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베트남 한부모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복지 제도 및 서비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송이(Song Yi, Park),강혜린(Hae Rin, Kang),문영민(Yeong Min, Mun)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0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결혼 및 이혼 과정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수혜할 수 있는 사회복지 제도 및 서비스와 문제점 등을 탐색하여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베트남 이주여성의 결혼 및 이혼 관련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결혼 및 이혼 선택에 기인하는 사회적 맥락을 정리하였다. 베트남 여성이 한국으로의 결혼 이주를 선택하는 원인과 이혼 선택의 이유들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주로 사회문화적 요인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베트남 한부모 이주여성 관련 비자 제도 및 사회복지 제도와 서비스의 수혜요건을 파악하였다. 결혼 후 영주권이나 국적을 취득하게 되면 다문화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제도 및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으나, 이혼 후 체류 비자를 받지 못할 경우 출국해야 하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현장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베트남 이주여성이 겪는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이혼여성으로 본인과 자녀의 신분의 불안정을 경험하였으며, 미비한 법과 제도가 이들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법적, 제도적, 실천적 차원의 제언을 도출하였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marriage and divorce process of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and to explore the social welfare system and services that they can receive in the process in order to suggest the way to improve the service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marriage and divorce of Vietnamese migrant women was identified and the social contexts affecting their determinations of marriage and divorce were analys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und that the causes of their marriage migrant and divorce are closely linked. Using case study method, the eligibility of visa system and social welfare and services were explored. The results showed that Vietnamese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born in wedlock can be eligible for certain social welfare services as long as obtaining permanent residency or nationality. In a reverse way, they have to leave Korea if they could not obtain a proper visa after divorce. Finally, through the interview with a field expert, the difficulties that Vietnamese migrant women face when they divorced are examined. They experience instability in visa status of their own and their children and the loophole of the related law and system aggravates their difficulties. Based on these findings, legal, institutional,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 KCI등재

        공공부조제도의 현금급여 및 서비스 사각지대 경험에 관한 연구 -빈곤 여성 한부모를 중심으로-

        박송이 ( Songyi Park ),강혜린 ( Hae Rin Ka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0 사회복지정책 Vol.47 No.4

        2014년부터 사각지대에 대한 다양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빈곤 여성 한부모 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생계형 사고는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공공부조제도를 이용한 여성 한부모들의 현금급여 및 서비스 사각지대 경험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현금급여의 사각지대에서는 대상의 포괄성 사각지대와 급여 충분성 사각지대가 나타났다. 첫째, 대상의 포괄성 측면으로 신청절차가 복잡하거나 그 과정에서 모멸감을 느껴 수급 신청동기가 저하되거나 부양의무나 근로능력을 증명해야 하는 고통으로 인해 지치게 될 때 빈곤 여성 한부모들은 사각지대에 머무르게 되었다. 둘째, 급여의 충분성 측면으로 수급을 하더라도 자녀를 돌보는 것에 불안감을 느끼거나 지원 정책이 현실적인 주거 필요를 채우지 못할 때 사각지대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서비스 사각지대에서는 비인지ㆍ접근성 사각지대, 불만족 사각지대가 드러났다. 첫째, 비인지ㆍ접근성 사각지대는 제도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요구하기 어렵거나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에 제약이 있을 때 발생했다. 둘째, 불만족 사각지대는 물품지급 절차상 상세한 안내 및 배려가 없거나 한부모가족복지시설에서 검열이나 훈육을 당할 때 나타났다. 위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공부조제도의 사각지대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Families of female single parents are still on the margin of bare subsistence although various policy alternatives for non-take-up have been proposed since 2014.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investigate the multifaceted experiences of female single parents who have been used or tried to use public assistance benef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female single parents in poverty have been experiencing barriers to public assistance benefits in various aspects. First, the non-take-up of cash benefits are caused by the barriers to inclusiveness and sufficiency. In terms of barriers to inclusiveness, the problems such as the complexity of the public assistance system, the policy experiences of stigmatization, the unrealistic rules of ‘family support obligation’, and the difficulties to proving the working incapacity have made single parents give up whole application process. In terms of barriers to sufficienc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anxiety raising their children due to the insufficient cash benefits and also that they suffered from lack of timely and suitable housing supports and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related to housing support policy. Second, the non-take-up of service benefits was analysed into two types: ‘non-perceived/accessibility’ and ‘unsatisfactory’ non-take-up. In the aspects of ‘non-perceived/accessibility non-take-up’, the non-take-up was occurred when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it is difficult to inquir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policy and programs and also that it is restricted to use child care services. Last, it is found from this study that ‘unsatisfactory non-take-up’ was stemmed from the way the goods and services were delivered and also from the inappropriate censorship and discipline perpetrated in the welfare facilities for single parent families. With the results, various improvements to public assistance policy for female single parents in poverty have been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