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갤러리 공간에서 ‘몸의 언어’의 체화를 통한 인물 형상화 연구 : 제 7회 PADAF 초청공연 극단 물결 <세 자매, 새: 자매>의 베르쉬닌 역할을 중심으로

        곽유평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극장이 아닌 탈 극장 공간 중 갤러리 공간에서의 공연의 필요성과 한계점 그리고 육체의 현존을 극대화한 배우의 현존, ‘몸의 언어’로의 체화를 통해 인물 형상화 과정을 담고 있으며 제 7회 융복합 공연예술축제 PADAF(Play Act Dance Art-Tech Film Festival) 초청공연, 극단 물결의 작품 <세 자매, 새: 자매, 2017년 6월 22일 상명아트홀 대 전시장 오후 7시 30분 공연>, 안톤 체호프(Anton Pavlovich Chekhov)의 희곡『세 자매』를 해체 그리고 재구성을 통해 텍스트를 ‘신체극’으로 압축한 작품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극 중 ‘베르쉬닌’ 역할을 만나 ‘말의 언어’에서 탈피하고 ‘몸의 언어’가 중심이 되어 체화를 통해 갤러리 공간에서 온 몸으로 부딪쳐 관객과 동시적 만남을 하고 산화를 통해 관객과 진실한 만남을 하였다. ‘몸의 언어’의 개념은 정리하기가 어렵고 그 의미가 모호하다. ‘몸의 언어’의 특질로는 ‘상징화된 시각적 이미지로 관객과의 진실한 만남’ 그리고 ‘배우의 현존’과 동시에 ‘동시적 만남’이 요구되는데 모든 무대장치를 비우고 배제할 수밖에 없는 갤러리 공간에서는 오직 배우의 현존과 관객과의 진실한 만남 그리고 동시적 만남이 있을 뿐이다. 연습 과정에서 ‘말의 언어’와 ‘몸의 언어’를 융복합 그리고 체화를 체계적 으로 정리한 이론의 부재를 느끼게 되어 ‘몸의 언어’의 선구자들의 작품과 삶을 통하여 이론을 정리하였고 국내 ‘신체극’ 극단들의 다양한 공연을 통해 개념과 특질을 고찰 하였고 다음과 같은 과정과 결론을 얻었다. 과정 첫 번째, 극장이 아닌 탈 극장 공간 중 갤러리 공간에서 공연의 필요성과 한계점을 연구한다. 또한 갤러리 공간의 텅 빈 공간에서 관객을 제외한 모든 것을 형상화한다. 그리고 육체의 현존을 극대화한 배우의 현존과 관객과의 동시적 만남을 통한 진실한 만남을 연구한다. 두 번째, 갤러리 공간에서의 신체극 작업은 연출가, 안무가, 음악감독과의 공동작업과 수평적인 연습과정이 필요하며 그 과정을 기록한다. 또한 배우의 ‘말의 언어’에서 탈피하고 ‘몸의 언어’가 중심이 되어 체화를 통해 인물 형상화 과정을 연구한다. 결론 세 번째, 신체극에서 ‘몸의 언어’와 ‘말의 언어’는 서로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언어로 작용된다. 또한 ‘몸의 언어’와 ‘말의 언어’가 동시다발적으로 융복합되어 체화를 통해 갤러리 공간에서 상징화된 시각적 이미지로서 관객과 동시적 만남을 하며 산화를 통해 진실한 만남은 이루어졌다. 네 번째, 갤러리 공간에서 ‘몸의 언어’의 체화를 통해 상징화된 시각적 이미지로 관객과 동시적 만남으로 다양한 문화배경을 가진 관객과 소통하고 교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보편적 언어가 될 수 있다. 갤러리 공간에서의 신체극 작업은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작업이었지만 배우들은 반복적인 연습과 실제 공연 속에서 즉흥과 도발 그리고 직관을 통해 생경스러운 정서와 낯선 행위와 움직임을 인식하고 반응하였고 ‘말의 언어’와 ‘몸의 언어’를 융복합하고 체화하며 상징화된 시각적 이미지로서 관객과의 동시적 만남을 하고 진실한 만남은 이루어졌다. 또한 익숙한 극장이 아닌 낯선 텅 빈 공간에서 배우들이 '몸의 언어'를 만나 사유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일상의 모든 공간과 텅 빈 공간은 무대가 될 수 있고 배우는 그곳에서 살아있으며 시민들과 함께 ‘공감’ 할 수 있는 예술로서 현존할 수 있다. This research consists of the necessity and limitation of gallery performance, one of many non-theatre spaces, the being extant of an actor/actress with maximized physical existence, and the phases of character formation via ‘physical language’. The base of my research dwells greatly upon the physical theatre <Three Sisters, Bird: Sisters> by Theatre Tides invited to the 7th PADAF(Play Act Dance Art-Tech Film Festival) which was performed at 7:30pm on June 22nd 2017, in grand gallery of Sang Myeong Arthall. They had re-structured the original play <Three Sisters> by Anton Pavlovich Chekhov and had compressed its texts into physical theatre. Coming across the role of Bershinin in the play, it was possible to escape beyond the ‘verbal language’ and explored the field of physicalization and true co-existence with the audience in the gallery. The notion of ‘physical language’ is too abstract to be organized in words. Physical language necessitates the true rendezvous with the audience via symbolized visual image and the being extant of an actor/actress, as well as the simultaneous encounter; in the gallery, these aspects stand out even more drastically as the gallery leaves out all the stage equipment and devices. In the practice processes I have deeply felt the lack of theories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combination of the verbal language and physical language and the physicalization; thus some of pioneers’ theories of ‘Physical language’ via their lives and works have been organized in this paper and the processes and the conclusion have been drawn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physical language through the various performances of domestic ‘Physical theatre’ theatre companies. Processes To begin with, the primary aim was to inspect the necessity and limitation of performance in a ‘gallery’ among all other non-theatre spaces. The methodology to embody and visualize everything but the audience in an empty and spacious gallery ought to be determined; only then the true sympathetic rendezvous, via the being extant of an actor/actress with maximized physical existence and the simultaneous encounter with the audience, can be achieved. What follows is the horizontal practice procedures with producers, choreographers, and musical directors in the gallery and also the systematic records of those processes. Along with those procedures, the processes to physicalize characters with the focus on ‘physical language’ beyond the ‘verbal language’. Conclusion ‘Physical language’ and ‘Verbal language’ in physical theatre we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some genuine rendezvous with the audience occurred via the combination of both and the simultaneous encounters in the gallery. In other words, ‘Physical language’, the symbolized visual image, could be an effective and conventional language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the audience from divers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 physical theatre making processes, although abstract and metaphysical, were meaningful in a sense that the actresses and actors were exposed to impulse, provocation and therefore ultimately, improvisation; in repetitive practices and in real performance they were able to use their intuition to cognize and react to unacquainted emotions and movements and eventually had genuine rendezvous with the audience. It also opened up a grand possibility that the stage does not necessarily requires a theatre or a hall, and anywhere in our daily routine can be our stage and that actresses and actors can exist there as pieces of art that is alive and sympathiz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