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어 교육을 위한 ‘간상거(看上去)’, ‘간기래(看起来)’, ‘간래(看来)’의 비교 연구

        金羅來 ( Kim Na Rae ) 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語文學誌 Vol.0 No.71

        ‘Kanshangqu’, ‘Kanqilai’ and ‘Kanlai’ are very important and widely used synonyms, but foreign learners often make mistakes in using them because they are not clearly aware of their differences.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ain their core meaning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anshangqu’, ‘Kanqilai’ and ‘Kanlai’ and to enumerate various adverbs and prepositional phrases that can be used with ‘Kanshangqu’, ‘Kanqilai’ and ‘Kanlai’. In addition, I have analyzed in detail the usage of ‘Kanshangqu’, ‘Kanqilai’ and ‘Kanlai’ and the error patterns of learners found in < HSK Corpus >. Finally, I suggested an educational plan that covers three categories: sequential learning, differentiating the meanings and usages among these synonyms, and emphasis on the preposition frame.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Policy in the Province of Ontario, Canada and the Republic of Korea

        김라나(Kim, Rana R.)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미래교육학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의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 및 제도의 특성을 비교·분석한 문헌연구이다. 양국의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바탕으로 교원양성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무엇을 성취하였는지 그리고 현재 직면한 문제점들의 분석을 통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양국 교원양성 교육과정은 교원전문성과 현장 적합성 향상을 위해 모두 사회적 변화에 유동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양국은 기본적으로 다른 사회문화적 맥락 그리고 교육에서 추구하는 이념이 다르기 때문에 교원양성 교육과정 변화 동력의 원천, 교원양성기관의 조직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 그리고 수업내용면에서 상이한 특성을 보였다. 캐나다와 한국의 교원양성과정을 비교·대조함으로써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내실 있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을 위해 각 나라의 고유한 맥락들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교원양성 교육과정과 실제 현장실습 학교의 교육연계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presents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policy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e Province of Ontario in Canada and the Republic of Korea. The study covers the following areas: the histories of both curriculums, the achievements, and the issues pertinent to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Canada and Korea.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se three dimensions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the major findings are: (1)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have been changing as a result of it adapting and meeting the needs of social change in order to demonstrate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site compatibility. (2) On the other hand, since both countries have essentially different socio-cultural contexts and educational ideologies, different characteristics arose. The following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th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contexts of each countr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current trends within contemporary society. Third, it is imperative to build a link betwee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of the site of teaching practicum. Further, there is a need to demonstrate developing skills and competencies.

      • KCI등재

        한국과 캐나다의 교원보수체계 비교 연구

        김라나(Kim Rana Ran),박순용(Pak SoonY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의 교원보수체계의 비교를 목적으로 제도적 차원뿐만 아니라 교사처우와 교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양국 현직 교사들의 직업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양국 교원보수체계의 지향점 및 이와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비교했다. 연구 결과 몇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보수체계의 운영철학에서 한국은 국가 경쟁력 차원의 효율성을, 캐나다는 개인 위주의 능력계발을 중시했다. 둘째, 양국의 교원 보수체계의 공통적인 목표는 평등지향적인 합리적 교원보수제도의 확립이다. 그러나 평등에 대한 입장에서 한국의 경우 일반 공무원과의 형평성이 강조된 반면에 캐나다의 경우에는 성평등이 주로 거론되었다. 셋째, 교직에 대한 태도에서는 보수체계를 중심으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한국의 경우 교직은 안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선망되는 직업이지만 진입장벽이 높고 보수체계가 상대적으로 경직되어 있었다. 반면에 캐나다의 경우 교직으로의 진입이 용이하고 보수체계가 유연하지만 이직 또는 겸직에 대한 고려가 빈번하고 사회적 지위가 유동적이라고 인식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recognition of teachers’ treatment and teaching profession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eachers’ remuneration systems in the Republic of Korea(hereafter, Korea) and Canada.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rientation of teachers’ remuneration systems in both countries and perception of teachers, the following differences were found. First, in terms of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the remuneration system, Korea emphasized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dimension, while Canada focused on the interrelationship with development of individual-oriented competency. Second, although the remuneration systems for teachers in both countries are quite different, they have aimed at establishing a reasonable remuneration system, which considers equality in common. But the position on equality was differ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 equity was considered by comparing the pay scale with those of other government employees, while equity in Canada mainly had to do with gender equality. Third, the teachers of both countries regarded the sense of duty and ethics as important qualities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y recognized the social safety net as an indicator of their social statu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the teaching profession. In Korea, it was deemed to be a stable and socially desirable profession, but the entry barriers were quite high and the remuneration system was relatively rigid. In Canada, on the other hand, it was easy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remuneration system was far less rigid. But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quit or take a second job, and their social status fluctuated.

      • KCI등재

        Study into the Role of the Faculty Trust and the Principal Leadership in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A Case of a Foreign School in the Republic of Korea

        Rana R. Kim(김라나)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2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 신뢰감’와 ‘교장 리더십’이 학교 교직문화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7년 4월부터 11월까지 한국 내 외국인 학교들 중 한 곳을 선정하여 그 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12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Omnibus T Scale(총괄 T척도)을 이용하여 교사들의 학교장, 동료, 학생 및 학부모에 대한 신뢰도를 설문을 하였다. 인터뷰 전사 자료들을 바탕으로 추후 두 차례에 걸쳐 추가적으로 외국인 학교 교사들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동시에 교장 선생님과 두 차례에 걸쳐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어떠한 리더십을 실천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교사들의 신뢰도는 보통 공립학교들의 평균이상 이었고, 동료들에 대한 신뢰도가 다른 그룹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높은 신뢰도의 중심에는 학교장의 리더십이 있었고, 학교장은 성과와 인간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통합적(integrative) 리더십을 추구하는 것으로 타나났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 타 국적의 교사들과 교장의 관점에서 어떻게 교육현장 내 여러 국적들의 구성원들이 신뢰도를 쌓아가고, 어떻게 학교 조직문화를 형성해 가는지 알 수 있었다. 한국의 학교구성원인 교사와 교장에게 학교교육 문화 환경을 이해하는 외국인들의 다양한 관점을 보여줌으로서 이들로 하여금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나아가 21세기에 부합한 한국의 교육문화를 개선하는데 나름의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ulty trust and the principal leadership influenc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Methods: I draw on a survey which utilizes the Omnibus T Scale, as well as qualitative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the principal of the foreign school which is located in the Republic of Korea. Results: The major findings revealed that the level of faculty trust in all sub-groups, i.e. the principal, colleagues and clients (students and parents) is above average. The level of faculty trust is higher within colleagues than the principal and the clients, since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more than any group. As an educational organization, the foreign school has a warm atmosphere, in which teachers were largely given challenging tasks with encouragement. Conclusion: The principal pursues an integrative culture, in which he expects strong performance and is consequently concerned with the welfare of the members of the school. Build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for the school is a long-term plan and needs to be able to work from an abstract level, as opposed to just focusing on revising or implementing policy on the macro-level.

      • KCI등재

        기숙형 국제중학교 학생 적응을 위한 교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이수희(Lee, Su Hee),오미화(Oh, Mi Hwa),김라나(Kim, Rana Ra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기숙형 국제중학교라는 ‘공간’에서 교사들이 학생 적응을 돕는 과정에서의 경험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내러티브 연구로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숙형 국제중학교는 ‘나’와 ‘너’가 모여 ‘우리’가 살고 있는 작은 사회였다. 둘째, 기숙형 국제중학교에서 교사들은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였다. 셋째, 학생들이 기숙형 국제중학교 생활에 적응하며 성장하는 동안 동시에 교사들 자신 또한 성장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의 학교적응과정에 있어서 기숙형 국제중학교는 실제로 공동체 의식, 이타적 품성, 그리고 국제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곳이고 무엇보다도 teaching뿐만 아니라 교사들의 다방면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곳임을 보여준다. 기숙형 국제중학교 교사들의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향후 국제중학교 운영방향 및 정책결정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what the field experiences of the teachers have meant in the educational context while helping students adjust to the place of the school. A narrative interview was conducted and transcription was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t an international school with a dormitory, it was another form of society. Second, teachers experienced identity conflict, filled the vacancy of the parents, relieving the anxiety of the students and parents. Third, while going through the stage of adjustment and improvement, students and teachers, themselves become mature together. It was also deducted that an international middle school with a dormitory was the site of acquiring a sense of belonging, altruistic mind, and global competency, where expertise in the subject, as well as professionalism in diverse areas, are required for th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