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필암서원(筆巖書院)과 울산김씨(蔚山金氏)

        김봉곤 ( Kim Bong-gon ) 한국계보연구회 2014 한국계보연구 Vol.5 No.-

        필암서원은 호남 지역에서 문묘에 유일하게 종향된 河西 金麟厚(1510~1560)와 그의 문인인 鼓岩 梁子澂(1523~1594)을 모신 서원으로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으로 신청된 유서 깊은 건축물이다. 서원에 모셔진 김인후는 조선 인종과 명종 대의 인물로서 문장에 조예가 깊었을 뿐만 아니라 을사사화 이후 인종에 대한 절의를 다하였고, 주자학 연구를 깊이 하여 호남 사림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에 전라도 관찰사였던 윤두수(尹斗壽)의 발의로 정철(鄭澈) 등 서인계 호남 사림들이 협력하여 1590년 필암서원을 건립하였다. 왜란으로 불에 타기도 했으나 1624년 중건되었고, 이어 전라도 유생들의 상소로 1662년(현종 3)에 ‘필암서원’의 사액을 받았다. 그러나 이곳에 홍수가 나자 1672년 현 위치인 필암리에 서원을 옮겨 세웠다. 이때 송준길, 송시열, 송시도 등의 서인들이 적극 협력하였다. 필암서원은 이후 당대의 노론계 인물을 원장으로 모시고 지방관과 사림들의 유기적인 협조하에 호남의 대표적인 서원으로 부각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필암서원의 건립과 존치에는 김인후 후손들의 공로가 크다. 김인후의 후손은 김인후의 시호를 따라 문정공파(文正公派)라고 하는데, 손자인 김남중의 아들 대에 분파가 시작되어 지금은 모두 9개 파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김인후의 문집 간행, 필암서원의 사액, 김인후의 증직 및 시호, 문묘종향을 위해 중앙의 서인 내지 노론의 협력을 받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이들의 노력으로 송시열(宋時烈)이 김인후의 신도 비명을 지었는데, 송시열은 김인후를 도학과 절의, 문장을 완전하게 겸한 인물로 추앙하였다. 이러한 송시열의 평가는 이후 김인후의 평가지침이 되어, 이재와 김원행 같은 노론계 학자들도 김인후를 문묘에 배향해야 한다고 하였다. 정조(正祖) 역시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김인후를 해동의 주자(周子)이며 호남의 공자(孔子)로 칭송하고, 문정(文正)이라는 시호를 내렸으며, 김인후의 문묘종향을 통해 숭정학 벽이단(崇正學闢異端)의 정신을 고양하였다. 필암서원은 오늘날에도 울산김씨 문중 조직, 지역 유림들의 강학 모임인 산앙회, 그리고 행정기관인 장성군청과의 유기적인 협력 체제 아래 김인후의 도학과 절의정신을 끊임없이 계승해가고 있다. Pilam Seowon is a memorial hall where Haseo Kim, rinhoo(河西 金麟厚(1510~1560)), who was solely enshrined in the Confucian shrine in Honam region and his literary person Goam Yang, jajin(鼓岩 梁子澂(1523~1594)) were shrined, which is a historic building, currently applied as tentative list of UNESCO World Heritage. Kim, inhoo, who was shrined in Seowon, who was a person between Injong and Myungjong of Joseon dynasty, had a profound knowledge of sentence, also, was loyal to Injong since Ulsa massacre of scholars, also, greatly influenced Honam Confucianism by deeply studying neo-Confucianism. Here, Pilam Seowon was established in 1590 by cooperating with Seoin(西人) affiliate Homan Confucianists, e.g. Jeong cheol(鄭澈), etc. at Yun, doosu’(尹斗壽)s suggestion, who was a governor of Jeolla-do. Though it was burnt down due to Japanese Invasion, it was reconstructed in 1624, after that, it received the academy title of ‘Pilam Seowon’ in 1662(Hyunjong reign 3 years) at the appeal of Jeolla-do Confucian scholars. However, when it got flooded, Seowon was relocated in Pilam-ri, current location, in 1672. Here, Seo-in, e.g. Song, junguil, Song, siyeol, Song, sido, etc., positively cooperated. Henceforth, Pilam Seowon was highlighted as the representative Seowon in Honam, under the organical cooperation of local governors and Sarim, by taking the person of Noron(老論) field of that time as the director. Kim, inhoo’s descendents greatl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is Pilam Seowon. Kim, inhoo’s descendents are called as Munjeonggongpa(文正公派), according to Kim, inhoo’s siho, division began in Kim, namjoong’s son, the grandchild, presently total 9 divisions are formed. They exerted efforts to get cooperation with central Seoin or Noron, for Kim, inhoo’s literary collection publication, academy title of Pilam Seowon, promotion and siho of Kim, inhoo, and Munmyojonghyang. Particularly, due to their efforts, Song, siyeol created Kim, inhoo’s Memorial stone title, here, Song, siyeol revered Kim, inhoo as a person who perfectly combined ethics, fidelity, and sentence. This way, Song, siyeol’s evaluation became the evaluation guideline of Kim, inhoo henceforth, Noron scholars as Yi, jae(李縡), Kim, wonhaeng(金元行), etc. also insisted that Kim, inhoo should be enshrined in the Confucian shrine. Jeongjo, also, complimented Kim, inhoo as Juja(周子) of Haedong and Confucius of Honam, based on this evaluation, assigned siho, Munjeong(文正), also, enhanced the spirit of Sungjeonghak Byukridan(崇正學 闢異端) through Kim, inhoo’s Munmyojonghyang. Still today, Pilam Seowon is constantly succeeding Kim, inhoo’s ethics and fidelity under the organical cooperative system with Ulsan Kim family organiztion, regional Confucian scholars, Sananghoe of regional Confucian scholars’ study pursuit meeting, and Jangseong County Office, administrative agency.

      • KCI등재

        노사학파(蘆沙學派)의 남명 조식(南冥 曹植)의 경의(敬義)사상 계승양상

        김봉곤 ( Bong Gon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2

        영남과 호남사이에는 18,9세기 경 진주-하동-구례-곡성을 잇는 섬진강 유역의 인구와 경제력의 성장으로 많은 사족들이 성장하였고, 서로간에 자주 왕래하였다. 이러한 교류 결과 영남지역에 기정진의 문인들이 다수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들은 당시까지 영남 일대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었던 16세기 중엽의 남명 조식의 사상을 재조명하고 선양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노사학파에서는 시비분별을 통하여 외적인 사특함을 막고, 경을 통해 시종여일 천리를 마음속에 보존하려고하였기 때문에 경을 통해 심을 활성화시키려는 조식의 경 사상에 깊이 경도되었던 것이다. 이에 노사학파인 정재규, 최숙민, 김현옥 등은 허유가 지은 신명사도명혹문(神明舍圖銘或問) 에 대해 신명사도명의 위치나 내용에 대해 검토하고 남명의 사상이 경의에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정재규는 ‘국군사사직(國君死社稷: 임금은 사직을 위해 죽어야 한다)’에 ‘한적불양립(漢賊不兩立: 한 나라의 역적과는 양립할 수 없다)’을 추가하자고하여 위정척사(衛正斥邪)에 대한 강한 신념을 토로하였고, 최숙민은 신명사도의 전체적인 면에서 심의 주리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김현옥은 조식의 경의 사상이 황제-여상-주자-남명으로 도통을 계승한 것이며, 신명사도가 선천도나 태극도와 동일한 비중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사론(士論)이 쇠미해지고 구차스러워진 것은 신명사도의 국군사사직의 뜻이 강론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조식이 ‘국군사사직(國君死社稷: 임금은 사직을 위해 죽어야 한다)’을 기록한 이유가 일신(一身)의 사직에 죽지 않은 자를 위하여 경계한 것이라고까지 하였다. 이러한 조식의 사상은 노사학파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최숙민은 남명의 학문자세를 본받아 뜻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심(心)을 심성정(心性情) 일리(一理)로 보는 견해를 발전시켰다. 이는 심군(心君)이 경을 통해 성정을 주재한다는 신명사도의 논리가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정재규는 심은 주재하고 상정(常定)하는 것으로서 하늘로 말하면 상제이며 사람에게는 심(心)이라고 하여 조식과 같이 심의 주재를 강조하였기 때문에, 영남지역 노사학파에서는 심을 주재적 측면에서 리(理)로 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조식의 경의사상과 출처의리를 높이 받들었던 노사학파에서는 허목의 덕산비보다는 송시열의 남명신도비가 남명의 기절(氣節)이나도학을 잘 드러내었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남명의 ‘한적불양립’과 ‘국군사사직’을 중시하였던 영남지역 노사학파에서는 조선조말 조선조말 개화파와 일본의 침략에 반발하여 전개된 위정척사운동과 의병운동에 적극 가담하였으며, 일제 치하에서도 도학과 나라의 혼을 지키자는 운동을 지리산 일대에서 강인하게 전개하였던 것이다. Lots of family tribes increased due to the growth of population and economic power of Somjin river basin which connected Jinju - Hadong - Gurye - Gokseong during the 18th, 19th century between Youngnam and Honam, and they often exchanged with each other. Here, literary persons of Gi, jeongjin from Honam Jangseong appeared a lot in Youngnam region, and the life and idea of Nammyung Jo Sik of mid 16th century was reilluminated, besides exchange between literary persons between Youngnam and Honam. Jo Sik``s study and fidelity was highly evaluated by Youngnam region Nosa school in late 19th century again. Since, originally in western Gyeongnam region, Nosa Gi, jeongjin``s literary persons was closely related with Josik``s discipline center or the descendents, and Nosa Gi, jeongjin highly evaluated academic attitude of Jo Sik based on Gyung Jeong, jaegyu, Choi, sukmin, and Kim, hyunok, etc. of Nosa school reviewed the location and content of Sinmyeongsadomyung based on Heo Yu``s 「Sinmyeongsadomyung hokmun(神明舍圖銘或問)」, and clearly determined that Jo Sik``s idea was based on Gyung Ui. Particularly, Kim, hyunok considered that Jo Sik``s Gyung Ui idea succeeded Dotong through Hwangje-Yeosang- Juja-Jo Sik, and Sinmyeongsado had the equal importance with Seoncheondo or Taegeukdo. Also, he insisted that the reason why Saron(士論) went weakened and shabby was because Gukgunsasajik of Sinmyeongsado was not preached, and the reason why Jo Sik wrote ‘Gukgunsasajik (國君死社稷, A king must die for Sajik)’ was to protect those were not dead in Ilsin Sajik. This way, Jo Sik``s idea greatly influenced Nosa school. Choi, sookmin insist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idea based on Jo Sik``s academic attitude, and developed that opinion that viewed the mind (心) regarding Simseongjeong(心性情) as Ilri(一理). This shows that Sinmyeongsado``s logic that Simgun(心君) presided Seongjeong through Gyung consistently flowed. Also, Jeong, jaegyu emphasized that Sim was to preside and Sangjeong(常定), which is Sangje in respect of heaven, Sim(心) for human, emphasizing presiding of Sim as Jo Sik, therefore, Youngnam region Nosa school resulted in the result of determining Sim as Li in presiding aspect. Also, Jirisan region Nosa school highly respected Song, siyeol by evaluating Song, siyeol``s Nammyungsindobi revealed Gijeol(氣節) or Dohak of Jo Sik, better than Heo Mok``s Deoksanbi. Also, Youngnam region Nosa school, which highly evaluated ``Gukgunsasajik`` of Jo Sik, actively participated in Wijeongcheoksa movement and righteous army movement developed her during late Joseon, also, a movement to protect Dohak and spirit of nation was developed in Jirisan region even under Japanese imperialism.

      • 삭녕최씨(朔寧崔氏) 통례공파(通禮公派)의 형성과 최상중(崔尙重)(1551~1604)가(家)의 기호학계(畿湖學界) 내의 역할

        김봉곤 ( Kim Bong-gon ) 한국계보연구회 2021 한국계보연구 Vol.11 No.-

        본고는 남원의 대표적인 사족인 삭녕최씨 통례공파의 형성과정과 통례공파 중에서도 崔尙重家가 기호학계 내에서 수행한 정치, 사회, 문화적 역할은 어떠하였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남원의 삭녕최씨는 세조 때 영의정을 지낸 崔恒의 손자 崔秀雄이 15세기 말 처가인 남원 둔덕에 내려온 이후 정착하였다. 이어 최수웅의 손자 최언수가 김종직의 제자 鄭汝諧(1450~ 1530)의 문인이 된 이후 호남의 많은 유력가문과 혼맥이 형성되고, 16세기 중엽 사림들의 중앙정계로의 활발한 진출과 함께 중앙 정계에도 다수 진출하였다. 특히 최언수의 아들 대에는 승지공, 남강공, 지평공, 목천공 등 4파로 분파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승지공파에서 현달한 인물이 많이 배출되었다. 승지공파는 최상중의 아들인 최연과 최온이 현달하여 성만공파와 폄재공파로 나뉘어졌고, 둔덕 외에도 남원 중방, 사동, 백암 일대에도 정착하였다. 최상중가는 선조 이후 서인으로 자정하였으며, 많은 인물이 왜란과 호란 때에 의병을 일으켰다. 특히 최상중은 임진왜란 때 도원수 권율의 종사관으로서 큰 활약을 하였으며, 아들 최연은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으로 들어갔고, 최온은 의병을 일으켰다. 또한 최상중가는 실학을 중시하여 실무에 능하였으며, 최유지의 경우 천문학이나 병학에 능통하였다. 뿐만 아니라 최상중가는 효종의 사부를 배출할 정도로 기호학계에서 명망이 높아서 이경석이나 윤증 등 소론가문과 혼맥이 형성되었다. 남원사회에서도 재지사족의 명단인 향안을 작성하고 향촌사회 질서 유지를 위한 향규를 제정하였으며, 노봉서원을 건립하고 구로회 등을 통해 양반문화를 확산시켜 나갔다. 18세기 이후로도 최상중가는 노론을 택한 목천공파와 함께 남원사회를 경쟁적으로 이끌어갔으며, 기호학계와 향촌사회에 끼친 영향이 적지 않았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how the Saknyeong Choi Clan Tongryegong Branch in Namwon formed and to analyze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role of Choi Sang Jung family in the Ki-ho school. Saknyeong Choi family of Namwon began to establish their settlement when Choi Su-Wung, who was the grandson of Choi Hang, a meritorious retainer during King Sejo`s reign,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nd took up residence in Dundeok of Namwon, his wife’s home. After Choi Su-Wun's grandson, Choi Eon-soo, became a writer of Kim Jong-jik's disciple, many influential families in Honam were formed, and in the mid-16th century, many people entered the central politics with active entry into the central politics. Especially, Choi family further divided into Seungjigong, Namganggong, Jipyeonggong and Mokcheongong branches during the time of Choi Eon-soo`s son. As scores of prominent names were from Seungjigong Branch among others, they became the center of Saknyeong Choi Clan in Namwon. Seungjigong Branch was redivided into Sungmangong and Pyeomjaegong Branches by descendants of Choi Yeon and Choi ohn. Besides Dundeok, they setteled in Sungwon in the middle of Namwon, Nobong·Sooding of Sadong, all over Hyogiri in Baekahm. Choi Sang Jung raised a loyal army in Namw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helped a lot grasping the war situation as a subordinate under Dowonsoo Kwon ool. His two sons, Choi Yeon and Choi Ohn raised a loyal army during the revolt by Lee Gwal, Choi Yeon was in waiting for King Injo during the Manchu invasion as a Seungji and Choi ohn raised a loyal army as a headman of Sunchang. And also Choi Sang Jung family valued Silhak above all things, they introduced plans of real help to national policy. Choi Yuji was expert in astronomy and military science as well as Neo-confucianism. He made a creative observation balloon, which cont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astronomy and also produced armors made from wood. Choi Sang Jung family played a significant role during Japanese invasion, Manchu invasion and King Hyojong. Choi Ohn was especially a big part of Ki-ho school as a tutor to Hyojong. They adopted Soron familes as platform after King Sukjong, advanced a lot into the center of government service and Nobong Seowon was named by king. Even after the 18th century, Choi Sang Jung family has led Namwon society competitively with Mokcheongong branches, who chose Noron, and it can be said that i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i-ho school and local society in many fields of politics, sosiety and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후기(朝鮮後期) 보성사인(寶城士人) 박형덕(朴馨德)의 생애(生涯)와 향촌교화책(鄕村敎化策)

        김봉곤 ( Bong Gon Ki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6

        본고는 수령권이 강화되고 재지사족들의 향촌지배력이 약화된 조선 후기 특히 정조 연간과 순조 초에 보성출신의 士人 박형덕이 어떻게 사족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향촌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는가를 살펴본 글이다. 박형덕은 선조 때의 보성의 유명한 학자였던 朴光前의 후손으로 태어났으나, 그가 살았던 시기는 사족들의 향촌지배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었던 때였다. 이에 그는 향교를 출입하고 수령과 교유하면서 향촌사회에서 사족의 위상을 높이려고 하였고, 同姓村落을 새롭게 마련하여 족적 결속과 문중세의 확산에 노력하였다. 그는 우선 농촌에서의 농업생산력 증대에 주력하였다. 그는 불규등한 토지 소유나 三政의 문란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각종 농법을 보급하거나 개선하여 농업 생산력의 증대를 꾀하였다. 당시 빈부격차가 극심한 현실에서 사족이나 농민들이 어느 정도 농지를 갖고 생산 활동에 종사하여 부가 축적되어야 부모를 봉양하거나 유교적 예속을 실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1796년에 寶城 鳴鳳洞으로 동족들의 거주지를 옮긴 이후에 새로운 정착지에서 유교적인 윤리를 통해 동족들의 결석을 도모하는 하편, 보성지역을 유교적으로 교화하고 유교적인 예속을 보급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수령에게 건의하여 鄕校-面訓長-書堂의 敎育體系를 보성지역에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小學』교육을 통해 올바른 심성의 도야를 꾀하였다. 또한 향약을 실시하여 부모나 부자, 친척, 붕우, 이웃 간에 孝悌나 和睦 등 유교적 도덕을 확립하고 관ㆍ민간에 기강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鄕飮酒禮 등의 유교적 예속을 널리 보급하고자 하였다. 그의 이러한 향촌 교화책은 정조 대 이후 정학을 숭상하고 이단을 배척하려고 하였던 국가의 정책에 사족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사족의 역할을 증대시키려고 하였던 것과도 관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실제 『소학』을 교육하거나 향음주례에도 직접 참여하였으며, 鄕約長이 되어 향약을 지도하기도 하였다. 또한 서원이나 사우에 배향된 인물에 대한 총절과 효행을 찬양하거나, 수령들에게 많은 충절 인물에 대한 표창이나 지원을 부탁하였다. 이러한 그의 명망이 크게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그가 옮겨간 마을이나 보성 지역에 유교적 예속과 기풍이 크게 장려되었다. 19세기에 이르면 보성 지역은 다른 어느 자역보다 효자나 열녀가 다수 배출되었으며, 한말에는 일제의 부당한 국권 침탈에 맞서서 의병운동이 크게 일어나게 되었는데, 박형덕과 같은 향촌 지식인의 교화활동과 관계가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describes the life of Park Hyeong-Deok, an aristocrat who was from Boseong, and his scheme through which he helped the local nobility raise its status and have an influence on the community in the late Chosun period when county magistrates(守令)`s power was becoming bigger, and on the other hand, the local aristocrats were losing their influence. Park was a descendant of Park Gwang-jeon, who was a renowned scholar in Boseong when the king was Seon-jo. When he lived, the local aristocrats were losing their control over the community. So, he tried to regain their authority by joining Hyangyo(鄕校 County School) and mixing with the county magistrates(守令), and he also made efforts to strengthen family ties and increase the clout of lineages by establishing new communities consisting of same family names. He first paid attention to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on. He was critical of the inequality of landownership and the breach of Sam-Jung(three administrative policies) and he attempted to disseminate and refine various agricultural techniques to increase production. At the time,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was very huge, and people needed land to make a living by farming so that they could support their family and implement Confucian obligations. He moved the residence of his relatives to Myeongbongdong in Boseong in 1796, and promote the domestic union in the new location. Furthermore, he tried to reclaim the Boseong area through Confucianism. He suggested to the local official an idea to build an educational system in Boseong, and gave efforts to help people to develop their mind by teaching them Sohak. Besides, he practices Hyang-yak to raise Confucian morality such as order and harmony, and tried to spread the Confucian manners. His scheme for the community reclamatio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aristocrats` efforts to strengthen their influence by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s policy to pursue the originality of Confucian and exclude heterodoxy. He taught Sohak(小學) and took part in Hyang-eum-ju-lae(鄕飮酒禮), and he was the head of Hyang-yak(鄕約). He also praised the loyalty and filial piety of the figures who were enshrined in Seowon(書院) or Sawoo(祠宇), and suggested to the officials providing support and commendation to them. Thanks to all of his efforts, he earned high reputation in the community, and the Confucian manners were promoted through the areas where he was staying. By the 19th century, there were lots of filial sons and daughters in Boseong, and there were the resistance of the loyal troops against Japanese invasion, which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efforts of the local literati like Park.

      • KCI등재

        연구논문 : 15, 16세기 지리산권(남원,함양) 사족의 혼인관계와 정치, 사회적 결속

        김봉곤 ( Bong Gon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49 No.-

        본고는 지리산권 사족층이 형성되어갔던 15·16세기를 중심으로 혼인관계를 통해 지리산권 사족의 경제적 기반형성이나 정치적, 사회적 결속의 측면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남원과 함양 지역은 토지가 비옥하고 물산이 풍부하여 15세기 후반 이후 많은 시족들이 이곳에 진출하였다. 그 중에서도 남원의 삭녕최씨, 순흥안씨, 남양방씨, 순창의 남원양씨, 함양의 하동정씨, 풍천노씨 등은 세조 대에 공신을 배출한 가문으로서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혼인관계를 통해서 깊이 연결되었다. 이들 가문은 16세기 이후 점차 사림가문으로 전환되어 갔다. 이 지역에도 성리학적 가피관이 중시되고, 증종 대 이후 지방에서도 사림세력들이 크게 확산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남원과 함양을 연결하는 교통로인 운봉을 통해서 서로 간에 왕래하고 혼인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이들 가문은 각 지역에 서게하였던 가문과의 혼인관계를 통해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후손들이 계속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유력한 가문과 혼인하였으며 서로간의 협력으로 새로운 근거지를 개척할 수 있었기 때문에 대대로 경제적 기반이 크게 줄지 않았다. 이들 가문은 16세기에 혼인을 통해 영·호남의 저명한 사림가문도 결속되었다. 특히 남원의 안처순의 딸과 혼인하였던 함양의 노진은 중앙이나 지방에서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크게 두각을 나타내었기 떄문에, 두 지역 사족들과 깊은 유대관계를 형성하였으며 그가 타계하자 두 지역 사족들은 노진을 모시는 서원을 각각 건립하기에 이르었다. 이후 당쟁이 격화되어 남원은 대체로 서인, 함양은 북인 또는 남인이 많았으나 혼인관계에 있었던 가문간에 교류가 계속되고 당색이 바뀌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이들 가문은 왜란이 일아나자 의병에 다수 가담하여 국가에 공을 세웠고 이후에도 사족간의 혼인을 통하여 혈통의 순수성이 유지되었으므로 대부분 향안에 입록할 수 있게 되어 17세기 지리산권(남원·함양) 사족의 혼인관계와 정치·사회적 결속(김봉곤)에도 남원과 함양 등의 지리산권의 향촌질서를 주도하였다.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at distinguished noble families of the Jirisan region and their establishment of economical, political and social solidarity through matrimonial relationships during the 15th and 16ht century when noble families of the Jirisan region began to take shape. Namwon and Hamyang with its fertile land and abundant produce proved to be than enough to lure in prominent families to the region during the late 15th century. Saknyeong Choi Sunheung Ahn, Namyang Bang clan along with Namwon Yang of Sunchang, Hadong Jeong, and Pungcheon Noh of Hamyang had been families that had produced meritorious retainer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Therefore, they were closely-knit not only in the political sphere but in the marriage sphere as well. After the 16th century, factions. Gradually transformed into Pro-Sarim factions. In that, Neo-Confucian values began to be regarded most highly even in the Jirisan region and the influence of the Sarim faction had been gaining momentum in the provinces in the wake of the king Jungjong`s reign. These families came in contact with each toher and even entered into matrimonial relationships mainly through Wunvong thoroughfare which connected Nawon and Hamyang. These families tried to gain a financial foothold by forming matrimonial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throughout the region. Even though the descendents continued to swsll, their financial status remained mostly stable due to the practice of exchanging marriage vows with economically secure families which even enabled them to settle new territories. These families bond with distinguished Noble Families in Hamyang and Yongnam through marriage. Notably, Noh Jin of Hamyang who married the daughter of Ahn Cheo-Soon of Namwon, concluked political, social, academical relations with Noble Families in Honam and Yongnam outside Namwon and Hamyang. After Noh Jin`s death, they emulously builded Seowons in Namwon and Hamyang. Also even though the intensification of the party strife, These families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 through marriag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families would organize resistance forces and through the matrimonial relationships they preserved pure bloodoines, thereby enabling the inscripition of Hyangan. Accordingly, During the 17th century took the initiative of the local social order in the Jirisan regions of Namwon and Hamyang.

      • KCI등재

        『寰瀛誌(환영지)』를 통해 본 存齋 魏伯珪의 역사지리인식

        김봉곤(Kim, Bong-Gon) 역사실학회 2016 역사와실학 Vol.61 No.-

        본고는 존재 위백규(1727(영조 3)∼1798(정조 22))가 1770년(영조 46) 만든 『환영지』 필사본과 1787년(정조 11) 위백규에 의해 수정된 것을 1882년(고종 19) 족손 魏榮馥(1832(순조 32)∼1884(고종 21))이 간행한 『환영지』 목판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백규의 역사지리적 인식이 어떠하였는가를 조명해 본 것이다. 위백규는 목판본 범례를 통해 행정단위별 기호와 유교적인 합리적 관념에 따라 지도를 작성하였고, 서양에서 전래된 지리 지식도 최대한 수용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필사본에서의 「利瑪竇九九州圖」나 목판본에서의 「서구제국도」는 위백규의 서양 항해술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함께 마테오 리치와 알레니가 소개한 세계 지리에 대한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위백규는 여전히 명나라를 황명(皇明)으로 높이고 명나라의 13성도(十三省圖)를 가장 먼저 배치하였으며, 명의 유학자와 충신, 열사를 높이는 등 중화주의적 세계관에 머물고 있었다. 위백규의 역사지리인식은 사료에 충실한 역사해석에 바탕을 두었다. 그는 단군, 기자, 위만조선을 모두 인정하고, 북부여와 동부여를 우리 역사에 설정하였다. 고조선의 수도가 평양에 있었다는 것이나 진번을 제외하고 나머지 낙랑, 현도, 임둔은 한반도에 있었다는 것은 丁若鏞의 학설과 유사하다. 그러나 기자와 위만 조선이 마한으로 계승되어간다거나 낙랑의 위치가 요동일 가능성을 제기한 것, 변한이 전라도에 있었다는 것, 李瀷의 주장처럼 삼한 정통론을 내세웠으나 삼국을 고려가 통일하였다는 역사관은 다른 실학자과는 다른 위백규의 견해로 주목할 만하다. 위백규는 지도 제작에 있어서 유교적 인문지식에 관한 관심과 함께 변경지역이나 海防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1712년 「백두산정계비」의 내용을 국경선으로 하였으나, 두만강 하구의 적도, 울릉도, 독도 등을 실제보다 훨씬 크게 그려서 우리 땅임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호남과 영남의 수군 주둔지역인 수영과 첨절제사, 만호의 위치를 상세히 표기하였으며, 모문룡의 명군이 주둔하였던 椵島 등을 명시하여 청에 대한 복수심 등을 반영하였다. 그는 대외적으로 북방에 요동, 북막, 영고탑도, 남방에 일본과 유구지도를 그렸다. 북방에는 요나 금, 원의 발상지, 그 곳으로 가는 길, 중국이나 우리나라 사이에 싸웠던 전적지나 방어시설 등을 기록하였다. 남방의 일본과 유구에 대해서는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남북의 위치를 바꾸어 그렸는데, 일본은 주로 국방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어 있고 정치는 天皇이 아닌 關伯이 대신하며, 토지는 척박하다고 부정적이었다. 유구는 국왕이 검소하고, 정전법을 시행하여 신민들이 모두 토지를 갖고 있으며, 조세는 가혹하지 않다고 긍정적이었다. 교린관계를 중시하는 위백규의 유교적 인식이 크게 작용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호남지역 사족의 정치,사회적 동향 -17세기 광주 순천박씨 가문의 성장과 노론으로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봉곤 ( Bong Gon Kim ) 한국고문서학회 2011 古文書硏究 Vol.38 No.-

        In Honam society of the Late Joseon period, from the 16th through 17th centuries, disputes like Ki-Chuk-Oak-Sa(己丑獄事), Lee Yi and Seong Hon`s Mun-Myo-Jong-Sa(文廟從祀), and Yesong(禮訟) in line with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climate of the central government raged on unceasingly, Nohron(老論) eventually became the leading political faction in the Honam region. The Suncheon Park clan of Gwangju was instrumental in encouraging this shift of events. The Suncheon Park clan rose to prominence at the turn of the 17th century as their familial organization strengthened. In the 1660s, as the Park clan started to turn out more and more successful candidates who passed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s, they committed themselves to establishing ordinances for the ancestor worship ceremonies in respect of the founding fathers in Gwangju and later they set the standard for the entire Honam region. They received endorsements from respected scholars like Song Shi Yeol(宋時烈) allowing them to issue their genealogical record which elevated the status of the clan. During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in an effort to consolidate ties between different factions, they were to construct Jincheonsa(眞泉祠) shrine in honor of the prominent figures of the factions. On the matter of inheritance the Park clan took care not to discriminate against illegitimate sons, distributing enough for them to make a modest living off the land and be part of the community. The rise of the Suncheon Park clan of Gwangju was propelled by their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in the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in the later part of the 17th century. They were to establish close ties with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holding supervisory positions in Gwangju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event of Ye-Song disputes(禮訟論爭)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17th century, the clan adhered to Song Shi Yeol`s Ye-ron(禮論) argument which led to significant increase in number of candidates who succeeded in passing the Saengwonkwa(生員科, Classics Licentiate Examinatin) and the Chinsakwa(進士科, Literary Licentiate Examinatin). In the central government Park Chi Do(朴致道) who passed the Munka(文科, Erudite Examinatin) with the support from the Seoin(西人) and Nohron faction, was appointed to the post of Cheonghyeonjik(淸顯織), and later filled the Seungji(承旨) post, thus enabling the clan to become one of the pre-eminent Nohron factions in the Honam region. Moreover, the Suncheon Park clan of Gwangju formed an alliance with the neighboring clan of the Seoin affiliation, steadily expanding their influence over the rural districts while securing Seoin faction`s legitimacy. Park Gwang Hu(朴光後), in accordance to the wishes of Song Shi Yeol, installed a shrine honoring Kim Jang Saeng(金長生) and Kim Jip(金集) in the Wolbong Lecture Hall(月峯書院). When Song Shi Yeol was sentenced to banishment following his defeat over the Ye-Song dispute, Park rallied kindred spirits in Gwangju and Naju region spearheading a campaign to clear his name and stood behind Seoin`s view of Jeong Gae Cheon(鄭介淸). Park even paid a personal visit to Song Shi Yeol`s place of exile in Jangki of Gyeongsang province under the auspices of the minister of Gwangju who had Seoin leanings. Following in the wake of Park Gwang Hu, the likes of Park Gwang Il(朴光一) carried on Song Shi Yeol`s Neo-Confucianism, campaigning vigorously for Song`s release on behalf of the Nohron faction in the Honam region. In the late 17th century, in the midst of fierce strife among political parties, the Suncheon Park clan of Gwangju chose Nohron and Seoin as their particular color in the political spectrum establishing themselves as the most prestigious Nohron faction in the region. Through their alliances with principal figures of Nohron in the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they sought to extend their influences and secure their legitimacy. Furthermore, indebted to the tireless efforts of these Nohron influenced clans, it became possible for Honam region to evolve into the heart of the mainstream Nohron factio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