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관절 전치환술 전후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 비교 -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을 대상으로

        김비아 ( Kim Bi A ),김준영 ( Kim Jun Young ),김신윤 ( Kim Shin Yoon ),이고은 ( Lee Go Eun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7 여성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고관절 전치환술 전후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을 성별에 따라 비교하기 위하여 인지능력 측정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고 치매선별검사도구로 이용되고 있는 MMSE-DS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본 연구는 총 3회(수술 전, 수술 일주일 후, 수술 3개월 후)의 MMSE-DS를 반복 측정하여 인지기능의 변화 추이를 살펴본 전향적 추적연구이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술 전과 수술 일주일 후, 그리고 수술 3개월 후에 측정한 모든 MMSE-DS 측정치에서 여성노인 집단이 남성노인 집단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점수를 보였다. 남성노인 집단과 여성노인 집단 간의 수술 일주일 후 MMSE-DS 측정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노인 집단의 경우는 수술 전의 측정 점수에 비하여 수술 일주일 후의 점수가 낮았고, 수술 일주일 후의 점수에 비하여 수술 3개월 후의 점수가 낮아지는 패턴을 보였다. 수술 전의 MMSE-DS 점수에 비하여 수술 3개월 뒤의 MMSE-DS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노인은 수술 후에 꾸준히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성노인 집단의 경우는 수술 전의 측정 점수에 비해 수술 일주일 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그러나 수술 3개월 후에 측정한 MMSE-DS 점수는 수술 일주일 뒤에 측정한 점수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술 전에 측정했던 MMSE-DS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수준으로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수술 경험에 따른 인지기능의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성별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노인의 인지기능에 대한 이해와 인지저하를 예방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임상적 개입 방안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MMSE-DS, which is widely used to measure cognitive ability, to compare cognitive functions of elderly patients before and after hip arthroplasty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44 patients and underwent hip surgery. MMSE-DS was repeated three times (before surgery, one week after surgery, and three months after surgery), and the changes were examin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 all MMSE-DS measurements, the female elderly group showed lower scores than the male elderly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MSE-DS scores between the male elderly group and the female elderly group after one week of operation. In the male elderly group, the score after surgery one week was lower than the score before surgery, and the score after 3 months was lower than the score after surgery one week after surgery. The MMSE-DS score at 3 months after surger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MSE-DS score before surgery. The male elderly were able to confirm the result that the cognitive function was decreased steadily after the operation. In the female elderly group, the score of the postoperative one week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operative score. However, the MMSE-DS score at 3 months postoperativel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t 1 week postoperatively, and the MMSE-DS score before surgery remained at a level tha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pp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ime for intervention should be different for male elderly and female elderly. Elderly women need active intervention to maintain cognitive function immediately after surger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male elderly group, a long - term and steady cognitive restoration program should interven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cognitive function.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surgical experience of female elderly and male elderly and to analyze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to understan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clinical intervention to prevent and improve cognitive declin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년기와 중년기 성인의 도덕 판단: 인지적 추론과 정서적 직관

        이수남 ( Su Nam Lee ),신현정 ( Hyun Jung Shin ),김비아 ( Bi A Ki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지역과 세계 Vol.38 No.2

        본 논문은 Kohlberg(1966, 1968)가 도덕 발달에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주장한 인지적 추론 능력의 발달에 더해 Haidt(2001)가 강조한 정서적 직관의 영향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청년기와 중년기 성인의 도덕 판단을 비교해 보았다. Green 외(2001)가 주장한 도덕 판단의 이중처리 모형에 따르면 정서적 직관과 인지적 추론은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매우 다른 기능을 하는데, 특히 ‘개인적’ 요인과 관련된 상황에서 그렇다. 본 연구는 인간의 인지 능력이 초기 20년 동안 주로 발달하는 반면, 정서적 직관이 사회적 경험의 축적에 따라 보다 서서히 발달한다는 것에 근거해 이루어졌다. 24개의 도덕적 딜레마 상황이 두 연령 집단(청년 성인 M=22.17, 중년 성인 M=44.58)에 제시되었고, 참가자의 결정이 적합한지 아닌지를 물었다. 중년 집단은 청년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덜 적합하다고 반응했고, 특히 딜레마가 개인적 요인과 관련되어 있을 때 더욱 그러했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 집단의 정서적 직관이 도덕적 성숙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According to Green et al.(2001, 2004)`s Dual Process Model on moral judgment, emotional intuition and cognitive reasoning play quite different roles in moral dilemma situations, especially in situations involving ‘personal’-‘impersonal’ factor. This study was based on the ideas that emotional intuition develops through life span as a function of accumulation of social experiences and that cognitive ability reaches its asymptote at early twenties. Twenty four moral dilemma situations were presented to the two age groups(young adult group; M= 22.17 and middle-age group; M = 44.58), who decided whether the protagonists` decisions were appropriate or not. The middle-ag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appropriate’ responses to the decisions of the protagonists in the dilemmas especially when the dilemmas involved the personal factor than those of young adult group. This result was interpreted as showing that emotional intuition of middle-age group reflects moral maturity.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e final section.

      • KCI등재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정여진(Jeong Yeo Jin),유나영(Yu Na Yung),김비아(Kim Bi A),신현정(Shin Hyun Jung),정영숙(Chong Young Sook)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4

        본 연구는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2014년 2월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93편의 연구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공적 노화 관련 변인들을 하위군별 그리고 각 하위군 내 상세 변인별로 평균효과 크기를 산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하위군 별 평균 효과크기에서 심리적 변인군의 평균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변인군과 신체건강 및 인지기능 변인군, 기타 변인군은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군은 가장 약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각 하위군 내 변인들의 평균효과크기는 인구통계학적 변인군에서는 경제적 상태, 종교, 학력, 결혼상태, 연령, 세대의 순으로 모두 약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셋째, 신체건강 및 인지기능 변인군에서는 인지기능, 생활양식, 건강상태, 신체기능, 인지적 책략, 그리고 질환수의 순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변인군에서는 초월, 목표의식, 자기효능감/자아존중감, 지혜,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 대처, 우울/고독감의 순으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노화불안, 노화에 대한 태도, 탄력성, 죽음준비, 스트레스와 감사성향은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섯째, 사회적 변인군에서는 가족기능과 가족 지지가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자녀관계, 지역생활환경, 사회적 지지, 친교활동, 배우자 관계, 형제자매 관계, 여가활동, 자원봉사활동, 가족 관련 활동, 유급활동이 중간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사회적 지원 제공은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기타 변인군인 은퇴준비와 차별은 중간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93 papers published before February 2014 in Korea to systematically integrat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in Korean elders. Standardized average effect sizes were computed for each factor and their group variables. Results presented the largest average effect size for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medium average effect size for the social variables, physic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factors, and the residual variables.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the smallest average effect sizes. Average effect sizes were then computed for each individual factor. Among demographic variables that showed the smallest average effect size, economic statu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religion, education, marital status, age, and generation. Among physic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variables, cognitive function, lifestyle, physical status, physical function, cognitive strategy, and number of diseases showed medium amount of effect sizes. Among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showed the largest average effect sizes, transcendence, purpose of life, self-efficacy/self-esteem, wisdom, psychological well-being, coping strategy, and depression/ loneliness showed large amount of average effect sizes; aging anxiety, attitude toward aging, resilience, death preparation, stress, and grateful disposition showed medium amount of average effect sizes. Among social variables,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displayed large average effect sizes; relation with children, local living environment, social support, activities related to friendship, family, leasure, volunteering, and payroll, along with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brothers/sisters showed medium amount of average effect sizes. Among the residual variables, preparing retirement and discrimination showed medium average effect siz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조절변수 및 하위차원에 관한 메타분석

        정여진(Jeong, Yeo Jin),정영숙(Chong, Young Sook),유나영(Yu, Na Yung),김비아(Kim, Bi-A),신현정(Shin, Hyun Jung)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3

        본 연구는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변인들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공적 노화에 관한 93편의 연구를 바탕으로 성공적 노화 관련변인군 및 각 변인군 내 상세변인의 평균효과 크기를 메타분석으로 검증한 정여진, 유나영, 김비아, 신현정, 정영숙(2014)의 후속연구이다. 본 연구는 성별, 세대, 조사지역을 중심으로 조절변수 분석 및 성공적 노화 하위차원에 따른 관련변인군의 효과크기 차를 검증하였다. 조절변수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심리적 변인군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군에서 나타났고, 세대에 따른 차이는 신체건강․인지기능 변인군을 제외한 모든 변인군에서 나타났다. 조사지역에 따른 차이는 인구통계학적 변인군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 하위차원에 따른 관련변인군의 효과크기 차를 검증한 결과, 하위차원 모두에서 관련변인군의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 하위차원 중 정서적 차원과 심리적 차원에서는 심리적 변인군, 신체건강․인지기능 변인군, 사회적 변인군, 인구통계학적 변인군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성공적 노화 하위차원 중 사회적 차원에서는 심리적 변인군, 신체건강․인지기능 변인군, 인구통계학적 변인군, 사회적 변인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공적 노화의 하위차원 중 신체 및 인지기능적 차원에서는 신체건강․인지기능 변인군, 심리적 변인군, 인구통계학적 변인군, 사회적 변인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is a follow-up study of Jeong et al(2014) based on 93 papers published before February 2014 in Korea, to analyze related variable of successful aging in Korean elders. Moderators focusing on gender, generation and investigation area were analyzed and then standardized average effect sizes were computed for variable groups according to sub dimensions of successful aging. In the result of moderators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except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re were differences except physic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variables group according to the generation. There was a difference only in demographic variables group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area. In verifying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s of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sub dimensions of successful aging, effect sizes of related variable of successful aging vary meaningfully on four sub dimensions all. On the emotional dimension and the psychological dimension among sub dimensions of successful aging,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physic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variables group, social variables group, demographic variables group came in order in effect sizes. On the social dimension among sub dimensions of successful aging,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physic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variables group, demographic variables group, social variables group came in order in effect sizes. Finally, on the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dimension among sub dimensions of successful aging, physic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variables group,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demographic variables group, social variables group came in order in effect sizes. Based on abov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인의 행복 개념 탐색연구

        유나영(Yu, Na-Yung),정여진(Jeong, Yeo-Jin),김비아(Kim, Bi-A),정영숙(Chong, Young-Sook),신현정(Shin, H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5 No.-

        한국인이 생각하는 행복은 무엇인가? 미국에서 제안한 행복 개념은 문화보편적으로 한국에서도 적용 가능한가? 행복에 관한 국내 연구는 미국학자들이 제안한 행복 개념의 틀을 사용하여 발전해 왔다. 그러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행복 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들과 비교문화 연구들은 미국학자들이 제안한 행복 개념을 한국인에게 문화보편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울 가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행복 개념이 미국인의 행복 개념과 다를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설문지 응답을 통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참가자들은 미국과 한국에서 만들어진 행복 측정 설문지에 자신의 행복에 대해 응답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법으로 설문지 응답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행복 개념은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으로 구성되는 반면, 한국의 행복 개념은 정서적, 심리적, 관계적, 사회적, 그리고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세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인의 행복 개념에는 나타나지 않은 가족관계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들(경제력, 종교, 외모, 건강, 여가)이 한국인의 행복 개념에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은 미국의 행복 개념에서보다 한국의 행복 개념에서 축소되어 나타났다. 종합논의에서는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 사회의 행복을 재조명하고 한국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What is the meaning of happiness in Korea? Is the concept of happiness proposed in the United States applicable to Korean culture as well? Studies on the happiness in Korea has advanced using the framework proposed in United States. However, qualitative studies and cross-cultural studies using Korean participants suggest that concept of happiness is not universal.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Korean and American embrace different concept of happiness, we conducted a survey study. Undergraduate participants in this study rated their happiness in surveys made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in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happiness in the United States is composed of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while the happiness in Korea consists of emotional, relational, psychological, social, and socioeconomic factors. Specifically, family relations and socioeconomic elements such as financial means, religion, appearance, health, and leisure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concept of happiness in Korea, though the same elements were not important factors in the concept of happiness proposed in United States. On the other hand, importanc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were reduced in the concept of happiness in Korea compared to that in United States. The ways to rethink and change concept of happiness in positive way were discussed in the general discussion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