태와 김정은 승계체제 중심 권력 엘리트변화 양상의 심화가 예상된다. 북한은 주민들의 실생활 개선을 위한 경공업부문의 생산 정상화에 집중하고, 사상교양 강화 등으로 체제 원심력 확산을 제어하고자 할 것이다. 북핵문제의 협상국면과 평화협정 프로세스 유도로 외부의 대북경제지원과 대미관계 정상화의 계기를 만들어나가고자 할 것이다. 대중 동맹 결속 강화로 경제협력, 인적교류, 군사협력 등의 확대 노력도 전개할 것이다. 대남 관계에서는 대남 적대성에 기초한 군사적 대응능력을 강화하는 한편 평화공세로 남북고위급회담 개최를 유인하여 김정은 승계체제의 안정화에 유리한 남북관계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할 것이다. 향후 북한의 대내외 정책구사의 초점이 김정은 승계체제의 안정화에 맞춰지면서 주체와 선군노선의 계승성을 주장하는 김정은 승계체제는 중·장기 진로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 보면 유사(類似)수령유일지도체제의 성격을 띠면서 안정된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 North Korea has been engrossed in creating a friendly environment for stabilization of the Kim Jong-eun's new regime since he had been designated as its 3rd hereditary successor in Pyongyang in last September 2010. The eminent features of North Korean hereditary succession politics of this year is that the Kim's hereditary succession regime has been stabilized very rapidly owing to improve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for its survival in 2011. The core leader group of North Korean People's Army openly took a pledge to dedicate their loyalty to new leader Kim Jong-eun through the several main national festivities. Additionally, Pyongyang attained Beijing's firmly strategic acceptance and assistance to the new North Korean regime and Russia's strategic support to the Kim's hereditary succession regime. Pyongyang reached mutual consent for the sake of improvement of the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through the resumed high-level governmental talks between washington and Pyongyang. As for inter-Korean relations, North Korea succeeded in softening Seoul's antagonistic attitude against Pyongyang by means of its continuous demand for reopening governmental talks between two Koreas. Notwithstanding Kim Jong-il's death, these kinds of environmental changes contributed to maintain the new North Korean regime's stability. Meanwhile, North Korea's internal and external policy is also going to be concentrated on stabilizing the new Kim's regime in the near future. That's why North Korea's policy attitude in the near term will be similar to Pyongyang's that of this year. In this context, we can all agree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new Kim's regime is going to make an approach to the higher stage of its stabilization.

      • KCI등재

        김정일 사후(死後) 남북관계 전망과 우리의 대북정책 방향

        김연수(金蓮洙)(KIM Yeon-su)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2 신아세아 Vol.19 No.2

        남북관계의 결정요인은 크게 보면 두 가지다. 우선 국제체제 변수로서 미-중관계다. 미-중 양국은 한반도 정세 안정화에 있어서 국익 선호지점의 일치를 보이면서 지난해 이래 적극적인 대북개입정책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 다른 하나는 남북한 각각의 국내정치변수다. 북한의 대내정치의 수요의 핵심은 김정은 체제의 안정화에 있다. 북한은 김정은 체제 안정화를 위한 주민들의 실생활 개선문제에 부심하고 있다. 이에 대외관계 개선의 절박성이 있다. 남한은 악화된 남북긴장완화와 북핵문제의 관리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남북관계 개선의 압박요인이 축적되어 있는 셈이다. 향후 남북관계는 올해 정세를 넘어서서 한반도 정세완화와 북핵문제에 대한 남북한을 포함한 주변국들의 공통의 이해관계가 작용하면서 6자회담 재개와 남북관계 개선노력이 병행되는 방향으로 전개될 개연성이 높다. 향후 우리의 대북정책 추진방향은 국익논리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한반도 정세안정, 북한의 평화적 변화, 민족통일역량의 강화 등이 남북관계상의 핵심 국익범주에 포함된다. 이 방향에서 남북관계발전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실적으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3단계접근법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신뢰조치를 통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분위기 조성노력을 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남북당국간 대화를 재개해야 한다. 이에서 성과를 거둘 경우 남북관계의 특수현실을 감안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남북당국간 최고위급 회담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The Surroundings Powers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Washington and Beijing hope to stabilize the unpredictable current security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s continued since 2010. North Korea’s urgent task is to stabilize Kim Jong-un’s leadership which depends on the improvement of people’s livelihoods including alleviation of aggravated situation of food distribution. This demands of Pyongyang’s internal politics leads to the need of its conciliatory external policy, including its south korea policy. Seoul also confront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the deteriorated current security cond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inter-Korean relations will be better next year. To be truly, Seoul’s North Korea policy should be focused on its national interests which include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peaceful change in the North Korean system, and strengthening its reunification capacity.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Seoul had better implement gradual three-step approach that includes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to ease the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governmental level inter-Korean dialogue, and top-level talks between Seoul and Pyongy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