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문표기를 중심으로 본 서구학계의 고구려 · 발해 연구와 성과 소통

        구난희(Ku, Nanhee)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71 No.-

        이 연구는 서구학계에서 사용되는 고구려, 발해의 영문 표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미의회도서관의 서지 분류와 JSTOR(Journal Storage)이라는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관련 연구성과를 추출하고 표기 현황을 분석하였다. 전자를 통해서는 한국 성과의 서구학계 소개과정을, 후자로는 서구학계의 연구성과를 파악하였다. 양자 모두 관련 성과는 2000년대부터 급격하게 양적으로 성장하였는데 중국의 고고발굴 성과 공개 및 동북공정에 대한 관심에 따른 것으로 이해된다.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Goguryeo와 Balhae로 표기해야 하지만 서구학계에서는 Koguryo로 표기되는 사례가 90%에 상응할만큼 주류를 이루고 있다. Parhae의 경우는 이보다는 적지만 65% 내외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달리 일본이나 중국 발음의 표기 용어는 아직 소수에 한정된다. 서구학계에 고구려, 발해가 한국학의 대상으로 진입되어 이러한 표기가 선험적 지식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기용어는 용어 사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련 연구의 성과를 연계하고 학술 소통을 주도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초래하는 효과는 적지 않다. 그러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으로 2000년 이후 Goguryeo와 Balhae가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때때로 이들 용어는 Koguryo로 표기된 데이터베이스에 Goguryeo가 부기되면서 혼란을 부추기도 한다. 더욱이 JSTOR상에서 확인되는 최근 연구에서 발해 표기 용어는 Parhae가 가진 기존의 선점권이 무의미해질 정도로 다양한 용어가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Bohai 사용이 증가되는 가운데 Balhae의 사용이 가세한 탓이다. 발해사를 둘러싼 한중간의 온도 차를 감안해 볼 때 이런 현상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현실에서 해당 표기용어를 굳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맞추어야 하는지 다시금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궁극적으로 영문 표기의 독자는 영어를 사용하는 서구학계의 연구자들이다. 따라서 그들에게 한국 관련 학술 정보를 용이하게 수용하고 기존의 인식 체계 위에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용어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treats on romanization of Goguryeo and Balhae used in Western academia. Related research results on the bibliographic classification of U.S. Congressional Library and JSTOR were extracted and the status of notation terms was analyzed. Through the former, the introduction process of the Western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achievements was identified, and the latter was cover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Western academic community. The related achievements of both databases have grown rapidly in quantity since the 2000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y are due to interest in the result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and the conflicts of the Northeast Process in China. According to the current 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 it should be written as Goguryo and Balhae. But in Western academia, 90% of cases are marked as Koguryo and Parhae accounts for around 65%, although less than this. In contrast, the romanization terms in Japanese or Chinese pronunciation are still limited to a few. This shows that Koguryo and Parhae have entered the Western academic society as the subject of Korean studies and this romanization has already become a priori knowledge. The effect of this phenomenon is very high because the romanization term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terms, but also links the results of related research and leads academic communication. However, ‘Goguryeo’ and ‘Balhae’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since the 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 at 2000. Sometimes these terms cause confusion as Goguryo is added to the database based Koguryo. Moreover, in JSTOR various terms of recent studies identified on are being mixed so that Parhae’s existing preemptive rights become meaningless. This is due to the addition of Balhae’s use amid the increasing use of Bohai. Considering the cognition’s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surrounding Parhae history, this phenomenon cannot help but be concerned. In this situation, we cannot help but have a question whether these terms should be tailored to the Revised Romanization of Korea. Ultimately, the readers that romanization targets are researchers from Western academia who speak Englis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ptimal terms that allow them to easily accept Korean-related academic information and reproduce it on the existing recognition system. In addition, attention was paid to the conflicting perceptions inherent in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Congressional Library. Koguryo’s bibliographies is classified in Korean history, while Parhae’s ones maintains the principle of including it as Chinese history. However, even in the case of Parhae, it is included in the Korean history classification when composed along with Koguryo, Silla, or North Korea. There is also a point to note about the recent trend identified through JSTOR. The situation in which ‘Parhae’ became mainstream has been chainging and it seems to be shifting to a similar quantity to Balhae and Bohai. Considering that ‘Balhae’ is mainly used by Korean scholars, it is more appropriate to maintain the superiority that ‘Parhae’ has unless ‘Balhae’ can substitute. Next, Western academia’s interest in Koguryo and Parhae tends to be treated as a world historical streams in the East Asia or Eurasia rather than as a single phenomenon or a single dynasty. In order to expand the research of Goguryeo and Balhae as a field of overseas Korean studies and attract attention, research approaching from a broader perspective needs to be published in English.

      • KCI등재

        渤日 交流에 등장한 소그드인, 그 경위와 의미

        구난희(Nanhee KU) 고구려발해학회 2019 고구려발해연구 Vol.63 No.-

        이 연구는 발일 교류에 등장하는 소그드인에 주목하여 그들이 이 장면에 등장하기까지의 과정과 의미를 다루고 있다. 발해와 서역 교류가 단편적 현상으로 이해되고 있는 현실을 보완할 수 있는 하나의 시도로 세계사적 무대에서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던 소그드인의 행보 속에서 발해와의 조우 가능성을 찾아내고 발해 내 소그드인의 역할과 의미를 검토하였다. 전반부에서는 昭武 9姓과 薩寶職의 변화를 통해 소그드인의 중국 진출을 추적하고, 영주에서 반란을 일으킨 石國 출신으로 추정되는 石世則이 突地稽 세력에 부속된 사실, 『唐六典』에 등장하는 농우관내 군병 중 6주 고려인의 존재, 돈황문서 P3432와 P2613에 등장하는 高離(梨)錦 등의 사례를 통해 營州 지역과 甘肅 지역에서 발해 전야부터 소그드인과 조우하였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후반부에서는 759년 파견된 安貴寶 성명 앞에 기록된 ‘解臂鷹’이 매를 부리는 일과 관련되었다는 점, 776년 史都蒙이 관상가로 주목받았다는 점 등을 통하여 등장인물이 소그드인일 가능성을 보완하였다. 다만 이러한 사례가 3회에 그치고 소그드인의 참가에도 불구하고 서역산물이 교역품으로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소그드인의 일본 교류 참여는 상례적 현상이 아니라고 보고 이들이 등장하는 과정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759년에는 안사의 난이 일어나고 藤原河淸의 무사 귀국이 무산된 시점이라는 점, 776년과 841년은 발해가 대일 외교의 교착상태를 극복하고자 했던 상황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발해가 소그드인을 대일 사절에 포함할때는 각별한 현안이 있었으며 이는 곧 발해가 소그드인을 양국 교류에 선택적으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발해는 소그드계 인물을 사절단의 일원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일본과 서역간의 직접 교류를 차단하여 중계 실익을 지키는 동시에 일본으로 하여금 소그드의 존재와 그들을 가동할 수 있는 자신의 위력을 인지하도록 하는 정도의 정보를 관리 조정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centered on Sogdian appeared in the Exchange between Palhae and Japan. It found out the possibility Palhae encountered Sogdian who have been continuously actvated as the trader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world historical stage. And the role and meaning of Sogdian in Palhae could be the interesting part of new historical phenomena. The process of the Sogdian`s entry into China as a mainstream was tracked through the changes of Somu 9 surnames 昭武9姓 and the expansion of Salbo 薩寶, and examined their process of settlement in China. To be confirmed that they encountered the Sogdian person in the Yeongju 營州 area and the Gamsuk 甘肅 area before the beginning of the Palhae, many clues was caught as below. Seogsetsuk 石世則 who have revolted in Yeongju was attached to the Doljigae 突地稽 forces and he presumed as man of Seog state 石國 . It checked the existence of Koryo peoples 高麗人 in 6 provinces of Nongu 隴右 on Tangyukjoen 唐六典 and Koryo silks 高離錦 on the Dunhwang document P 3432 and P 2613. Next, Ahn 安氏 and Sa 史氏 emerged on the exchange between Palhae and Japan was considerated. The possibility that they could be Sogdians was reinforced through the facts that Habiung 解臂鷹 which recorded before his name Anguimo in 759 relates to a falconer and that Sadomong 史都蒙 attracted attention as a physiognomist in 776. It was noted that Sogdian`s acompany were occurred at the period of both sides between seriousness and advantage. 759 was the time when Palhae did not help Fujiwara Kiyokawa 藤原河淸`s safe return under Ansah`s agony and that 776 and 841 were the period Palhae wanted to overcome the stalemate of diplomacy in Japan in . In other words, when Palhae included the Sogdian in the envoy to Japan, there were special situations. This point means that Palhae utilized the Sogdian strategically in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Palhae included the Sogdians as a member of envoy, thereby preventing direct exchanges between Japan and Sogdian, while maintaining the interests of their own transit trade. At the same time Palhae adjusted and regulated the appropriate diplomatic level for Japan to make aware of the existence of Sogdian and Palhae`s power to operate Sogdians.

      • KCI등재

        渤海 營州道의 行路와 運用

        구난희(Ku, Nanhee)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0 No.-

        이 글은 발해 5개 교통로가 타자의 관점에 가려 그 실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인식 하에 營州道를 새롭게 검토하였다. 우선, 영주도는 대당 사행로였고 8세기 중반 安史의 亂 이후 이 지역에 대한 당의 통제력이 상실되어 더 이상 이용되지 않았다는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713년 당의 鴻臚卿 崔欣 파견시 행로가 營州道가 아닌 鴨綠道였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발해 초기부터 영주도의 대당 사행로적 역할은 그리 크지 않았다. 영주도의 이해를 위해, 이것이 특정 시대의 일시적 운용 공간이 아니라 긴 역사시간 속에서 발전 계승된 과정을 다루었다. 발해는 이전에 형성된 營州로부터 遼河에 이르는 3路 중 북로를 중심으로 하여 遼河 新城으로부터 고구려 도성 集安에 이르는 2路를 통합하고 長嶺府에 이르는 길을 확장하였다. 발해의 영주도 운용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단서로 건국을 이끈 東走 이동로, 돌궐에 대한 흑수말갈의 吐屯 설치 요청, 馬都山 전투, 일본에 파견된 楊承慶과 高南申의 관직명에 나타나는 木底州와 玄菟州에 주목하였다. 뿐만 아니라 王進義의 발해 파견과 이를 확인하는 발해의 견사 또한 영주도를 통해 이루어졌을 것임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영주도의 단절과 무관심은 天門嶺 敗戰 이후 형성된 ‘王師道絶’의 기억을 과잉투영한 당 중심의 이해방식으로 재고가 필요하다. 즉 영주도는 대당 사행로보다는 당과 북방 제족의 성쇠를 판단하고 다원적 대외 교섭을 수행하는 교통로로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왕사도절이라는 당의 안타까움은 오히려 발해에겐 영주도 활용의 명분이자 실익이었다. 나아가 영주도는 당의 통제력이 완화된 상황에서 발해가 요서는 물론 서역과 교섭하는 통로가 되어 발해의 국제성과 개방성, 다원성을 이끌어내는 중추 기반이 되었다. 비록 관련 사료의 부족으로 시론적 차원에 머물고 말았지만 향후 서역과의 통교 및 영주도 선상의 유적에 대한 고고 성과가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usage of the Youngju(營州) route in Balhae.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Balhae had five major routes and Youngju route played a role in going to Dang(唐). And it is common that the Youngju area had not been used since the latter part of the 8th century because it was no longer under Dang`s control. But this study raises questions from these existing perspectives. Firstly, Youngju route has been formed by inheriting the road from Youngju to Liaotung Sinseong during the Koguryo period and expanding to the Whibalwha river. Secondly, Youngju route was not only used as a pathway to Dang, but it was a channel that enabled pluralistic diplomacy by exchanging with the Northern tribes. These events such as East migration before the founding of Balhae, the exchange with the Turks, and the Battle of Madosan(馬都山) were all based on the Youngju route. In addition, I revised the mistakes amomg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Battle of Madosan. Through this work, it was confirmed that Balhae performed the battle of Madosan in 733 and moved troop through the Youngju route. Thirdly, Balhae quickly became aware of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by using Youngju route at the time of An · Sa(安史) rebellion and led the diplomacy with Japan by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ourth, it is pointed out that Youngju route was used during the entire period of Balhae, based on the archaeological results such as Goeu(高爾) mountain fortress and Somil(蘇密) fortress. Finally, for the advanced understanding of Youngju route, I propose the follow-up study on the interchange with the Sogdian and look forward to the archeological research on the Northern parts of Youngju route.

      • KCI등재

        캐나다의 어두운 과거사 기억하기 -인디안 기숙학교를 중심으로-

        具蘭憙(Ku, Nanhee) 역사교육연구회 2020 역사교육 Vol.154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that dark past of Canadian residential school has been a social issue. The efforts to overcome the Canadian specificity as settler colonialism provide a new orientation of ‘dialogue and interrelationship’ and ‘sharing the imperfections of the reconciliation process’. The first relationship is the link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Through the public memory of residential schools, the history of the past is being maintained as a current issue. The second is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education and social issues. It is not the one-sided process that the declarative results of political discourse are transited into educational content. It is a series of discussions in which history education and social issues are communicating and complementing each other. The fundamental motivation that makes these relationships possible would be the sharing of perceptions that recognize the incompleteness of reconciliation. Based on it, they have been pursuing the reconciliation continually. Also, the issue of residential schools is expanding the discussion of dark past history by arguing not only the historical contents but also the methodology of learning history. Canada’s continuous pursuit for reconciliation, also provides a new research venue about the potential for the Subaltern’s self-representation.

      • KCI등재

        최근 일본의 발해연구 동향과 과제

        구난희(Ku, Nanhee)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4 No.-

        이 글은 2010년 이후 일본학계의 발해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발해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한 것이다. 크게 세부주제와 연구자를 중심으로 한 미시적 연구와 세계사적 흐름에서 발해의 위상과 의의를 탐색하는 거시적 연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2010년대 이후 일본학계의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연구자 폭이 급감하는 가운데, 외교 관계나 고고분야가 주류를 이루던 종전의 경향과 달리 서지 및 금석문 분야 연구와 논평, 사론류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학계는 국가간의 인식 차를 극복하고 발해 내 다양한 속성을 다루려는 지향에 있으나 연구별로 두어지는 중점은 다르다. 예컨대 발해의 북방적 요소를 상대화하고(古畑徹), 요대 사회로 연계지어 발해의 외연을 확장하기도 하며(高井康典行), 외교 문서와 의례를 통해 외교문서에 내재한 발해적 시각을 복원하려는 노력도 있다(浜田久美子). 이와 함께 동아시아세계론에 대한 비판 위에 제기되고 있는 동부유라시아라는 논의가 점차 발해연구에 접목되고 있어 학계 지형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현재까지는 주로 발해 외교문서를 대상으로 다원화된 관계상을 밝히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서의 형식과 표현어구를 상하적 관계로 이해하려는 종래의 이데올로기적 해석을 비판하고 명분과 실리를 살리는 외교 행위로 이해하려는 지향을 이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9세기 전개되는 광역의 교역 네트워크를 山陰 지역과 연계한 최근의 연구도 주목할만하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발해연구에 미치는 영향은 양면적이다. 당 중심의 고정된 세력관계를 벗어나 발해의 독자적 행보와 그것을 통해 형성된 지역세계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는 고무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가 자칫 발해적 특성을 북방제족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사적 맥락을 퇴색시킬 우려도 있다. 동부유라시아에 대한 비판과 함께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일본학계의 동향이 지니는 양가성을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좀 더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Japanese academic research on Parhae since 2010, and seeks the direction and tasks of Parhae research.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microscopic studies focusing on detailed themes and researchers and macroscopic studies exploring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Parhae in the flow of world history. The most remarkable phenomenon in Japanese academia since the 2010s is that while the number of researchers has decreased sharply, research in bibliography, commentary, and historical studies are increasing, contrary to the previous trend focused on exchange issues and archaeology. Japanese academia aims to overcome differences of perception between countries and deal with various attributes in Parhae. For example, there are efforts to relativize the northern elements of Parhae and link them to Liao society to expand the scope of Parhae and restore the Parhae perspective inherent in diplomatic documents and forms. At the same time, discussions on eastern Eurasia, which are being formed based on criticism of East Asia’s world theory, are gradually being incorporated into Parhae research, creating new changes in the academic landscape. In the meantime, work has been carried out to discover and reinterpret thr diversified relations, focusing on diplomatic documents in Parha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riticized the interpretation of ideological orientation to understand the form of documents or expressions in a vertical relationship, and reinterpreted it as a diplomatic process that pursues a reputation and practicality. In addition, a recent study which links the wide-area trade network developed in the 9th century to the Sannin area is noteworthy. However,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on Parhae research are two-sided. It is encouraging in that it reveals Parhae’s independent steps and the regional world formed through them, beyond the fixed power relationship centered on the party. However, there is a concern that such discussions may tarnish the context of Korean history by focusing on the Parhae characteristics as the Northern tribes. Along with criticism of eastern Eurasia, more careful discussion is needed on how to respond to the ambivalence of the newly formed Japanese academ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