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과 개선에 관한 연구

        김명엽 ( Myung-yeop Kim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一鑑法學 Vol.0 No.34

        민사법상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민법 제750조). 이와 같은 불법행위 책임은 손해의 전보에 그 목적을 두고있으며 손해배상의 범위는 통상의 손해를 그 한도로 한다(민법 제393조). 그러나 징벌적 손해배상이란 가해자가 악의적으로 불법행위를 함으로써 피해자에게 손해를 입혔을 경우, 피해자가 입은 실손해 이외에 징벌적 의미를 추가하여 배상해주는 제도를 말한다. 이러한 영미법의 Common Law상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1990년 이후 활발해진 이후, 우리나라는 한미 FTA에 따라 저작권법에서 처음으로 실손해에 갈음하여 상한을 정한 일정한 손해배상규정을 저작권법과 상표법에 두고 법정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였다. 2011년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35조의 규정을 통하여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로부터 취득한 기술자료를 자기 또는 제3자를 위하여 유용함으로써 손해를 입은 자가 있는 경우에는 수급사업자에게 발생한 손해의 3배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배상책임을 부담하는 제한적인 의미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도입되었다. 그 후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개인정보 보호법제를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기간제 및 단기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도 규정된 상태이다. 이처럼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된 역사가 짧지만, 현재 시점에서 그동안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평가하고, 문제점을 분석한 후 새로운 입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우리 사회에서 유용하게 작용됨으로써, 시민의 생명·신체의 안전과, 기업사이의 공정한 거래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전보배상 규정이 있는 ‘제조물책임법’ 등으로 확대되고, 합리적인 징벌적 손해배상액의 산정기준이 마련되고, 과잉구제를 방지하기 위해 배상액 중 일정액을 국가에 귀속시키는 개선방안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ivil law system, the Korean law system separates civil punishment and criminal punishment: redress or punishment. Punitive damages or exemplary damages are damages intended to reform or deter the defendant and others from engaging in conduct similar to that which formed the basis of the lawsuit. Although the purpose of punitive damages is not to compensate the plaintiff, the plaintiff will receive all or some portion of the punitive damage award. Punitive damages are often awarded where compensatory damages are deemed an inadequate remedy. It is settled principle of common law in the United States. Statutory damages provision is present in copyright law according to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Korea and the U.S.A. The inclusion of treble damages in Korea is introduced. but it will be required from this time on to ensure treble damages to operate properly by recognizing that punitive damages may entail excessive restriction on and prevention for the illegal act, which could lead to discouraging socially helpful activities such as entrepreneurial actions, and thus efforts should be taken to minimize such side effects. The core value of proportionality, the ratio of punitive to actual harm as determined by the judge is the most effective measure of the court’s judgement. and the courts may consider extracompensatory damages, such as attorney fee awards in the constitutionally required evaluation of comparison between the defendant’s punishment and plaintiff’s actual harm. Punitive damages system should be enacted in field of consumer protection laws in which serious injury or loss of life was caused by extreme negligence.

      • KCI등재

        무주택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비지원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김명엽 ( Myung Yeop Kim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一鑑法學 Vol.0 No.24

        This study will measure and identify the tasks performed by government to meet system requirements, to assist the houseless in finding and renting suitable housing in a timely way, and to ensure that a broad range of affordable rental housing throughout the improvement the law of national basic living support act and housing act. Subsequently, this thesis pointed out the problem of housing welfare policies and its law. The Housing Choice Voucher program is the federal government`s largest low-income housing assistance program in the USA. Funding for the HCV program is provided entirely by the federal government. The funding that PHAs receive includes the housing subsidy itself, plus administrative fees to cover the costs of running the program. Housing subsides systems for low-income brackets have to be introduced and implemented for the ultimate purpose of helping low-income households. I provides several policies implications for Korean housing rental subsidy system which will be expand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동물복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에 관한 연구

        김명엽 ( Kim Myung-yeop ),박규용 ( Park Kyu-yong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0 法과 政策 Vol.26 No.2

        동물복지는 동물이 정신적·육체적으로 충분히 건강하고, 행복하며, 환경과도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이는 기본적 도덕률의 자연스러운 확장으로 동물복지를 바라보는 것이다. 동물의 존재는 널리 인간 생활과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동물과의 공존을 위해 동물복지 관련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동물의 법적 지위를 조정해야 할 때이다. 이처럼 동물복지는 구체적으로 동물에게 청결한 주거환경의 제공, 관리, 영양제공, 질병예방 및 치료, 책임감 있는 보살핌, 인도적인 취급, 필요한 경우의 인도적인 안락사 등 동물의 복리의 측면을 고려한 인간적인 의무라고 할 수 있겠고, 동물의 복지에 관한 논의는 성서를 기원으로 해서 현대에는 싱어와 리건의 논의가 있다.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최초의 법은 1835년 영국의 동물학대금지법과 1911년의 동물보호법이었으며, 영국의 입법례를 따라 1966년 미국의 동물복지법 등이 제정되었다. 우리나라도 동물보호법이 제정되었으나, 우리 민법은 동물을 물건으로 취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물의 복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으로서 몇 가지 점을 제시하고 있는데, 첫째, 물건을 정의하고 있는 민법 제98조를 개정하여야 한다. 즉 동물의 법적 지위를 사물이라는 시각에서 지각적 존재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사람과 사물 사이의 동물에 대한 법적 지위를 사람, 물건과는 다른 제3의 범주로 인식하는 것은 최소한 동물보호에 대한 공정성을 확립할 것이다. 둘째, 동물신탁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현행 신탁법상의 제59조를 활용하면 합리적인 비용으로 유증보다 훨씬 유연하고 다양하게 재산을 운용할 수 있으므로, 위탁자 소유의 반려동물의 생존보호를 위하여 수탁자에게 재산관리까지 맡길 수 있는 유용한 제도라고 평가된다. 셋째, 맹견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현실에서 맹견소유자 중 보험미가입자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Animal welfare refers to the state of the animal; the treatment that an animal receives is covered by other terms such as animal care, animal husbandry, and humane treatment. Protecting an animal’s welfare means providing for its physical and mental needs. One of the first national laws to protect animals was the UK Cruelty to Animals. As a matter of law, the Korean Civil Act treats animals like ordinary objects or movables Articles 98. The Animal Protection Act is a Korean legislation to protect life, ensure safety, and promote welfare of animals by providing for matter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and for the protection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animals. The following legislation should be improved for animal welfare. First, The legal status of animals is in a grey zone, between things and persons. We will revised Article 98 in civil law. It is the evolution of the legal status of animals from things to sentient beings. At least, the recognition of a third category for animals, between things and persons, establishing a fairer protection of animal interests. Second, We should introduce Animal Trust. It is a social enterprised that is focused on improving access to veterinary care through the delivery of affordable, high quality and full service veterinary clinics by trust law. The amendment address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by changing the basic framework of animal abuse by preventing general cruelty to animals. Third, We should be enacted The Dangerous Dogs Act because of following a series of vicious attacks on children like pit bull terriers. It will be illegal to possess such dogs without a certificate of exemption, which is given only after the dog is neutered, insured, and has a transponder implanted beneath its skin. They must also be muzzled in public places.

      • KCI등재

        전월세상한제의 법적 문제점에 관한 연구

        김명엽(Kim, Myung Yeop) 韓國不動産學會 2012 不動産學報 Vol.48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emn the Legal Problems of Drafts for Maximum Fair Rent and to suggest policy reactions to secure stable status for tenants.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when actually conducted, was preceded by an understanding of the role played by empirical data on law reform. To equip my study with advanced research skills I used legal data and the internet. Many of journal articles were referred in this study. (3) RESEARCH FINDINGS The emphasis in this study will lie in finding and improving housing rental system.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made an effort to amend the protection law of housing lease. However, the devise lawful and systematic supplements about the standard of rent reinforcement along with renewal claim right of tenant to protect residency stability of tenant and property rights of lessor since the housing market is still unstable. The several revised drafts has unconstitutionality of personal property right. 2. RESULTS As a result, Registered rental information system will be introduced, proof of identity and authorization for Rent Registration needs to be given to the government authorities renewal when access to registered rental information is requested. Fair rent policies are municipal government policies that are designed to prevent landlords from charging rents that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rental rates for similar properties. Unlike rent control policies, they don't place a cap on how amount of the rental rate, instead they limit the rate the rent can be increased. What the government has to do is to alleviate unstable housing of the low income families and to support smoothing structural change of housing rental market.

      • KCI등재

        재난안전취약계층을 위한 입법적 개선에 관한 연구

        김명엽 ( Kim¸ Myung-yeop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一鑑法學 Vol.- No.49

        재난이란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언제나 우리의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고, 재난과 안전관리기본법상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가와 지자체는 재난 등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할 책무를 지고,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하며, 발생한 피해를 신속히 대응·복구하여야 한다. 특히 안전취약계층은 어린이, 노인, 장애인, 저소득층 등 신체적·사회적·경제적 요인으로 인하여 재난에 취약한 사람으로서 재난에 대응하거나 피해를 복구하는데 있어 신체적 조건과 이성적 판단이 부족하므로 재난안전취약계층은 다른 계층에 비해 훨씬 재난에 취약하다. 따라서 재난안전취약게층에 대한 체계정합적인 법령상의 정의와 함께 그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가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기본개념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취약계층의 특성을 기술하고 이들의 특성에 맞는 입법정책적 개선방안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선 헌법상에 안전권에 관한 규정을 명하여 국민의 안전권을 기본적인 권리로 보장하고, 헌법소송을 통해 권리를 구제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재난안전취약계층만을 위한 재난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끝으로 국가 또는 지자체가 재난문자를 발송하는 경우에 장애인의 특성에 맞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재난정보에 있어서 소외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외국인들의 재난안전을 위해 다양한 언어로 재난문자가 발송되어야 한다, 재난안전취약계층을 위한 입법적 개선은 결국은 이들에 대한 안전권 보장과 더불어 인권의 보장이다. Disasters are on the increase which threatens human beings of their rights to safe life. It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natural and social disaster by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Vulnerable groups may includ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pregnant women, children, elderly persons, certain members of ethnic minorities, people with language barriers, and the impoverished.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ay be underserved in a variety of ways during a disaster. They were adversely affected in terms of their physical safety and access to immediate aid, shelter, evacuation and relief. Economically and socially disadvantaged individuals are likely to suffer disproportionate harm from disasters because they lack resources and adequate support systems. In this paper, I suggest improvement of legal that establish nondiscrimination mandates and other obligations that State has towards vulnerable group in disaster.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specific regulations on the constitutional right to safety by the National Assembly. Disaster insurance is a form of property insurance that pays the policyholder in the event that a natural disaster causes damage to the property. The fund of disaster insurance depend on the object, while the insurance coverage will be determined through legislation for vulnerable group. Disaster messages(CBS; Cell Broadcasting Service) should be sent to foreigners in various languages. By checking the message, they can know about the current emergency situations and how to respond to them.

      • KCI등재

        고령자의 주거개선을 위한 법적 연구

        김명엽 ( Kim Myung-yeop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일감부동산법학 Vol.11 No.-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고령자가 독립적으로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는 고령자를 위한 주거개선을 위한 법과 제도가 정립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고령기에는 노화로 인해 주로 행동반경이 좁아들기 때문에 주택을 중심으로 생활이 이루어지는 점에서 주거의 중요성이 증가한다. 고령자에게 있어서 주거의 결여 또는 주거상태의 열악성은 노후의 안정과 인간적인 삶을 위한 기본적인 물질적 복지의 결여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의 결여를 의미하기도 한다. 우리 헌법 제35조 제3항에서도 쾌적한 주거생활이 국가의 의무임을 선언하고 있으며, 2015년 제정된 주거기본법 제2조에서도 구체적으로 주거권을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는 고령자인 노인의 특성에 적합한 주거정책을 복지향상차원에서 개발하여 노인으로 하여금 쾌적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의무를 부담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노인복지법과 주택법의 체계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주거기본법상 고령자만을 위한 유도주거기준이 명확화되어야 한다. 단순한 지참으로서만 활용된다면, 고령자의 주거복지는 그 의미가 퇴색할 수 밖에 없다. 현재는 고령자만을 위한 최소주거기준이나 유도주거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령자의 특성을 중시한 고령자만을 위한 주거기준의 법제화가 필요하다. 고령자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한 독거노인전용 주거복지시설에 대한 규정을 정립하여야 하고, 이들이 거주하는 주택개조사업의 확대가 이루어져, 법과 제도상으로 확립된 고령자를 위한 진정한 주거복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aging society progres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ousing standard that provides a healthy, safe, and convenient environment for the aded. Housing rights is main fundamental rights to existence, comfortable environmental rights and cultural fundamental rights. Especially adequate housing for the aged is essential to live comfortably. But government housing law and policy does not meet the housing demand of all the aged but provide a particular old people with the particular housing. The advanced countries have been diversifying the types of housing by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needs of the aged hierarchy. So legislators and Policy makers should learn from other countries` housing programs such as repair and modification of the elderly`s housing, provision of various types of elderly housing. We should enact such as the Japan`s Act to secure the stable residence for the aged` as comprehensive law of housing welfare that are scattered in various laws. Such as regulation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senior housing assistance plan, the minimum safety standards of housing for the aged.

      • KCI등재

        산지전용허가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김명엽(Kim, Myung-Yeop) 한국토지공법학회 2011 土地公法硏究 Vol.52 No.-

        인구의 증가, 급속한 산업발전 등으로 사회경제적 여건이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지이용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산지의 계획적 이용관리를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차원에서 접근이 미흡하여 산지수요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산지구분 자체가 과거 임업생산 증진 및 농지 확보 등의 목적에 의한 산지구분체계를 그대로 답습한 체계로서 그에 따른 행위제한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불합리함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산지의 구분에 따른 지정기준이 타법에 의한 토지이용규제지역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고, 행위제한 적용체계는 매우 복잡하고 누적적이어서 산지의 관리 및 이용에 있어 불합리함을 초래 한다. 행위제한은 산지전용허가제에 그 기본을 두고 있으나, 산지전용 기준이 사회 경제적 변화와 토지이용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산지전용허가기준에 의존하고 있는 현행 산지관리체계의 조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산지에 대한 최근의 개발수요와 보전필요성을 합리적으로 반영하여 산지구분제도와 산지전용허가 등 관련제도를 정비하는 것이다. 특히 산지전용허가기준으로서 입목축적, 경사도, 표고, 보전산지편입비율 등을 전국에 획일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지역 및 지형, 개발용도 등 입지의 특수성과 주변환경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 따라서 산지의 전용 및 개발관리체계의 검토가 필요하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산지경관, 생태, 재해, 수질보전 등을 위한 전용허가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산지, 평지에 적합한 허가기준 및 산지편입 차등적용기 준 마련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지역 및 지형, 개발용도 등 입지의 특수성과 주변환경에 적합한 허가기준을 검토하여 산지전용허가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As people live in comfortable in 21th century, the demand for houses and rest areas where a pleasant environment is provided is growing. Forest resources as environmental resources can be subdivided into the functions of land preservation and the form of land. Korea is a small country in size and 2/3 of Korean territory consists of mountain areas so in terms of land resources, how to utilize mountain areas is very important. Due to the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plan for the last 40 years, population and industry have entered to metropolitan areas. Under the present forest land use system, there is all the difference of land price between the forests for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In consequence it could be resulted that the reserved forests lower than semi-reserved forests in the price are increased into utilization for another purpose. There is necessary that the forest land use system must be made out a map of the forest land classification on the ground of the appreciation of various functions, considering the site environment and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 for the effective use of forest land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To prevent potential errors within the classification process, the areas that were classified as non-mountainous districts by the current forest types were removed. The solution in the matter of simplifying the procedure of using mountain areas and development system is that allowing only one regulation to have an effect on the mountain areas when that areas are regulated by many regulation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an exceptional case that any facility of public benefit profitable to forest should be allowed to be set up along the slope of 25 degree or up. Restriction to neighboring area development should be tenttive at the most of and private property should not be placed under undue restriction by local authority. The result of prior thesis indicated that the standards related to the connection development restriction and the height of the first berm were underrated in most of evaluation factors. The land use conversion also have a low propriety or applicability due to their vagueness. evaluation fators considered in this study seems to be effective to verify the problems of forest land use conversion.

      • KCI등재

        CCUS를 위한 인센티브 법제에 관한 연구

        김명엽(Kim Myung-Yeop) 한국토지공법학회 2021 土地公法硏究 Vol.96 No.-

        탄소포집, 이용 및 저장은 산업활동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CCUS 투자에는 상대적으로 고비용이 들어가다는 위험의 인식 때문에, CCUS 설비의 배치 초기 단계에서는 민간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정부의 자금지원이 필수적일 수 밖에 없다. 이미 이러한 상황을 인식한 미국 정부는 CCUS 프로젝트의 장애와 추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입법을 통해 세액공제 및 직접적인 정부 보조금을 포함한 다양한 정책 도구와 인센티브를 채택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산화탄소 격리를 위한 세액공제로서 내국세법 섹션 45Q는 탄소포집 및 격리를 위한 투자를 장려하기 위한 것이다. 45Q에 따른 세액공제는 2008년 처음 제정된 이후 여러 차례 확대되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2020년 12월 말에 그 세액공제 범위가 확대되었다. 45Q는 프로젝트의 시기 및 유형에 따라 포집 및 격리된 이산화탄소 톤당 12달러에서 50달러까지 세액공제를 제공한다. 그리고 탄소포집설비가 가동되기 시작하는 12년 동안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을 명확히 규정하여 투자자들에게 더 확실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미 의회는 45Q 이외에도 CCUS와 관련된 많은 법을 제정하였다. 예를 들면 2021년 탄소포집현대화법은 48A 세액공제의 효용성을 개선하고 탄소포집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하여 발전소 부문에서 이산화탄소배출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 법은 45Q 세액공제와 같은 기업의 자금조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탄소포집량 확대를 획기적으로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캐나다에서의 2021년 예산은 연간 최소 15메가톤의 CO2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CCUS 프로젝트에 투자된 자본에 대한 투자세액 공제를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미국의 45Q와 같은 법안은 2022년에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CCUS를 위한 효율적인 인센티브의 입법이 심도 있게 요구된다.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CCUS) is a technology that can capture and make effective use of the high concentrations of CO₂ emitted by industrial activities. But due to the relatively high cost of capital that applies to CCUS investments because of their perceived risk, In the early stages of deployment for CCUS equipment, capital support from government is likely to be necessary to mobilise private capital in the majority of cases. Already U.S federal government is employing a range of policy tools and incentives including tax credits and direct government grants to address roadblocks and challenges to promote CCUS projects through various legislation. Above all, The tax credit(Internal Revenue Code [IRC] Section 45Q) for carbon oxide sequestration is intended to incentivize investment in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The 45Q tax credit has been expanded a number of times since it was initially established in 2008, most recently at the end of December 2020. IT offers a tax credit that varies from just under $12 up to $50 for each metric ton of carbon captured and sequestered, depending on the timing and type of project. And it clarified how long credits would be available for 12years, beginning when the carbon capture equipment is in service providing more certainty for investors. In addition to the 45Q, the U.S. Congress has enacted various acts for CCUS For example, the Carbon Capture Modernization Act will improve the utility of the 48A tax credit and enable investment in carbon capture to reduce emissions from the power sector. The bill acts as a companion to other financing efforts, such as the 45Q tax credit, to dramatically spur more deployment of carbon capture,. In Cnada, Budget 2021 proposes to introduce an investment tax credit for capital invested in CCUS projects with the goal of reducing emissions by at least 15 megatonnes of CO₂ annually. This bill like the 45Q .will come into effect in 2022, Effective and efficient introduction of tax incentives for CCUS requires that they be carefully legislated in Korea.

      • KCI등재후보

        의료분쟁조정법상의 문제점과 개선에 관한 고찰

        김명엽(Kim, Myung-Yeop)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3 법률실무연구 Vol.1 No.2

        의료분쟁의 합리적 해결을 위해 의료분쟁조정법이 2012년 4월 8일 시행된지 이제 1년 5개월 정도의 시간이 흘렀다. 의료분쟁조정법은 제정에 20년 이상이 소요된 이유는 의료분쟁의 합리적 해결을 위한 대체적 분쟁해결제도의 도입에 많은 사회적 합의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의료분쟁조정법은 당사자간 자율적인 분쟁해결을 통하여 의료사고로 인한 피해자의 손해를 적정하게 해결하고, 보건의료인의 안정적인 진료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기본이념으로 하고 있다. 법에 의해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이 설립된 이후 의료분쟁의 자율적 해결을 위하여 조정절차를 운영하고 있으나 그 활성화를 위해서 개선해야할 점이 있다. 또한 보건의료인의 입장에서 보면 불가항력적인 의료사고 보상제도에 대한 재원의 분담비율, 손해배상대불제도 등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다. 대불제도는 의료사고로 인한 환자측의 피해 중 보건의료인측이 부담하여야 하는 금액이 법원의 판결이나 조정결정 등에 의해 확정되면, 그 지급의 보장을 위한 것으로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내실을 기하기 위한 것이지만, 의료인단체는 대불비용 부담액을 대통령령에 위임한 법 제47조 제2항 후단이 의료인측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위헌적 요소가 있다며, 현재 헌법재판소에서 심리 중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의료배상공제조합에서 대불제도를 담당하거나 보건의료인측의 손해배상책임을 담보하는 적절한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의한 보상은 분만사고에만 제한하여 보상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보상범위가 확대되어야 하고, 보상비용의 분담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 앞으로 조속히 의료분쟁조정법의 개정이 이루어져 의료분쟁을 신속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하여 의료분쟁조정제도가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로서 활성화가 되어야 할 것이다. Medical malpractice refers to professional negligence by a health care professional or provider in which treatment provided was substandard, and caused harm, injury or death to a patient. As the number of civil cases due to malpractice continues to increase, alternative dispure resolution has attracted as a means of quickly reaching appropriate solutions to patient’s demands without resorting to lawsuits. To solve the case of malpractice by medical care, Medical Disputes Mediation Act was enacred on April 7th 2011. It is very difficult to be compensated for damages through civil action or other existing resolution methods when medical disputes happens. The K-MEDI(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Agency) shall endeavor to ensure the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proceedings are conducted in a prompt and fair. According to this law, absolute liability applies to compensation for damages during delivery without negligence of practitioners. A subrogation payment system means that K-MEDI pays in advance after having a review of appraisal department for patients who did not compensation yet in place of health care provider when the patient claims a demand for payment. I insist that the programs needs be conducted by a proper solution to change the conductor of the programs to avoid the unproductive controversy. The rapid and fair medical dispute resolution is of benefit in both patients and medical institutes and decreases social co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