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미완의 혁명 : 프로이트로의 복귀를 위하여

        김서영(Suh-young Kim) 한국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09 현대정신분석 Vol.11 No.2

        본 논문은 자끄 라깡이 주장한 프로이트로의 복귀를 두 가지 층위에서 다시 살펴본다. 우선 과학사 속에서 중심의 전복에 대한 계보학적 논의를 전개하고, 이후 이를 프로이트 전집을 통해 프로이트 자신의 작업 속에서 살펴본다. 즉 중심을 대체하고 완벽한 원을 무너뜨리는 천문학의 역사와 자아라는 중심을 전복시키는 정신분석학의 업적을 비교하고, 이러한 과정이 어떻게 프로이트의 저작에 나타나는가를 살펴본다. 그러나 문제는 라깡이 재구축한 정신분석과 자아심리학이 주장하는 바 모두를 프로이트의 저작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인데,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글에서 이 두 가지 견해가 나타나는 지점과 이들이 분리되는 지점을 지적해낸다. 라깡이 자아심리학자들의 오역이라고 지적하며 프로이트로의 복귀를 주장했던 문장 자체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을 통해 논문은 프로이트 자신이 자아심리학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적극적으로 도모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지적해 낼 것이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우리가 진정 돌아가야 하는 프로이트의 지점들을 더욱 세부적으로 지적하고, 이를 통시적인 측면에서 계복학적으로 보강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Jacques Lacan's call for a "Return to Freud" from a more genealogical point of view. It looks at the historical moments, those of astronomy, at which the concept of the centre has been subverted. This is compared with the psychoanalytical attempt to subvert the thesis of the ego psychologists. It, however, asserts that the latter can be found in Freud's own work, and thus it is not the farfetched assertion that has nothing to do with Freud's thoughts. On the contrary, Freud himself has spent much timer structuring the concept of the ego. The paper pinpoints the work of Freud where we can find such traces, and moves on to point out that these aspect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in order to separate them from the part where Lacan returns to.

      • KCI등재후보

        이드의 기원을 찾아서 : 게오르그 그로덱의 『이드에 관한 책』에 예기(豫期)된 학문융합적 층위

        김서영(Suh-Young Kim)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11 현대정신분석 Vol.13 No.2

        프로이트가 이드 개념을 차용한 게오르그 그로덱의 『이드에 관한 책』은 그로덱이라는 이름과 함께 오래전 정신분석의 역사 속에서 망각되었다. 그로덱이 프로이트 이전에 이드에 관한 책을 집필했었다는 점이나, 그가 이 책 속에서 이드, 자아, 상징이라는 개념을 본격적으로 논의했다는 명백한 사실 역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물론 프로이트의 주장대로 그로덱의 신비주의가 문제의 시발점이었을 수도 있지만, 그로덱 자신은 평생 신비주의적 경향을 비판하며 프로이트의 과학적 정신분석학의 입장을 견지한 정신분석가였다. 즉 그로덱의 이론에서 우리는 융적인 신비주의와 프로이트적인 과학적 기표의 논리를 동시에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그로덱은 라깡적 사유의 편린을 예기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그는 어머니라는 최초의 타자가 맡은 역할을 프로이트보다 더욱 강조했고, 모든 인간이 거세되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으며, 전형적 상징보다는 상징계의 연쇄를 중심으로 분석을 전개했다. 본 논문은 그로덱이라는 잊혀진 정신분석가의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프로이트가 은폐하는 이드의 기원을 확인하고, 그로덱의 이론에 나타난 프로이트, 라깡, 융적 함의를 추적할 것이다. 이를 통해 그로덱의 위치를 정신분석학사 속에서 복원하고, 그의 이론이 프로이트, 융, 라캉의 이론과 다른 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그가 어떤 방식으로, 미래에 도래할 각 학문분과를 융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Georg Groddeck's The Book of the Id, which had been written before Sigmund Freud wrote The Ego and The Id. Although Groddeck's work has been forgotten over the years, it is worth a thorough examination for the reasons as follows. First, Freud has never introduced Groddeck's work properly although he admitted that he has drawn upon the concept of the Id from the work of Groddeck. Therefore, neither his theory nor his name survived in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Secondly, his work anticipates the Lacanian emphasis on the Symbolic level of treatment in that he understood both the power of language and the effects of misuse of analytic power in treatment. Thirdly, his use of the concept of the Id alludes to the theory of Carl Gustav Jung in which the unknown i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theory. This is why Freud has criticized both theorists for not being scientific. Finally, Groddeck has focused not on the psychoanalytic theory per se but on the practical use of psychoanalysis and has aimed at popularizing the latter. As such, one can observe the implications of disciplinary conversions in Groddeck's work. He has emphasized the Freudian psychoanalysis, and yet situated psychoanalytic practice in the realm of the unknown, which alludes to the theory of analytic psychology. To summarize, Groddeck offers a way to converge the various analytic disciplines in the 21st century. He gave life to the concept of the Id, authorizing it to be the center of the subject. This center, however, is a different name of the unknown, and thus it is what links the Lacanian Real order to the Jungian archetype. His theories thereby offer a point at which a more practical therapeutic narrative in psychoanalysis can be writte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신분석학적 해석에 대한 철학적 고찰

        김서영(Kim, Suh-Young)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8 현대정신분석 Vol.2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고통과 고통의 극복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통해 정신분석학적 해석 과정의 의미를 이론화하는 것이다. 해석학자인 가다머는 ‘고통을 극복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verwinden’을 강조한다. 그것은 고통을 대면하여 그 아픔을 이겨내는 과정을 뜻한다. 니체는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시작을 「세 번의 탈바꿈」으로 열고 있다. 여기서 ‘탈바꿈’(Verwandlung)이란 정신의 고양을 의미하는 변화로서, 그 이전 단계를 넘어서는 질적변화를 뜻한다. 그것은 ‘übervinden’의 차원이라 할 수 있다. 정신분석학에서 프로이트가 사용하는 ‘변하게 하다’(verwandeln)라는 동사는 결코 바꿀 수 없는 과거의 사건을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히스테리적 비참을 평범한 불운으로 바꾸는 치유 과정’을 뜻한다. 그런 의미에서, 넘어설 수 없는 고통을 전제로 그 고통의 극복을 강조한 가다머의 고통에 대한 이론이 정신분석학의 변화 개념에 더욱 가깝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해석이라는 정신분석의 무기에 의해 과거 자체가 재배열되며 새로운 현재와 미래가 가능해 지는 과정을 보임으로써, 그 변화의 과정을 니체적 탈바꿈의 차원으로 이론화했다. 해석에 의해 과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정신분석적 해석은 과거의 의미를 찾아내는 발굴의 과정이라기보다는 부재하는 전갈을 능동적으로 해석하여 그 치유의 과정 끝에서 자신의 편지를 수신하는 창조의 과정이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 가다머, 니체의 이론적 연대를 통해, 부재하는 전갈의 자리를 점유하여 모든 해석행위를 파괴하는 항우울제의 기제 및 그 문제점을 이론적으로 밝히고, 고통의 극복을 위한 정신분석학적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e paper i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concept of ‘interpretation’ and to reveal the fact that the latter is at the very center of Freud’s work. Having theoretically constructed the basis of psychoanalytic healing in this way, the paper will point out that the work of interpretation is often missing in prescribing and taking the antidepressant drugs, which are not accompanied by the psychoanalytic sense of talking cure. Ever since the term has been coined by Bertha Pappenheim to describe the psychoanalytic method of approaching the past of the patient, it has been the core of the psychoanalytic process of cure. However, both the importance and the practical effect are so often neglected in the present. The paper thus aims at empha sizing the therapeutic function of the interpretation drawing upon the theories of the philosophers such as Gadamer and Nietzsche. The point of departure of the discussion is the early work of Freud, where he rejects hypnosis and moves on to a new tool of free assoc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