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현대 한국 석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권오수(Kwon, Ohsoo)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1 동국사학 Vol.70 No.-

        근현대 한국 석유사 연구는 1973년 석유 파동 직후 한국의 에너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한국 석유사에 대한 접근은 에너지 위기 극복을 위한 석유 전문가들의 정책적 제언을 위한 부수적인 차원에서 개괄적이고 간략하게 서술되었다. 연구 경향 또한 1964년 울산정유공장 준공으로 부터 시작된 정유 산업의 발전 과정에 주로 집중되었다. 이후 한국 석유에 대한 역사적 접근은 1989년 해방 후 귀속기업체인 조선석유주식회사의 처리 과정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2010년 중반 이후 한국 석유의 제도사적 접근, 울산정유공장 건설 과정에 대한 다층적 접근,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석유 정책, 해방 후 미국의 대한 석유 정책 등 다각적으로 접근되고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석유사의 종합적 이해와 한국 근현대사의 전개 과정에서 석유가 가지는 의의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직 밝혀져야 할 내용들이 많이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한국 석유사 연구의 향후 연구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우선 한국 석유사의 전개 과정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미국의 대한 석유 정책에 관한 연구를 심화해야 한다. 특히 미국 대외 석유 정책에서 가장 근간을 이루는 코포럿 리버럴리즘이 한국에 적용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근현대 한국 석유사 전개 과정뿐만 아니라 미국의 대한 정책 연구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다음으로 한국 석유사는 미국 중심의 국제 석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추진되었다는 점에서, 미국의 대한 석유 정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중국, 일본, 홍콩,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 석유회사 관련 자료를 발굴함과 동시에 기업사 연구 또한 확대해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석유 산업의 독자적인 발전 과정 또한 심화하고, 석유로 인해 나타난 사회적, 문화적 변화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지평의 확대를 통해 한국 근현대사의 전개 과정에서 석유가 가지는 의미는 더욱 폭넓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 on Korean oil history began shortly after the 1973 oil crisis, with the provision of measures to overcome Korean energy problems. However, the approaches to Korean oil history was outlined and briefly as a supplement to the policy recommendations by oil experts. The research trends also focused mainl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oil refinery industr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Ulsan refinery in 1964. Since then, research on Korean oil history has been approached and expand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such as the disposing process of the Vested, the institutional history, the construction plan of the Ulsan refinery, the oil policies during Japanese occupation, and the U.S. oil policy in Korea after the Liberation.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subjects to be studied for a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of Korean oil history. This article will present prospects of research on Korean oil history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be deepened research on the U.S. oil policy toward Korea, which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Korean oil histor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process of applying the American corporate liberalism to Korean oil history. Secondly, since Korean oil history has developed around the international oil network, the spatial scope of research should be expanded. Lastly, it is necessary to be deepened the inde pendent development of Korean oil industry, and analyzed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caused by oil. This expansion of research will help to understand more broadly the meaning of oil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1945-1948년 미군의 대한 석유 정책과 “쓰리 시스터즈(Three Sisters)”

        권오수 ( Ohsoo Kwon ) 한국미국사학회 2018 미국사연구 Vol.47 No.-

        미국 정부와 석유 회사는 국제 석유 시장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매우 밀접한 관계를 형성해 왔다. 이러한 관계는 2차 대전 직후 미군이 점령하고 직접 통치한 한국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미군은 연합군최고사령관 총사령부의 통제 아래 한국을 미국 석유 회사가 생산한 석유 제품을 판매할 석유 시장으로 개편하였다. 미군이 이러한 정책을 취한 것은 동북아시아 정유 산업에 대한 전략적 이해와 함께, 미국 석유 회사가 운영하는 해외 정유 산업을 보호하고자 한 것이었다. 미군은 또한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한국에서 강제로 철수된 외국 석유 회사(“쓰리 시스터즈”)가 한국에 다시 진출하고, 한국 석유 시장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2차 대전 직후 미태평양사령부의 계획에 따라 외국 석유 회사는 석유고문단으로 한국에 다시 진출하였고, 미군정이 설립한 유일한 석유 통제 기관인 석유배급회사를 직접 운영하였다. 석유 회사는 미군정과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석유배급회사를 운영하였으나, 운영상 기본적인 인식의 차이는 분명했다. 석유 회사는 석유배급회사를 상업적 사업으로 인식하고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하였다. 반면, 미군정은 점령지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석유 제품을 공급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였고, 석유배급회사를 운영하는 데 있어 경제적 고려는 없었다. 미군정의 석유 정책으로 인해 석유배급회사는 석유 회사의 의도대로 운영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유 회사는 미군의 통제 아래 석유배급회사를 운영하였다. 석유 회사의 궁극적인 목적은 향후 한국에 직접 석유 제품을 공급하고 이윤을 창출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The U.S. government and oil companies have formed a close relationship in order to secure and maintain control over the world oil market. This relationship went on the same in Korea, which was occupied and controlled directly by the U.S. military immediately after World War Ⅱ. The U.S. military reorganized Korea into an oil market to sell petroleum products produced by U.S. oil companies under the control of GHQ, SCAP. The reason GHQ, SCAP took this policy was to protect the oversea refining industry operated by U.S. oil companies as well as its strategic understanding for the oil refining industry in Northeast Asia. The U.S. military also provided a base for foreign oil companies - “Three Sisters” forced to withdraw from Korea due to the Pacific War, to re-enter Korea and intervene directly in the Korean oil market. Three Sisters returned to Korea as the Petroleum Advisory Group under the plan of CINCAFPAC in the early days of occupation and they operated the Petroleum Distributing Agency established by USAMGIK. USAMGIK and oil companies operated PDA in close relationship. However,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basic awareness in operation. Oil companies wanted to operate PDA as a commercial business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On the other hand, USAMGIK prioritized the supply of minimum petroleum products to maintain occupied area, and they did not consider the economic considerations in operating PDA. Because of USAMGIK oil policy, PDA was not operated as intended by oil companies. Nonetheless, oil companies operated PDA under USAMGIK control. Because the ultimate goal of oil companies was to make profits by supplying direct petroleum products to Korea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