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지역에서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대한 연구

        권종필 육군군사연구소 2017 군사연구 Vol.- No.143

        High-tech weapons in present wars cause massive civilian casualties. Especially, in case of racism?ideology?religion related conflict, anti-humanism holocausts often occur. Therefore international community operates prohibited area(no-fly-zone) in war area to prevent anti-humanism acts. This article researches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of prohibited area in North Korea, comparing it with other prohibited areas' establishment purpose?effect?progressing tendency. Other prohibited area cases are Algeria independence war, Iraq war, Bosnia-Herchegobina war, Libya war, Syria war. This article studied how international community comes to an agreement upon setting and operating prohibited area, and then compared it with measures to set prohibited area in North Korea in case of crisis in the area. This article would extract methods that complies with international law and are agreeable with neighbor countries by comparing whether anti-humanism acts will occur, availability of South Korea alone to establish prohibited area in north korea based on constitutional law which stipulates Korean peninsular as South Korea's territory,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s an UN member. 현대 분쟁에서는 무기체계의 발달로 대량의 민간인 피해가 발생하고, 특히 인종?사상?종교 갈등인 경우에는 비인도적 만행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실상이다. 이에 국제사회는 무고한 희생을 방지하기 위해 비행금지구역을 분쟁지역에 운영해왔다. 본 연구는 비행금지구역의 평시 개념을 이해하고, 분쟁지역에서 실제 운영되었거나 논의된 비행금지구역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비행금지구역의 설정목적.효과.변화경향을 추출하고, 북한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대상 비행금지구역은 알제리 독립전쟁, 이라크전쟁, 보스니아내전, 리비아내전, 시리아내전에서 운영된 금지구역들이다. 비행금지구역 설정과 운영에 대해 국제사회가 어떻게 합의 하는지 경향을 분석하고, 북한지역에 위기사태가 발생할 경우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는 방안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비인도적 상황이 발생할지 여부, 헌법상 북한지역도 우리의 영토이므로 우리가 일방설정이 가능한지 여부, 유엔가입국으로서 남북한의 국제관계 등을 비교하여, 국제법을 준수하고 주변국 동의가 가능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방공식별구역 운영규칙에 관한 고찰

        권종필,이영혁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7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2 No.2

        Declaration of Air Defense and Identification Zones started with the United States in 1950, which was followed by declaration of KADIZ by the Republic of Korea in 1951. Initial ADIZ were solely linked with air defense missions, but their roles have changed as nations around the globe manifested a tendency to expand their influence over maritime resources and rights. In particular, China declared ADIZ over the East China Sea in October 2013 and forced all passing aircraft to submit flight plan to ATC or military authority, saying failure of submission will be followed by armed engagement. China announced it would declare another zone over the South China Sea despite the ongoing conflict in the area, clearly showing ADIZ's direct connection with territorial claim and EEZ and that it serves as a zone within which a nation can execute its rights. The expanded KADIZ, which was expanded in Dec 15, 2013 in response to Chinese actions, overlaps with the Chinese ADIZ over the East China Sea and the Japanese ADIZ. The overlapping zone is an airspace over waters where not only the Republic of Korea but also of China and Japan argue to be covering their continental shelf and EEZ. Military conventions were signed to prevent contingencies among the neighboring nations while conducting identifications in KADIZ, including the overlapping zone. If such military conventions and practice of air defense identification continue to be respected among states, it is under the process of turning into a regional customary law, although ADIZ is not yet recognized by international law or customary law. Moreover, identification within ADIZ is carried out by military authorities of states, and misguided customary procedures may cause serious negative consequences for national security since it may negatively impact neighboring countries in marking the maritime border, which calls for formulation of operation rules that account for other state activities and military talks among regional stake holders. Legal frameworks need to be in place to guarantee freedom of flights over international seas which UN Maritime Law protects, and laws regarding military aircraft operation need to be supplemented to not make it a requirement to submit flight plan if the aircraft does not invade sovereign airspace. Organizational instructions that require approval of Chairman of Joint Chiefs of Staff for entrance and exit of ADIZ for military aircraft need to be amended to change the authority to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or be promoted to a law to be applicable for commercial aircraft. Moreover, in regards to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DIZ, transfer of authority should be prohibited to account for its evolution into a regional customary law in South East Asia. In particular, since ADIZ is set over EEZ, military conventions that yield authority related to national security should never be condoned. Among Korea, China, Japan and Russia, there are military conventions that discuss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DIZ in place or under negotiation, meaning that ADIZ is becoming a regional customary law in North East Asia region. 1950년 미국을 시작으로 1951년에는 한국의 방공식별구역이 선포되었다. 초기의 방공식별구역은 순전히 방공임무와만 연계되었으나, 해양자원과 해양에 대한 관할권행사에 대해 세계 각국들이 그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변화되었다. 특히 중국이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을 2013년 10월에 선포하면서 방공식별구역 내를 비행하는 모든 항공기는 비행계획서를 중국의 항공관제 당국 또는 국방당국에 제출할 것을 강제하였고 제출하지 안으면 무력을 사용하겠다고 공표하였으며, 또한 해양 분쟁이 격화되고 있는 남중국해에도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할 것을 예고하면서 방공식별구역이 확연히 국가의 관할권행사 권역으로서 영토 및 배타적 경제수역 등과 연계됨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2013년 12월 15일 확장된 한국 방공식별구역은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일본의 외곽 방공식별구역과 중첩되어 있다. 중첩된 구역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도 자신들의 대륙붕과 배타적 경제수역이라고 주장하는 수역의 상공이다. 그리고 한국 방공식별구역에서 식별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주변국과의 우발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한․중․일은 양자 간에 군사력 사용에 강제력을 미치는 군사협정을 체결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군사협정과 방공식별이라는 국가 행위가 지속되고 반복되며 상대국의 묵인을 받는 다면 아직까지 방공식별구역이 국제성문법이나 국제관습법에 의하여 인정된 공역이 아니지만 지역관습법으로 형성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리고 방공식별구역 내에서 식별업무를 하는 것은 국가 기관인 군사당국의 행위이므로 잘못된 행위로 인한 관습법화는 다른 국가 기관의 행위인 주변국과의 해양경계 획정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 국익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해양경계획정 등과 같은 다른 분야 행위도 고려하여 운영 규칙을 지정하고, 주변국과 군사회담에 임하여야 한다. 방공식별구역에서 비행계획서의 제출은 유엔해양법이 정한 공해상 비행의 자유를 충분히 향유할 수 있도록 영공으로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출을 강제하지 않도록 군용항공기 운용 등에 관한 법률을 정비하여야 한다. 방공식별구역 진․출시에 합동참모의장의 승인을 받도록 한 군용항공기 운용 등에 관한 훈령도 군인이 아닌 민간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국방부장관의 승인을 받거나 법규명령으로 제정되어야 한다. 또한 방공식별구역의 운용과 관리에 있어서 동북아에서 지역관습법화를 고려하여 상대국에 관리권한을 양도하는 행위는 반드시 배제되어야 한다. 특히 배타적 경제수역의 상공에 방공식별구역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안보와 관련된 권한 등을 상대국에 양도하는 군사협정은 부작위에 의한 결과로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한․중․일․러 간에 방공식별구역 운영과 관리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군사협정을 체결하였거나 협상 중에 있어 동북아에서는 지역관습법이 형성되고 있다고 보여 진다.

      • KCI등재

        만발형 골화석증에 대한 증례보고

        권종필,양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3

        골화석증은 드문 유전성 질환으로서 신체 모든 골에 걸쳐 골밀도가 증가한다.1880년 NEWMAN이 처음 보고하였고,이후 Jacksh가 언급한 바 있으나 1904년 Albers-Schonberg에 의해 체계적으로 보고되었다.골화석증은 그동안 Marmorkmochen, Albers-Schonberg disease,marble bone disease,osteopetrosis fragilis generalosata등으로 불리었다. 골화석증의 원인은 현재로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골조직의 정상적인 흡수작용이 장애를 받아서 상대적으로 골밀도가 증가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고 있다. 골화석증은 대개 악성형인 선천형(Osteopetrosis congenita)과 양성형인 만발형(Osteopetrosis tarta)의 두가지 형태로 분류되어지며,최근에는 그 중간형태인 intermediate recessive form이 보고되었다.상염색체성 열성유전되는 선천형인 경우에는 좀 더 증상이 심하며.생후 몇 개월내에 진단된다.상염색체성 열성유전되는 만발형인 경우에는 그 증상이 훨씬 양호하여 자각증상이 거의 없을 수도 있어서 신체 다른 부위에 골절이 있을 때 여러 검사를 하다 보면 비로소 발견되기도 한다.골밀도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골수강이 기능이 저하되어 빈혈등의 혈액병이 생기며,신경주위의 골의 과다성장으로 신경학적 병변이 나타난다.또한 골의 강도가 계속 증가하여 골은 쉽게 골절된다.이러한 골절은 만발형 환자들의 첫번째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저자는 치아동요,치아의 조기탈락,맹출지연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아로서 골화석증으로 진단되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Osteopetrosis is an uncommon hereditary bone condition characterized by a generalized symmetric increase in skeletal density and abnomalities of bone and resorption remodeling.In 1904,the first case of generalized scalerosis of the skelon was reported by Albers-Schonberg. Osteopetrosis is generalized divided into two main type.The infantile(malignat, congenta)type is the most severe form of the disease;It is characterized by skeletal and hematologic abnomalities.The adult(benign,tarta)type which is usually disgnosed in the third or fourth decade of life is limited predominantly to skeletal anomalies and it carries a more favorable prognosis. The recently recognized intermidiate form with its mild and variable clinical recessive trait.There is no reported gender or racial predilection.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osteopetrosis which is an abscence of physiologic bone resorption results in accumulation of bone mass and mainfests skeletal disturbance. Dental finding of osteopetrosis includes delayed eruption,congenitally absent teeth,unerupted and malformed teeth,and enamel hypoplasia. Our report involves a patient with a chief complaint of tooth mobility and delayed eruption.After clinical and rediologic examination,this patient was referred to dept.of padiatrics under the suspicion of osteopetrosis and it was confirmed.

      • SCOPUSKCI등재

        제왕절개술에서의 Propofol-Fentanyl, Propofol-Ketamine 마취와 Propofol-아산화질소 마취의 적용

        오수원,구길회,라은길,권종필 대한마취과학회 1999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36 No.1

        Backgroun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rate of cesarean section, the efforts of seeking safer and more satisfactory obstetric anesthesia techniques have been continued. Propofol, 2,6 di-isopropyl phenol, is a relatively new intravenous anesthetic agent and has been used for induction and maintenance for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TIVA). Authors examined the anesthetic technique using following anesthetics combinations; N2O-propofol, fentanyl-propofol, ketamine-propofol and made comparison of these ones for intraoperative hemodynamic stability, maternal and fetal safety. Methods: Sixty patients (ASA physical status 1 or 2) scheduled for cesarean section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groups, group N (propofol-N2O, n=20), group F (propofol-fentanyl, n=20), group K (propofol-ketamine, n=20). We checked the changes of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s during operation, anesthetic induction time, neonatal status (Apgar score, umbilical vein blood gas analysis), presence of intraoperative awareness and recovery time.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aoperative hemodynamic changes, induction time and baby status. Total propofol dosages were greater in group N than group K (p<0.05) and maternal recovery time was prolonged in group K than group N or F (p<0.05). Conclusions: Anesthetic management using propofol-N2O or propofol-fentanyl or propofol-ketamine for cesarean section would provide satisfactory anesthesia without significant adverse effects to both mother and fetus. (Korean J Anesthesiol 1999; 36: 13∼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