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 가치관 함양을 위한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결혼 가치관 함양이라는 가정과 교육 목적을 달성하는 방안으로써 메이커교육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DIE의 4단계를 거쳐 6차시의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고등학생 1학년 240명을 대상으로 실행하고,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메이커 수업의 효과는 첫째, 학생들은 비물질적인 가치관을 쿠키로 형상해 가는 활동을 통해 추상적인 자신의 결혼관을 구체적으로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둘째, 스토리텔링 기반 공유하기 수업은 쿠키를 매개로 자신의 결혼 가치관을 발표하기 때문에 발표 내용의 집중과 의사소통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셋째, 결혼 가치관을 상호 공유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결혼 가치관을 접하게 되면서 수업 전보다 결혼에 관한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자세를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가치관 교육의 메이커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기에 의미가 있으며, 추후 연구로 성 가치관, 가족 가치관 등 가정과 가치관 함양을 위한 다양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ology called Maker Education as an alternative for better marriage values of adolescents and achievement of the education purpose. For doing this, I developed 6-lessons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4th stage of PDIE. Classes were conducted for 240 freshmen students in high school, and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examin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effects of maker classes drawn from the interview were as follows. First, maker classes helped students to define their own abstract marriage values specifically through activities to form nonmaterial values into cookies. Second, sharing classes based on storytelling helped students to focus on presentation content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because students present their own marriage values by mediating cookies. Third, students could have more open and receptive attitudes than the time when classes didn’t get started during a process sharing marriage values. This study was meaningful to identify probabilities that Maker Education would be applied to Valu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studies that examine the developments and effects of various Maker Education programs for suppositions such as a gender equality values and family values and better values in the future.

      • KCI등재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의 ‘생활문화’ 핵심개념 단원 분석

        김샛별(Kim, Saet-Byeol),채정현(Chae, Ju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2018학년도 발간)) 내용 중 ‘생활문화’ 핵심개념 단원의 텍스 트와 활동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텍스트의 경우, 연구자가 pdf 혹은 hwp 텍스트 원문을 수집할 수 있었던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 5종을 대상으로 하고, 활동과제는 12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텍스트 분석은 전통 식생활문화, 전통 의생활 문화, 전통 주생활 문화의 주제로 나누어 TEXTOM프로그램의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해 각각 분석하고 활동과제 분석의 경우 연구자가 개발하고 가정과 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보완한 분석틀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정 분야 ‘생활문화’ 의 핵심개념에 대한 텍스트 분석결 과, ‘전통 식생활문화’주제는 식생활 문화를 음식을 통해 다루고 있었으며, ‘전통 의생활문화’주제는 전통 의생활문화의 현대 의생활의 창의적 활용을, ‘전통 주생활문 화’주제는 한옥의 가치와 다른 나라의 주생활문화이해를 통한 친환경적인 주생활의 실천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활동과제의 경우는 ‘생활문화’의 내용 요소에 따라 분류된 활동과제는 총 171개이며, 가치 51개(29.8%), 문화 44개(25.7%), 실천 76개 (44.4%)로, 전통생활문화의 가치와 다른 나라의 생활문화의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의 생활문화에 창의적으로 실천하는 활동과제가 많이 제시되어 텍스트와 활동과제가 일관성 있게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s and activity tasks of the core concept section, Living Culture among the contents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rom high school textbooks revised in 2015 and published in 2018. We had five Home Economics textbooks of high school to analyze the texts, and we investigated twelve high school textbooks for analyzing activity tasks. In the text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we divided them into three topics,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 Traditional Korean Clothing Culture , and Traditional Korean Housing Culture . We used TEXTOM to analyze the texts as well as analysis framework proposed and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for activity tasks.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theme,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mainly deals with the eating culture, and another theme, Traditional Korean Clothing Culture includes the way of creatively using the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in contemporary fashion. The last theme, Traditional Korean Housing Culture focuses on the practice of environment-friendly hous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value of Traditional Korean Housing and housing culture in other countries. In the case of activity tasks, there are 171 activity task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elements of life culture , and the ‘value’ is 51 (29.8%), ‘culture’ is 44 (25.7%) and ‘practice’ is 76 (44.4%). It was confirmed that text and activity tasks had consistently similar contents in that each textbook mainly presented not only the importance to understand the value of traditional living culture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but they provided activity tasks to practice the traditional and foreign living culture in modern living culture.

      • KCI등재

        고등학교 가정 교과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비주얼씽킹 기반 발표 활동을 적용하여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가정 교과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서 내용을 정리하여 시각적인 결과물을 매개로 발표자의 의견을 표현하는 비주얼 씽킹 기반 발표하기 활동을 적용한 고등학교 가정 교과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자가 개발한 총 6차시의 프로그램을 2019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대구 소재 S고등학교 2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이 인식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자가 스스로 가정 교과 관련 주제를 선정하고 독서 활동을 통해 교과 지식을 재구성해 발표하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새로운 가정과 수업 방안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하였다. 둘째, 가정 교과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가정과 이론과 교과 지식의 실제적 이해 및 심화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셋째, 가정 교과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 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함양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 교과 독서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developing a reading program on a Home Economics(HE) curriculum in high school. For this purpose, the reading program on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was developed to organize the contents of reading and apply presentation activities based on visual thinking, in which the presenters can express their opinions through visual outcomes. After conducting this developed program to 240 students of the S high school in Daegu from 1 September 2019 to 30 September 2019,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effects that the students recognize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First of all, as a result, the learners claimed that this reading program is valuable as a new supposition and a class alternative because they could chose the HE related topics themselves and present to the class by reorganizing their knowledge from the reading activities. Moreover, the Home Economics reading program was helpful to a theory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n subject knowledge and advanced learning. Lastly, the reading program was helpful because it improved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uggested a new alternative on the Home Economics reading curriculum and identified an educational value.

      • KCI등재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수업의 효과

        김샛별(Kim, Saet-Byeol),채정현(Chae, Ju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의 3요소(창작자, 창작활동, 창작공간)를 갖추어 고등학교 가정과 수업시간에 실행한 메이커 교육의 사례를 고찰해 가정과 교육과정에서의 메이커 교육의 가능성과 수업 효과를 탐색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대구 S고등학교 1학년 240명을 대상으로 가정과 수업시간에 12차시의 가정과 메이커 수업을 실행한 뒤, 9명(남학생 2명, 여학생 7명)의 연구 참여자와 심층 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 메이커 수업의 효과를 1) 인지 발달 2) 자아 성장 3) 사회성 향상 3가지 주제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가정과 메이커 수업이 수업 내용의 이해 및 자신들의 고차원적 사고 발달에 도움이 되었으며 주체성, 자신감과 자존감, 도전 정신 등 자아 성장에도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가정과 메이커 수업을 통해 친구 관계의 발전 뿐만 아니라 사회에 관한 인식의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자는 가정과 메이커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과 가정 수업시간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고, 가정과 메이커 교육을 학내 교우 관계 등 사회 정서적 측면의 문제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교육의 한 방안으로 학교 정규 교육으로서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Maker education is a process-oriented education method that gives learners various educational effects while completing a specific outcome to actively resolve individual interests or community issues in a class. Although researches to introduce maker education into school curriculums are recently conducted,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studies examining the effects of maker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to meet the standards of achievement in a regular curriculum. Another limitation is that most studies are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Thus, this study conducted a home economics class in Chapter 6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course to 240 first-year student at S high school in Daegu, as well as had an in-depth interview with 9 participants (2 male students and 7 female students). Through the results, this research could categorize the meaning of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into three: 1) cognitive development; 2) Self-growth; 3) social improvement. The students perceived that home economics maker class helped them to develop higher-dimensional thinking, understand their class contents, and grow themselves such as independence, confidence, self-esteem, and challenging spirit. In addition, the students showed not only the development of friendships but also the improvement of their awareness on society through the home economics maker class.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the researcher proposed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teachers in home economics maker class and a curriculum, and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maker class in school education as an effective means to prevent problems in relations and emotions at school.

      • KCI등재

        고등학생을 위한 ‘떡의 세계화’ 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김샛별(Kim, Saet-Byeol),채정현(Chae, Ju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고등학교 가정과의 ‘떡의 세계화’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실행·평가하여 효과를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결과, 총 9차시의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되었다. 그 내용은 우리나라 떡에 대해 알기, 백설기/절편/화전/경단 만들기, 떡의 세계화 수행평 가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대구광역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생 1학년 278명에게 2017 년 9월 20일부터 11월 6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실행하였다. 수업의 효과는 2019년 1 월 2일부터 1월 8일까지 연구자가 개발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최종 수집된 102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떡의 가치에 대한 인식(4.25), 떡의 세계화 인식(4.22), 한식의 세계화 인식(4.18), 떡만들기에 대한 자신감(4.00), 한식 조리에 대한 자신감(3.72), 생활 자립 능력(3.90)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개방형 질문에서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하여 창의적 표현능력이 향상되었고, 수업에 집중이 잘되었으며, 기회가 생기면 스스로 혹은 가족과 함께 창조적인 방법으로 떡만들기를 수행하고 싶다고 하였다. 이에 가정과에서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떡의 세계화’ 실습 프로그램 외에도 한식의 가치와 우수성을 인식시키고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effects of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Globalization of Rice cake practice programs applicable to Home Economics course. A total of nine practice programs were developed, and the researcher directly carried out the practice program towards 278 student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from September 20 th to November 6 th in 2017. We conducted a surve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 program in January 2019. With 102 samples, it has shown that the awareness of the value of rice cake (4.25), the globalization of rice cake (4.22),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4.18) were improv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onfidence in making rice cake (4.00) and cooking Korean cuisine (3.72) as well as self-sufficiency (3.90) were increased. Furthermore, students answered that the practice program made them have creative expression and focus more on the class. They wanted to make rick cake in a creative way with their family la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practice program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recognize the value and excellence of Korean food and to inherit and develop it.

      • KCI등재

        고등학생의 친환경 의생활을 위한 업사이클링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김샛별(Kim Saet Byeol),채정현(Chae Jung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실습법을 적용하여 「기술·가정」교과의 가정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친환경 의생활을 위한 업사이클링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실행·평가하여 청소년의 친환경 의생활 실천을 돕는 데 있다. 본 연구는 ADDIE 교수설계모형의 5단계의 과정을 밟아 진행되었다. 분석 단계에서는 2009 개정 고등학교 가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교과서, 친환경 의생활, 업사이클링, 실습법 등의 문헌과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고, 설계 단계에서는 수업 주제, 내용, 방법, 평가 요소 및 방법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실습법을 적용한 업사이클링 교수·학습 과정안’을 예비 개발한 후 업사이클링 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아, 최종적으로 총 9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278명에게 연구자가 직접 최종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에 따라 수업을 실행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학생 대상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이 수업을 평가하였다. 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결과, 학생들은 이 수업이 평균 5점 만점에서 4점 이상으로 친환경 의생활 인식(4.15)과 업사이클 링에 자신감(4.06)을 향상시켜준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그들은 실습법을 적용한 업사이클링 수업이 새로운 경험이라 신기하였고, 자신이 만들어서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재봉틀이라는 기계를 다룰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고, 수업의 과정에 더 잘 집중하여 오래 기억에 남는다고 평가하였다. 학생들은 가정교과에서 더 다양한 실습수업을 마련할 것과 블록타임제 운영을 통한 충분한 실습 시간의 확보, 그리고 실습을 제대로 할 수 있는 가정실의 시설 정비를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up-cycling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high school students eco-friendly clothing life applying the practice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used. In the analysis stage,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up-cycling, eco-friendly lifestyle, and the practice method were reviewed and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Home Economcis textbooks were analyzed. At the design stage, subject, learning content, learning process applying the practice method, teaching strategies of the lesson plans were designed. At the development stage, preliminary up-cycling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applying the practice method were developed, and then the final plans were developed as the total of 9 classes after up-cycling expert s feedback of preliminary plans.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researcher of Home Economics teacher personally implemented the up-cycling Home Economics lessons applying the practice method for the 278 high school freshman students attending S high school in Daegu city. In the evaluation stage, these lessons were evaluated through student online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students evaluation of the up-cycling Home Economics lessons for eco-friendly lifestyle applying the practice method,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self-confidence of environment-friendly lifestyle and up-cycling was improved through these lessons. The students also felt that the lessons applying the practice method were a new experience, they recognized that they were worth making. And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devoted themselves on the lessons more and the lessons were memorable for a long time. The students needed more lessons applying practice methods in home economics, to secure sufficient time for practice through block-time operation, and to improve the facilities of the home economics class room for practice.

      • KCI등재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청소년을 둘러쌓고 있는 주변의 사회적 지지-가족 사회적 지지, 친구 사회적 지지, 교사 사회적 지지-과 회복탄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회복탄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유형이 무엇인지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과를 매개하는 회복탄력성의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Hayes의 Process를 사용해 각 변수 간의 관계와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중·고생 331명(중학생 89명, 인문계 고등학생 242명)이었으며, 이들은 각 사회적 지지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학업 성과 척도에 응답하였다. 응답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변수들은 회복탄력성과 학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였고, 그 중에서도 가족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가 회복탄력성을 가장 많이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향상된 회복탄력성이 학업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는 가족 관계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를 높여 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을 높임으로써 학업적으로 높은 성과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family social support, friend social support, teacher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academic performance toward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I also try to find the effect of resilience that mediates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3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89 middle school students and 242 high school students), and they answered three types of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Hayes Proces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s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each social support influenced resili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family social support specifically increased resilience the most. In addition, improved resilience through social support has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With the results, the school should develop and apply various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family relations, so as to raise the social support of adolescents and improve the resilience of students so that they can achieve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국내 메이커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국내 메이커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이 분야의 다양하고 균형 있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RISS 통합검색을 이용하여 2014년부터 2019년 6월 3일까지 발간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중 원문을 확인할 수 있었던 104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 관련 연구의 연도별 양적변화, 출판 형태별 동향, 연구 대상, 연구 내용, 연구 방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7년부터 메이커 교육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증가하였고, 학술지 논문이 학위논문보다 많았으며, 학위논문에서는 석사학위 논문이 많았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과 중등학생 그리고 메이커스페이스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 내용에서는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 방법은 개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프로그램 개발, 모형 개발, 도구 개발 순으로 높았다. 사례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연구된 양은 적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메이커 교육은 2014년에 시작되어 2017년부터 최근까지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었고, 연구 대상, 연구 내용, 연구 방법도 2017년을 기점으로 다양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 대상에서는 유아, 대학생·대학원생, 예비교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연구 내용에서는 메이커 교육 자료, 메이커 교육 평가, 메이커 도구에 관한 연구가, 연구 방법에서는 조사연구, 실험연구가 제한적이기에 연구 대상, 연구 내용, 연구 방법을 다각화한 다양한 메이커 교육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various and balanced researches in the field of maker education by figuring out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omestic maker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 articles that were able to confirm the whole text of literatures and Ph.D dissertation study published from 2014 to June 3, 2019 from RISS. I analyzed the changes of the number of researches, study subjects and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of mak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es related to maker education increased quantitatively from 2017. In addition, there were many journal articles, and master thesis was the majority among the thesis. The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primary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y mainly dealt with maker spaces. In the content of the studies, they mostly were about maker education program and maker space. The research method was mainly composed of development research, program development, model development, and tool development. Case studies, literature studies, mixed studies, research studies, and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ut the amount studied has been sm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omestic maker education started in 2014 and it has increased quantitatively from 2017. It is confirmed that research subjects, research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are diversified starting from 2017. However,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infants, undergraduates, graduate students, preliminary teachers and teachers, and the studies rarely carried out for maker education materials, maker education evaluation, and maker tools. In addition, since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contents are concentrated in one field, various types of maker education research are required.

      • KCI등재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과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고등학교 가정과체인지메이커(Changemaker)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유스벤처(Youth Venture)의 체인지메이커 교육 단계(문제발견하기, 솔루션찾기, 행동하기, 퍼뜨리기)를 적용하여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의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과 소비문화 확산’ 주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청소년들의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과 가정과 교사들의 가정과 소비자 영역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한 소비생활의 실천과 지속가능한 소비문화 확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청소년을 체인지메이커로 정의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총 4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지속가능한 소비를 저해하는 문제(원인)발견하기, 일상생활에서의 지속가능한 소비 실천방안 찾기, 지속가능한 소비 실천하기, 지속가능한 소비 실천방안 공유 및 확산하기로 구성되었다.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은 가정과 교육 전문가 5인으로부터 가정과 성취기준 달성, 교육 현장 적용가능성, 지속가능한 소비 인식 및 실천역량 함양에 관한 타당성 검증을 받았으며, 전문가 집단이 개진한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에 관한 의견을 수렴하여 프로그램을 최종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일상생활에서의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뿐만 아니라, 이를 공유 및 확산하여 지속가능한 소비사회문화를 형성에 기여하는 체인지메이커로 성장하도록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음에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help adolescents practice a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as well as to help home economics teachers’ class in the home economics consumption section by developing a changemaker education program on the ‘Practice and Spread of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Culture’ for the home economics subject in high school. To do so, the study developed 4-lessons program to define adolescents who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and spread of sustainable consumption cultures as changemaker, and to create sustainable society. The program contents consisted of: discovering problems(causes) to make sustainable consumption reduced, finding ways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and share and sprea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ways. The validity of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verified by five expert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n: mee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home economics; applicability to home economics classes ; sustainable consumption recognition, and the cultivation of the capability to practice. Finally, the study completed the program by collecting the expert group’s opinion on modifying and improving the program.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developed a program for learners to not only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in daily life but also to share and spread it to grow them into changemakers who contribute to creating a society and culture of sustainable consumptio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핵심개념 ‘안전’ 단원 활동 과제 분석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안전’ 핵심개념 단원의 활동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기술·가정1」교과서 12종, 「기술·가정2」교과서 12종 총 24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틀은 2015 개정 중학교 가 정과 교육과정을 분석해 ‘청소년기 생활 안전’, ‘주생활 안전’, ‘식생활 안전’, ‘안전한성’, ‘가정 폭력 안전’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개발하였다. 분석결과, ‘안전’ 내용 요소를 포함한 「기술·가정1」교과서의 활동과제는 총 112개, 「기술·가정2」교과서는 147개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안전’ 활동과제가 더 많아졌다. 그리고 세부 내용 요소별로 살펴보면, ‘스트레스/분노조절장애’, ‘주택 안전’, ‘식품 선택’, ‘성폭력’, ‘아동 폭력’ 세부 내용 요소를 주로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안전·위생 조리’, ‘성 의사결정’, ‘노인 폭력’ 의 세부 내용 요소는 부족하기에 교육현장에서는 이를 고려해 교수·학습 활동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y tasks from the unit, Safety i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textbook for middle school (in the home life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published in 2018) revised in 2015.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totally 24 textbooks - 12 textbook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12 textbook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The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adolescent life safety , housing safety , food safety , safe sex and family violence safety from the textbooks of Home Economics revised in 201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xtbook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inclued 112 activity tasks related to Safety and the textbook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have 147 activity tasks of the content. In higher grade textbooks, more activity tasks on Safety contents were found. In details, the textbooks most often include stress & anger control disorder , safety in house , food choice , sexual violence , and child abuse . However, the contents of safe and hygienic cooking , sexual decision making and eldery abuse are not enough in the textbooks. Hence, these contents needs to take into ac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