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Review : 9th Indo-Pacific Fish Conference Review

        곽우석 ( Woo Seok Gwak ) 한국어류학회 2013 韓國魚類學會誌 Vol.25 No.3

        The 9th Indo-Pacific Fish Conference (IPFC9) was held in Okinawa, Japan from 24th to 28th June 2013. Five hundred and thirty two delegates from 36 countries/regions around the world attended. The Conference took place with a welcome address by Dr. Keiichi Matsuura in the Laguna Garden Hotel next to the Okinawa Convention Center in the evening of 23rd June 2013, one day before the official start of the IPFC9. The winners of the two IPFC9 Bleeker Awards, Jeffrey M. Leis (Ecology) and Gerald R. Allen (Systematics) provided excellent talks on “Change in the early lifehistory of Indo-Pacific Fishes” and “The center of Indo-Pacific reef fish diversity”. A total of 462papers were presented, including 328 oral and 134 poster presentations. The main themes of IPFC9included systematics, evolution, zoogeography and phylogeography, biodiversity, ecology, behavior, and conservation. There were 14 symposia, which included topics such as “Top predatory fish in the Indo-Pacific ecosystems”, “Fish diversity across environmental extremes”, “Ontogeny and systematics of Indo-Pacific fishes”, and “Phylogenetics and diversification of the Percomorpha”. IPFC10 will be held in Papeete, Tahiti.

      • KCI등재
      • KCI등재

        진해만 대구의 부화일 및 초기 성장에 관한 연구

        곽우석 ( Woo Seok Gwak ),최병언 ( Byung Eon Chol ),이소광 ( So Gwang Lee ) 한국어류학회 2012 韓國魚類學會誌 Vol.24 No.2

        진해만 대구의 산란기 수온, 부화일과 초기성장을 추정하 였다. 2006년부터 2009년 사이 11월에서 5월까지 매월 8개 의 정점의 수온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주 산란기의 수온 은 7~9˚C였다. 2006~2008년의 주산란기인 12월에서 2월 사이 산란어의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수컷에 비하여 암컷 이 유의하게 컸으며, 1월에 최대값을 보였다. 2008년 5~6 월에 채집된 치어의 전장은 37.5~94.9 mm (63.2±11.0 mm; mean±SD) 범위였으며, 이석의 부화 이후 일륜수의 평균(±SD)은 5월 17일 표본에서는 102±15, 5월 29일에 는 119±16, 6월 3일에는 116±18였다. 이석의 일륜수로부 터 추정한 부화일은 12월 하순에서 3월 중순이었으며, 주 부화 시기는 1월 하순에서 2월 중순이었다. 부화 이후 일 령(t)에 대한 전장(TL, mm)의 성장은 Gompertz 성장식, TLt=123.2 exp{-exp[-0.0165(t-81.814)]} (r2=0.93, n= 273)로 나타낼 수 있었다. Hatching date and early growth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were estimated by examination of otolith microstructure of Pacific cod juveniles collected in Jinhae Bay of Korea from May to June, 2008. Water temperature during the main spawning time ranged from 7 to 9˚C according to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temperature measured from November to May between 2006 and 2009. The spawners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to February between 2006 and 2008, and the gonadosomatic index of spawners was larger in females than in males, showing a peak in January. Total length of juveniles ranged from 37.5 to 94.9 mm (63.2±11.0 mm; mean±SD). The number of daily growth increments in juvenile otoliths were on average 102±15 in May 17 samples, 119±16 in May 29 ones and 116±18 in June 3 ones. Hatching dates estimated from the number of daily growth increments ranged from late December to mid-March, showing the peak between late January and mid-February. Daily growth in total length (TL, mm) can be adjusted to the Gompertz curve: TLt= 123.2exp {-exp [-0.0165(t- 81.8)]} (r2=0.93, n=273).

      • KCI등재
      • KCI등재

        잠수관찰을 통한 경남 통영 연안의 어류상

        곽우석 ( Woo-seok Gwak ),이승환 ( Seung-hwan Lee ),이용득 ( Yong-deuk Lee ) 한국어류학회 2016 韓國魚類學會誌 Vol.28 No.2

        경남 통영 영운리 연안에서 어류상 및 분포특성을 밝히기 위해 2013년 9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매월 잠수관찰을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은 수심과 저질에 따라 5개의 서식지로 분류하였다; (1) 수심 0~2m의 사질지역, (2) 수심 2~5m의 잘피밭, (3) 수심 0~2 m의 암반 노출지역, (4) 수심 2~5 m의 암반지역, (5) 수심 5~8 m의 펄질 지역. 조사 기간 동안 총 26과 43종 1,673개체의 어류가 관찰되었다. 출현 종수는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 11월에 가장 많았고 이후 12월에 감소하여 1월에 가장 적었다. 망둑어과는 7종이 출현하여 출현 종수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양볼락과가 4종 출현하였다. 개체수에서는 망상어과가 총 개체수의 26.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양볼락과 19.9%, 망둑어과 19.3%였다. 우점종은 볼락 (Sebastes inermis)이며, 아우점 종으로는 망상어 (Ditrematemminckii)와 인상어 (Neoditrema ransonnetii)였다. 어류의 종수와 개체수는 수심 2~5m의 잘피밭과 암반지역에서 가장 많았고 수심 0~2m의 사질지역에서 가장 적었는데 이는 어류가 잘피밭과 암반지역을 서식지로 선호한다고 할 수 있다.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 were determined by monthly underwater visual census from September. 2013 to August, 2014 at Yeongunri off Tongyeong, Korea.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five habitat types by depth and substrate: (1) sand bottom as depth of 0~2 m, (2) seagrass bed of 2~5 m, (3) rocky outcrop of 0~2 m, (4) rocky bottom of 2~5 m, (5) sandy mud bottom of 5~8 m. A total of 1,673 individuals belonging to 43 species in 26 families were record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tended to decrease after October, 2013 and increase from March, 2014 showing the highest number in October (autumn), and lowest in January (winter). In terms of the number of species, Gobiidae was the most dominant family (7 species), followed by Scorpaenidae (4 species). Embiotocidae was the most abundant (26.1% in total number of individuals), followed by Scorpaenidae (19.9%) and Gobiidae (19.3%). The dominant species were Sebastes inermis (19.2%), Ditrema temminckii (13.1%), and Neoditrema ransonnetii (12.9%).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were relatively high at the depth between 2 and 5 m on seagrass bed and rocky bottom, whereas they were lower at the depth between 0 and 2 m on the sand bottom, suggesting that seagrass beds and rocky bottoms provided the diverse habitats for various fish species in this sea.

      • KCI등재
      • KCI등재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 치어의 이석 일륜을 이용한 성장 및 산란시기 추정

        주형운,곽우석,Joo, Hyeong-Woon,Gwak, Woo-Seok 한국해양학회 2014 바다 Vol.19 No.1

        2011년 2월부터 5월까지 경남 남해군 연안에서 소형 Beam trawl에 채집된 문치가자미 치어 이석을 관찰 분석하여 부화시기와 초기성장을 추정하였다. 문치가자미 치어는 2011년 2월에서 5월까지 총 175개체가 채집되었며, 체장-체중 관계식은 $W=9.76^*10^{-8}L^{4.39}$ ($r^2=0.93$)를, 체장-이석경 관계식은 L=0.0795R+0.2249 ($r^2=0.92$)로 추정되었다. 체장 성장은 $L_t=135{\exp}\{-{\exp}[0.0103(t-116)]\}$ ($r^2=0.83$)로 Gompertz 성장식이 가장 유의하게 회귀되었다. 이석 일령으로부터 추정한 주 산란시기는 12월에서 1월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Hatching date, main spawning period and growth of juvenile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were determined by analysis of microstructure in otoliths. Marbled flounders were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in Namhae from February 2011 to January 2012. The length (L, mm) was related to body weight (W, g); $W=9.76^*10^{-8}L^{4.39}$ ($r^2=0.93$). The length was also related to otolith radius (R, ${\mu}m$); L=0.0795R+0.2249 ($r^2=0.92$). The growth in length was represented by Gompertz growth curve; $L_t=135{\exp}\{-{\exp}[0.0103(t-116)]\}$ ($r^2=0.83$). The hatching date calculated from the number of daily growth increments in otoliths was between mid-December and mid-February.

      • KCI등재

        경남 통영 민양마을 잘피밭 어류의 종조성 변동

        조광현 ( Gwang-hyeon Jo ),곽우석 ( Woo-seok Gwak ) 한국어류학회 2024 韓國魚類學會誌 Vol.36 No.1

        이 연구는 경남 통영 민양 잘피밭의 어류상 조사를 통해 월간 출현한 어종을 알아보고 같은 지역 선행연구에서 동일한 조사도구로 수행한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21년 3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예인망 (surf net)으로 채집하여 어류의 종조성을 확인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8목 14과 20속 24종 8,670개체, 3,715.42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날망둑, 살망둑, 별망둑, 베도라치, 그물코쥐치로 전체 개체수의 95.9%를 차지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출현한 어류는 9년 전 수행된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망둑어류가 대부분이었고, 오염지표종인 주둥치가 처음 출현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ish species that appeared monthly through the fish stock survey of Minyang eelgrass beds in Tongyeong and compare them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the same area. This survey confirmed the species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fish using surf net from March 2021 to February 2022.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24 species, 8,679 individuals, and 3,714.42 g of the total fish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Gymnogobius castaneus, G. heptacanthus, Chaenogobius gulosus, Pholis nebulosa, Rudarius ercodes which accounted for 95.9% of a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Similar to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fish species that appeared were gobiidae, and in this study. Leiognathus nuchalis, which was selected as pollution indicator specie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