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의 형식과 내용에 관한 라깡적 에세이

        강응섭(Eung-Seob Kang) 한국현상학회 200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2 No.-

        이 글의 목적은 종교의 형식과 내용에 관한 라깡의 견해를 살피는 데있다. 이를 위해 라깡의 텍스트에서 ‘장막도식’ ‘종교담론’ 그리고 ‘히스테리담론’을 순차적으로 정리한다. 아주 간과하기 쉬운 ‘장막도식’은 『대상관계』세미나 4권에 등장한다. 이 도식의 ‘무’는 세미나 7권에서 ‘물’로, 세미나 9-10권에서 ‘대상a’(=‘오브제 아’)로, 그리고 세미나 20권에서는 ‘S(A/)’로 대치 또는 전치된다. 이렇게 라깡은 종교에 대해 말하지 않는 듯 하면서도 종교적 대상을 표기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세미나 17권은 ‘4가지 담론’을 소개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담론의 4가지 형식-위치는 불변하지만(발신자-수신자-생산물-진리) 담론의 4가지 내용-요소는 이동 또는 전치된다(S1-S2-a- S/). 이 중 ‘히스테리담론’은 ‘종교담론’과 유사하다. 이는 자신이 누구인지 궁금해 하는 히스테리 주체의 모습이 자신의 기원을 찾는 종교적 인간의 모습과 유사하다. 종교, 종교지식 등에 의해 제시된 답에 감금되지 않고, 그 이상을 위해 나아가는 종교적 인간은 규정하는 지식을 넘어서, 규정되지 않는 경험을 추구하지만, 여전히 자신이 누구인지 궁금해 한다는 면에서 히스테리 주체와 닮아 있다.

      • KCI등재

        룩-슈레더에 따른 "예수의 이름"에 재현된 삼위일체 하나님의 유일성과 현재화에 대한 연구

        강응섭 ( Eung Seob Kang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6 No.-

        이 글은 구약성서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하나님의 이름, 야훼의 이름과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이름에 대하여 다룬다. 구약성서의 성취가 신약성서라는 고전적인 전제 위에서, 이 두 이름 사이에 단절이 있는지, 연속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선, 성서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이름에 대하여 언급한다. 하나님이 자신의 이름을 말해 준 곳은 출애굽기 3장에서‘에흐예 아셰르 에흐예’이다. 이 본문은 바로‘에흐예’에 이어‘야훼’라고 하나님의 이름을 명기하고, 그 후로 줄곧 구약 성서에서는 사성문자로 하나님을 표기한다. 이 이름은 칠십인역에서 ‘키리오스(주)’로 표기되고, 신약성서에서는‘예수’를‘주’로 받고 있다. 이렇게‘주’는 구약성서와 신약성서를 연결하는 키워드로 연구되어 왔지만‘예수의 이름’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한 것 같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구약성서와 신약성서를 잇는 키워드로‘하나님의 이름(야훼의 이름)’과‘예수의 이름’을 다룬다. 특히 독일 베를린대학교에서 이 주제로 신약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룩- 슈레더의 연구는 이 글을 완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우선 유일성이라는 관점에서 두 이름을 비교하고, 그다음에 현재화라는 관점에서 두 이름을 비교한다. 이런 비교 과정에서 기독론의 문제도 다루고 삼위일체론의 문제도 다룬다. 결국 두 이름 사이에 유일성이 확보된다는 결론에 이른다. 또한 현재화에 대한 견해는 이 글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신약성서에 나타나는‘~ 이름으로’라는 전치사구는 어떤 것의 현재화를 드러낼 때 사용한 초대교회의 신학적인 주장으로 보았다. Cet article se developpe sur le Jesusonoma en tant que le sujet de la Theologie contemporaine. Dans l’article precedant(Korean Journal of Systematic Theology 29, 2011.Jun.), j`ai traite le signe Jesusonoma. La christologie contemporaine est a la tension dure des relations entre la christologie deductive(Logos →Sarx) et la christologie inductive(Sarx→Pneuma ou Anthropos→Theos) de sorte que le deuxieme personne de la trinite est blesse. On ne peut pas non plus decrire la christologie et la trinite. Donc on cherche un autre signe pour les remplacer. Cette etude vise a chercher un mot nouvel dans la Bible qui indique le deuxieme personne de la trinite et la trinite soi meme. Mon etude precedante selon les deux questions a ete propose. Les deux questions sont 1. Quel est le but de rechercher Jesusonoma, dans la situation de deux pole entre le Jesus historique et le Christ en foi. Quelle est sa position dans la christologie? 2. Le Jesusonoma ou L`onoma que les evangiles et les epitres se presentent, quelles sont son identite dans la trinite et sa signification theologique? La premiere partie ebauche la situation de la theologie contem- poraine, la deuxieme partie developpe le Jesusonoma dans la categorie de la christologie. Ruck-Schroder commente presque tous les Jesusonomas dans le Nouveau Testament de sort qu`elle nous presente le sens du Jesusonoma. En effet, dans cette etude, on considere le Jesusonoma en tant que l`unification de la christologie, l`unite de Dieu et la presentation de Dieu.

      • KCI등재
      • KCI등재

        라깡의 불안 변증법과 탈경계 (La dialectique de l'angoisse et la trans-limite chez J. Lacan)

        강응섭(Eung-s?ob KANG) 한국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09 현대정신분석 Vol.11 No.2

        이 글의 목적은 라깡이 세미나 10권에서 제시한 ‘불안변증법’ 도식을 풀이하고 도식의 각 요소간에 발생하는 경계와 탈경계 상황을 해설하는 것이다. 불안 변증법의 구조는 대타자쪽과 내쪽이라는 수직양쪽 구조와 상상계-상징계-실재계라는 수평3층구조로 구성된다. 경계선은 중앙구분선과 3층분리선 두 영역으로 나뉜다. 수직양쪽구조의 대표적인 요소는 S /ujet와 a 그리고 A/ 이다. 수평3층구조의 대표적인 요소는 위층구조의 근친상간과 절대쾌, 중간구조의 불안 메커니즘 작동 시기, 아래구조의 욕망ㆍ향유ㆍ증상 등이다. 프로이트가 1919년 발표한 ‘매맞는 아이’를 예를 들자면, 위층구조는 아버지는 나를 때리지 않는다(paradis), 중간구조는 아버지는 나를 때린다(ex-paradise), 그리고 아래구조는 아버지는 한 아이를 때린다(paradise nouvel or paradise fantasm?)로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중간구조는 기억되지 않고 가설될 뿐이다. 왜냐하면 억압되기 때문이다. 아래구조는 환상의 구조인데 이 구조는 중간구조와 아래구조의 경계가 허물어질 때, 그 경계가 마름모꼴의 작용을 할 때 생성된다. 이런 식으로 경계선의 허물어짐과 생성됨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 바로 불안변증법이다. Cette ?tude a de pr?senter la situation de limite et de trans-limite, provoqu?e parmi les ?l?ments du sch?ma de 'la dialectique de l'angoisse' dans le S?minaire X de Lacan. La structure de 'la dialectique de l'angoisse' est la structure verticale(C?t? de l'Autre-mon C?t?) et la structure des trois ?tages horizontaux(Imaginaire-Symbolique-R?el). La limite est la ligne centrale et la ligne horizontale. Les ?l?ments de la structure verticale sont S /ujet, a et A/ . Les ?l?ments de la structure des trois ?tages horizontaux sont le inceste et le plaisir absolu de l'?tage dessus, le m?canisme de l'angoisse de l'?tage milieu, le d?sir-la jouissance-le symt?me de l'?tage dessous. Selon 'un enfant est battu'(1919), l'?tage dessus repr?sente 'le p?re ne me bat pas'(c'est le paradis), l'?tage milieu repr?sente 'le p?re me bat'(c'est le ex-paradis), l'?tage dessous repr?sente 'le p?re bat un enfant'(c'est paradise nouvel or paradise fantasm?). L'?tage milieu ne souvient plus mais c'est la hypoth?se. Car c'est ? cause du refoulement. Il est un fantasme entre l'?tage milieu et l'?tage dessous. Lorsque la ligne horizontale entre l'?tage milieu et l'?tage dessous est trans-d?lign?e, c'est le fonctionnement de la dialectique de l'angoisse.

      • KCI등재후보

        거울도식과 나르시스적 사랑

        강응섭(Eung-seob KANG) 한국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10 현대정신분석 Vol.12 No.2

        이 글은 거울단계의 문헌과 역사에 관한 연구이다. 세부적으로 들어가서 보면, 나르시시즘과 영상, 내부와 타자의 욕망, 거울도식과 장막도식 간의 연속성, 거울단계와 나르시스적 사랑을 다룬다. 이 글에서 필자는 거울단계를 'i'(a) ← i(a) ← a'라는 형식으로 요약한다. 여기서 'a'는 실재대상, i(a)은 실재영상, i'(a)은 허구영상을 의미한다. 거울단계가 보여주는 것은 현실과 허구를 분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징적 세계가 나타난다. 상징적 세계는 언어화된 세계이다. 말로서 재현된 세계이다. 거울단계와 원-자아 간의 관계는 프로이트가 말한 두 개의 나르시시즘과 대응하여 설명될 수 있다. 프로이트에게서 리비도는 라깡에게서 이미지에 해당한다. 일차적 나르시시즘은 실재 영상에 관계되고 이차적 나르시시즘은 허구 영상에 관계된다. 리비도의 이동 자리길은 이상의 이동 자리길과도 같다. 외부가 내부가 되는 내투는 아버지가 초자아가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런 의미에서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다. 이 말 뜻은 타자가 갖고 있는 욕망이 주체의 내부로 유입됨을 의미한다. 욕망은 타자 안에서, 타자에 의해서, 타자에게서 실현된다. 장막 도식 안에서 '막'은 타자의 거울이고 대상에서 이미지로 변형을 일으키는 렌즈이다. 무의식의 주체는 나르시스적 사랑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사랑의 방정식으로 이어진다. 무의식의 주체는 아갈마의 주체인데, 이 말은 주체와 대상 사이를 끝없이 왕래하는 반복의 주체라는 뜻이다. 이런 의미에서 거울도식은 주체와 타자의 관계를 근본부터 사고하는 라깡식 핵심 장치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라깡적 기호학으로 본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신’과 ‘말’의 관계

        강응섭(Eung-Seob Kang) 한국현상학회 200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6 No.-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구조를 ‘무의식-전의식 의식’으로 이해하다가 ‘자아-초자아-이드’로 수정한 바 있다. 프로이트를 재해석한 라깡은 인간의 정신을 ‘상상계-상징계-실재계’라는 세 구조로 이해한다. 인간의 성장발달과 함께 각 구조는 단계별로 전개된다. 라깡은 임상경험에서 비롯되는 정신구조를 기호학으로 설명하는데, 특히 야콥슨의 언어학을 차용하여 표현한다. 이런 라깡의 인간정신 이해는 1천 5백년 전에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가 이해한 인간의 정신구조와 유사한 점이 있고, 그 정신구조를 더 상세하게 해석할 수 있게 해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정신’이 ‘말’로 구성된다고 본다. 그에 의하면 ‘정신’은 ‘외면적 인간’과 ‘내면적 인간’ 그리고 ‘사람의 정신=영적인 인간’이라는 단계로 발달한다. 이를 그의 용어로 말하자면 정신의 지향성’이다. 그는 실재를 이해하고 신앙하려면 마지막 단계의 정신에 도달해야 된다고 주장한다. 이런 정신이해는 라깡이 사용하는 ‘욕동’ 개념과 유사하다. 이 개념은 인간의 언어화 과정에 관계된다. 소위 무의식처럼 구조화된 무의식, 시니피앙들의 고리로 된 주체 등 라깡의 임상명제는 욕동 개념에서 이해할 때 바르게 접근된다. 욕동 개념은 프로이트가 정리한 무의식의 통사론적 법칙인 제1차 과정과 제2차 과정을 관통하는데, 이는 언어의 환유와 은유과정을 진행시키는 원동력이다 이 언어이론은 프로이트식 리비도의 방출을 통해 더 잘 이해되며, 라깡식 청각 이미지와 시각 이미지의 이동 또는 시니피앙의 이동을 통해 더 잘 설명된다. 라깡의 기호학 이론을 통하여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신구조를 ‘말’과 ‘정신’의 관계로 살펴보면서, 아우구스티누스의 3중 인간관(외면적 인간-내면적 인간-사람의 정신=영적인 인간)을 잘 이해하는 데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칼뱅에 따른 ‘하나님의 이름’(nomen Dei, Nom de Dieu) 연구 ― 『기독교강요』 최종판 ‘제1권 13장 20절’에 이르는 다섯 판본을 중심으로*

        강응섭 ( Kang Eung-seob ) 한국조직신학회 202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71 No.-

        본 논문은 칼뱅에 따른 하나님의 이름(nomen Dei, Nom de Dieu)에 관해 다룬다. ‘하나님의 주권’이라고 할 때, ‘하나님’이 지칭하는 것이 무엇 인지를 다룬다. 이를 위해 칼뱅이 직접 저술한 『기독교강요』 최종판 ‘제1권 13장 20절’에 이르는 다섯 판본을 살핀다. 다섯 판본은 1536년 라틴 어본, 1539년 라틴어본, 1541년 프랑스어본, 1559년 라틴어본, 1560년 프랑스어본이다. 특히, 마지막 판본에 나오는 문장 “ideoque quoties Dei nomen indefinite ponitur, non minus filium et spiritum, quam patrem designari”와 “Quia vero proprietates in personis ordinem secum ferunt, ut in patre sit principium et origo, quoties mentio fit patris et filii simul, vel spiritus, nomen Dei peculiariter patri tribuitur”를 기준 삼아 칼뱅에 따른 ‘하나님의 이름’의 두 가지 관점을 끌어낸다. 첫째 관점은 성부, 성자, 성령이라고 언급하지 않고 ‘하나님’을 말할 때는 성부 · 성자 · 성령을 지칭하는 것이고, 둘째 관점은 성부 · 성자 · 성령, 또는 성부와 성령이라고 언급하면서 하나님을 말할 경우는 성부 하나님만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런 기준 없이 하나님이란 용어를 사용하다 보면, 삼위일체적인 하나님을 소개하고 이해하는 데 혼란을 일으킨다. 칼뱅은 이런 기준을 『기독교강요』 최종판 ‘제1권 13장 20절’에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신학적 근거가 있는 이 두 관점을 하나님의 ‘이름-개념’ (ὄνομαBegriff/ Namensbegriff)이라고 부른다. 본 논문은 하나님의 이름-개념으로 『기독교강요』 최종판 ‘제1권 13장 20절’을 번역 및 해석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name of God(nomen Dei, Nom de Dieu) according to Calvin. When it comes to “God's sovereignty,” it deals with what “God” refers to. To this end, we will look at the five editions of Calvin's own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the final edition of Volume 1.13.20. The five editions are Latin in 1536, Latin in 1539, French in 1541, Latin in 1559, and French in 1560. In particular, based on two sentences in the last edition, two perspectives of ‘God's Name’ according to Calvin are drawn. Two sentences are “ideoque quoties Dei nomen indefinite ponitur, non minus filium et spiritum, quam patrem designari” and “Quia vero proprietates in personis ordinem secum ferunt, ut in patre sit principium et origo, quoties mentio fit patris et filii simul, vel spiritus nomen Dei peculiariter patri tribuitur.” The first point of view refers to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when saying ‘God’ without mentioning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the second point of view refers to only the Father God when saying to God, referring to the Father, the Son, Holy Spirit, or referring to the Father and Holy Spirit. Using the term God without this standard causes confusion in introducing and understanding the Trinity God. Calvin clearly presents these standards in the final edition of the Christian Compulsory, Volume 1.13.20. This paper calls these two views with theological basis ‘the name-concept’(ὄνομαBegriff/ Namensbegriff) of God. This paper translates and interprets ‘Volume 1.13.20’ of the final version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in the name-concept of God.

      • KCI등재후보

        라깡에 따른 히스테리 주체와 기독교의 신앙고백

        강응섭 ( Eung Seob Kang ) 한국조직신학회 201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1 No.-

        Le propos de cette etude est a ebaucher le sujet hysterique et la Foi lacanienne. C`est pour cela qu`on range periodiquement le discours du schema du voile, les quadripodes et le discours de l`hysterie. Cet article se developpe sur la Christologie et le sujet au sciecle de l`innovation technique a la lumiere des quadripodes lacaniens. Mon article precedent ``Lacan, objet a, Jesusonoma`` (Journal of Lacan &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 8 No. 1 Summer 2006) est une semence du sujet present. Et mes autres article parus ``De la relation entre verbe et mens de St. Augustin selon la semiotique lacanienne`` (Research in Philosophy and Phenomenology, Vol. 36, Winter 2008) et ``Lecture d`Identification selon J. Lacan``(Journal of Lacan &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 9 No. 2 Winter 2007) sont une graine de la methodologie. On prend la psychanalyse semiotique de J.Lacan comme la methodologie La christologie presente est a la tension dure des relations entre la christologie deductive(Logos →Sarx) et la christologie inductive (Sarx →Pneuma ou Anthropos →Theos) de sorte que le deuxieme personne de la trinite est blesse. On ne peut pas non plus decrire univalentement la christologieet la trinite. Donc on applique des quadripodes lacaniens a l`Evangile selon Matthieu 16:13-20. Cette etude vise a reinterpreter ces phrases a la lumiere des quadripodes lacaniens, surtout du discours hysterique. La premiere partie ebauche les quadripodes lacaniens, la deuxieme partie developpe le sujet hysterique dans la categorie de la christologie. Le schema du voile est paru lors du seminaire I V. Le ``rien`` du seminaire I V se deplace en ``Chose`` dans le seminaire V I I, en ``objet a`` dans le seminaire I X-X, et puis S(A/) dans le seminaire X X. Comme cela Lacan prepare l`appareil religieux. Le seminaire XV I I introduit les 4 discours de la psychanalyse. Les 4 places du discours de la psychanalyse ne bouge plus(maitre-esclave-produit-verite) mais les 4 elementaires se deplacent(S1-S 2-a-S/). Le discours hysterique est similaire au discours religieux. Le sujet hysterique cherche toujours ``qui suis-je``, l`Homo religiosus aussi. L`Homo religiosus n`est plus enferm? dans la religion, le savoir religieux, il est au-dela du systeme religieux. Comme ceci le sujet hysterique et l`Homo religiosus sont assimilable au discours religieux et hysterique de la psychanalyse. Cette etude analyse un petit text de la Bible, l`Evangile selon saint Matthieu, chapitre 16. Le Jesus comme sujet hysterique cache aussi sa verite, a la fois la meconnait. Il a l`huminite et la divinite selon le credo de Chalcedon(a.d.451) Le symbole ``Fils de l`homme`` cache la divinite du Christ, seulement revele l`huminite. S(A/) est un signe de la methode negative. S/est un sujet hysterique et l`Homo religiosus, la Foi, l`homme de la foi.

      • KCI등재

        예수의 직무 연구 ― 바리사이파 사람 시몬 집에서의 경우

        강응섭 ( Kang Eung-seob ) 한국조직신학회 2016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6 No.-

        `언어활동처럼 짜인 무의식`은 주체의 행동에 드러난다. 정신분석의 이런 주장에 근거하여, 예수의 직무를 다룬 성서 한 단락을 해석하였다. 필자가 선택한 단락은 누가복음 7장 36-50절이다. 바리사이파 사람 시몬의 집에 초대받은 예수와 그를 초대한 시몬 사이에서 발생한 예수의 사역을 정신분석의 관점으로 풀어보았다. 우리는 이 단락을 세 겹으로 이해했다: 단락 이전(텍스트 밖의 예수), 본 단락(텍스트 안의 예수), 단락 이후(텍스트 안팎의 예수) 바리사이파 사람 시몬이 어떤 감동에 의해 예수를 식사 자리에 초대했지만 그가 예수를 다룬 방식은 환대가 아니라 박대였다. 왜 그는 그런 행동을 한 것일까? 이것은 신약성서의 여러 단락에서 보여주듯이, 유대교와 예수의 갈등, 바리사이파와 예수의 갈등에서 비롯된다. 이런 갈등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시몬은 왜 예수를 초대했고, 박대했는가? 이런 대우를 겪은 예수는 여인의 등장으로 자신이 하고자 했던 말을 한다. 그 말은 `빚준 자`의 탕감 비유로 시작되었다. 예수는 이 비유를 통해 바리사이파 사람 시몬 개인의 인성 문제와 여기서 비롯되는 종교성에 관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또 다른 인성을 소유한 여인과 그에 따른 종교성을 제시했다(우리는 분량의 제한으로 이 부분은 다루지 않았다). 예수의 직무는 당시 사회의 인성과 종교성에 부딪히면서 제약을 받았다. 이는 요한의 사역이 바리사이파와 율법학자들로부터 철저히 거부되었다는 것과도 연관된다. 이렇듯 예수의 직무는 언어활동처럼 짜인 바리사이파와 율법학자들의 무의식과의 대결로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을 간파하는 예수의 사역이 고스란히 이 단락에 담겨 있다. 이것은 누가복음 5장 17절에 명시된 것같이 주(하나님, 성부)의 능력이 함께함으로 가능하고, 누가복음 4장 14절에 보듯이 성령의 능력이 함께 함으로 가능하다고 누가는 보는 듯하다. 이런 연유에서 예수가 바리사이파와 율법학자들의 사적이고도 공적인 가치와 부딪혔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깨는 직무를 행하였다고 필자는 본다. `Unconscious structured like a langage` is represented in the ministry of subject. Based on these claims of Psychoanalysis, the author interpret a biblical paragraph(Luke 7:36-50) which deal with Jesus`s ministry in the house of Pharisee Simon. That is to say that We solve Jesus`s ministry in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We understand this paragraph into three layers: previous paragraph(Jesus outside the text), main paragraph(Jesus Christ in the text), later paragraph(Jesus in or out of text). Pharisee Simon who was moving by emotion invited Jesus in the dinner table, but his handling of the Jesus is not hospitably, coldly. Why did he had a such behavior? This stem from the conflict of the Judaism and Jesus, also from the conflict of the Pharisees and Jesus. Despite the situation of these conflicts, why did Simon invited him and dealt with an indifference? From the emergence of a woman who dealt with a hospitality, Jesus began to say what he wanted to do. That is about loaner`s write-off. Through this metaphor, Jesus estimate Simon`s individual character and his Religiosity. Jesus`s Ministry received various restrictions, striking society`s personality and religion. This is linked that John`s ministry is strictly rejected from the Pharisees and teachers of the law. We understand that Ministry of Jesus is bumped against the unconscious of the Pharisees and the laws. We can see Jesus`s Ministry like this in this paragraph. Luke wrote that Jesus`s Ministry is with the ability of God the Father(5:17) and with the ability of the Holy Spirit(4:14). According to this cause, he succeeded in his ministry, despite the private and public affair of Pharisees and teachers of the law to resist h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