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GBT, 우리가 지금 여기 살고 있다” : 현대 한국의 성적소수자와 공간

        강오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간에 대한 접근을 통하여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성적소수자의 정체성이 지니고 있는 의미와 그러한 정체성을 지닌 이들의 실천을 탐구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의 성적소수자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미디어가 생산한 특정한 이미지에 머물러 있었다. 그로 인하여 성적소수자는 다수자의 시선에 의한 막연한 ‘인정’의 대상으로 간주되었을 뿐, 이들의 정체성이 전체 사회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 어떠한 실천을 꾀하였는지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연구자는 ‘성적소수자’라는 주제를 탐구함에 있어 이들의 일상적‧정치적 실천에 주목 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하여 공간으로부터 논의를 출발하였다. 공간은 전통적으로 인류학에서 친숙한 개념이었으나 인류학자들은 이를 점차 단순한 배경으로 간주하기 보다는 문화의 공간적 차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관점을 옮기고 있다. 이제 인간의 모든 행위는 공간 속에 위치해 있고 구성되고 있다는 개념은 새로운 의미를 띄게 되었다. 더욱이, 성적소수자의 정체성은 그러한 섹슈얼리티가 형성되기 위하여 특정 공간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공간적이다. 연구자는 특정 공간이 정체성의 수행을 통하여 ‘퀴어 공간’으로 재생산되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한국 사회에서의 성적소수자의 위치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성적소수자에 대한 지배적인 인식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레즈비언 여성들이 공간의 점유를 위하여 능동적으로 행동했던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연히 레즈비언의 메카로 일컬어지던 신촌 및 홍대 지역을 중심으로 ‘마포’가 어떻게 유흥의 공간뿐 아니라 일상적인 삶을 누리고 정치적인 발언이 집결되는 ‘퀴어 동네’라는 정체성을 지니게 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퀴어 문화의 역사를 추적해보면 과거로부터 퀴어 문화의 형성과 발달이 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950년대부터 서울 도심 내에서 게이 남성들은 극장을 중심으로 그들만의 은밀한 커뮤니티를 구성해왔으며, 특히 1970년대부터 극장과 각종 바들이 집중했던 종로는 오늘날에도 게이 상업지구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에 레즈비언 여성들이 그들만의 커뮤니티를 형성한 것은 근래에 들어서이다. ‘동성애자’라는 이름으로 동질적으로 간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에게 주어진 공간에 대한 권리는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레즈비언 여성들이 본격적으로 정체성을 발현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한 것은 1990년대 이후로, 이는 대학 가를 중심으로 페미니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익명성이 보장되는 PC통신을 통하여 퀴어 담론이 집결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이러한 대학가가 위치한 서대문구의 이대‧신촌 그리고 인근의 마포구는 점차 레즈비언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바와 클럽 등이 들어서게 되었으며, PC통신에서의 정보 공유는 이러한 업소들이 자리 잡은 지역의 장소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퀴어 타운을 소재로 다룬 외국 드라마의 유입, 한국 시민운동 내에서의 지역공동체 운동의 성장과 맞물려 성적소수자 인권 운동 내부에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운동에 대한 요구가 출현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게이 상업지구로 잘 알려진 종로구에서 레즈비언 여성이 국회의원 후보로 출마했던 2008년 총선의 경험은 레즈비언 활동가들로 하여금 한시적으로 이용 가능한 상업지구보다는 일상적인 삶이 바탕이 되는 동네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레즈비언 여성들을 중심으로 퀴어 주민들이 모여 살고 있는 지역으로서 마포에 대한 재발견이 이루어졌다. 서 게이 남성들은 극장을 중심으로 그들만의 은밀한 커뮤니티를 구성해왔으며, 특히 1970년대부터 극장과 각종 바들이 집중했던 종로는 오늘날에도 게이 상업지구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에 레즈비언 여성들이 그들만의 커뮤니티를 형성한 것은 근래에 들어서이다. ‘동성애자’라는 이름으로 동질적으로 간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에게 주어진 공간에 대한 권리는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레즈비언 여성들이 본격 적으로 정체성을 발현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한 것은 1990년대 이후로, 이는 대학 가를 중심으로 페미니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익명성이 보장되는 PC통신을 통하여 퀴어 담론이 집결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이러한 대학가가 위치한 서대문구의 이대‧신촌 그리고 인근의 마포구는 점차 레즈비언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바와 클럽 등이 들어서게 되었으며, PC통신에서의 정보 공유는 이러한 업소들이 자리 잡은 지역의 장소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퀴어 타운을 소재로 다룬 외국 드라마의 유입, 한국 시민운동 내에서의 지역공동체 운동의 성장과 맞물려 성적소수자 인권 운동 내부에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운동에 대한 요구가 출현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게이 상업지구로 잘 알려진 종로구에서 레즈비언 여성이 국회의원 후보로 출마했던 2008년 총선의 경험은 레즈비언 활동가들로 하여금 한시적으로 이용 가능한 상업지 구보다는 일상적인 삶이 바탕이 되는 동네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레즈비언 여성들을 중심으로 퀴어 주민들이 모여 살고 있는 지역으로서 마포에 대한 재발견이 이루어졌다. 마포가 퀴어 주민들이 선호하는 지역이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포구는 교통이 편리하고 도심과 가까우면서도 도심보다 지가가 저렴해서 주로 소득이 낮은 사람들이 거주하였다. 결혼을 계기로 부모로부터 경제적인 지원을 받거나 기혼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는 이성애자 부부와 달리, 법적인 혼인으로 맺어지지 않은 동성 커플의 경우는 집을 구하기 위해 충분한 비용을 마련하기가 어렵다. 특히 남성과 여성의 임금 격차가 존재하는 현실에서 레즈비언 커플에게 높은 임대료의 주택은 부담스럽기 때문에 거주지를 고려할 때 저렴한 지가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둘째, 홍대 지역이 지니고 있는 자유로운 분위기, 소위 ‘홍대 로망’이 마포로의 이주를 결정하는 계기가 된다. 홍대 지역은 레즈비언 바와 클럽 등이 들어서 있기에 레즈비언의 메카로 알려져 있지만 그것이 레즈비언 여성들의 ‘홍대 로망’ 의 결정적인 이유는 아니다. 미술대학이 강세인 홍익대의 영향으로 각종 실험적인 예술, 인디 음악과 같은 자유롭고 비주류적인 문화가 생성되어왔던 곳이기에, 홍대 지역은 다양성이 허용되는 곳이며 사회의 소수자에 속하는 퀴어들에게 매력적인 공간이다. 또한 마포구가 저렴한 임대료와 편리한 교통 등을 이유로 많은 시민단체들이 밀집하였다는 점은 퀴어 주민들의 네트워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페미니즘 단체에서 주최하는 소모임에서 활동가 혹은 활동을 지지하는 이들이 만나서 지속적인 친목을 다질 수 있었으며, 기존에 마포에 있었던 성미산마을, 민중의 집과 같은 지역운동의 사례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대안적인 공동체의 가능성을 암시하는 기류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성적소수자의 모임인 ‘마레연’이 시작되었 다. 유권자 운동으로 시작한 마레연은 성적소수자의 권리를 위하여 제도정치의 변화를 촉구하였으며, ‘보트피플’과 같은 행사를 통하여 후보자를 만나고 구체적인 안을 제시하는 등 이들의 운동은 적극적인 양상을 띠었다. 또한 마레연은 일상적인 친목 모임 등을 통하여 지역 내 퀴어 주민의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고자 한다. ‘퀴어 밥상’과 같은 정기적인 식사 모임은 친목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며 함께 밥을 지어 먹음으로써 연대감을 나누는 자리이다. ‘마을버스 광고’와 ‘현수막 대작전’과 같은 사업은 지역 내에 퀴어 주민 모임의 존재를 알리고자 하는 시도였으며, 이로 인하여 성적소수자 집단은 한국 최초로 공권력과 대립의 각을 세우기도 하였다. ‘현수막 대작전’이 일으킨 파문은 마레연 외의 여타 단체에서도 ‘퀴어 동네’로서 마포가 지닌 상징성을 재확인하도록 하였으며, 성적소수자 이슈에 친숙하지 않았던 마포 지역 내 가족 중심의 공동체에서도 같은 지역민으로서 퀴어 주민의 존재를 인지하고 연대하고자 하는 조짐이 일게 하였다. 마레연의 활동은 그간 막연한 ‘인정’의 대상이었던 성적소수자가 실제적인 공간에 존재하는 ‘주민’임을 드러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퀴어 주민’들의 네트워크 및 능동적인 수행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마포는 ‘퀴어의 영토’라는 정체성을 갖게 되었다. 마포의 성적소수자 지역운동은 성적소수자 정체성이 공간과의 상호 구성을 통하여 가시성을 획득하고 있는 사례이며, 이는 그간 한국 사회에서 간과되었던 비이성 애에 대한 배제와 선별의 권력이 폭로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This research uses spatial approach to explore what it means to have the identity of a sexual minority and how these people act as a such in Korean society. Until recently, due to mass media, public awareness of sexual minorities has been limited to a certain image, as an object of 'recognition.' Yet there has been a dearth of academic interests in which place sexual minorities have or how they act within a society. In this sense, I give special attention to a political as well as everyday practice in order to examine the subject of a 'sexual minority,' and also try to apply spatial approach. Space has been a familiar concept in anthropology. However, many anthropologists are trying to stress the spatial dimension of culture rather than considering space as a simple background. Nowadays, it is widely accepted that every practice is located and comprised within space. Also, the identity of sexual minorities is spatial essentially in that it is dependent on certain space. I examines the position that sexual minorities have in Korean society by tracing the process in which certain space is converted into 'queer space' through active agents’ performance. When exploring the history of queer culture in Korea, it is easy to notice that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queer culture has been closely related to space. Since 1950s, gay men have had their own secrete communities around downtown theater areas in Seoul. In particular, since 1970s, Jongno-gu has been developed as a commercial district of many gay men. On the other hand, it has not been long before lesbians tried to have their communities. Although lesbians have been regarded as a 'homosexual' like gay men, the women's right to have space has been restricted. It was not until 1990s that lesbians were able to have space to manifest their own identities. This was the time when feminism was discussed in earnest in universities and queer discourses were gathered through PC communication networks. Areas where university campuses were located, such as Ewha Woman’s university, Shin-Chon, and Mapo were beginning to develop as a meeting area of lesbians. Also, by means of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C communication networks, this area has reinforced its sense of place. The influx of foreign drama on queer village and the development NGO movement on local community have triggered the demand of regional movement of sexual minority rights groups. By the experience in the 2008 general election, lesbian activists becam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queer town where everyday life was lived. They began to rediscover the Mapo-gu as an important region of queer residents. The reasons why Mapo-gu has become a queer region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Mapo was convenient for transportation and near to downtown, people who had low income have stayed here. Unlike heterosexual couples who are able to get financial support from parents when getting married or are eligible for loans from government, lesbian couples who are not related by law are not able to fund the housing. Moreover,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gap between male and female incomes at work, inexpensive land price is the major consideration for many lesbian couples. Second, an atmosphere of freedom around Hong-Ik University, so-called 'the yearning for Hong-Dae,' has been also important for lesbian couples to move into Mapo area. A Hong-Ik University town, which had several lesbian bars and clubs, has been well-known for a mecca for lesbians. Besides, this town has been a place for experimental, independent, and anti-mainstream culture influenced by Hong-Ik University's speciality of arts. Therefore, lesbian couples have considered this area as an attractive place where diversity and minority are valued. Third, Mapo-gu has attracted many NGOs due to lower land price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This factor has facilitated strong networks among queer residents. At group meetings hosted by feminist organizations, they were able to promote friendship. Existing local movements such as Sungmi-San Town or People’s house had suggested possibility of building an alternative community. 'Union of Mapo Rainbow Residents(UMRR),' a small group meeting of sexual minorities based on region, has launched in these background. It influenced by voter movement has insisted the transformation of existing political system for the rights of sexual minorities. By contacting candidates and presenting alternative plans, it also actively conducted a political campaign, 'Vote People.' In addition, UMRR tried to strengthen a network of queers in Mapo by daily social meeting. A 'Queer’s table,' which is a regular get-together, has been a basic event fostering the feeling of solidarity. It has sought to make their existence known to public by bus commercial and putting up a banner of queers, which created escalating conflict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Mapo-gu office. The movement of putting up a banner has called attention to the symbolism of Mapo as a queer area, and also generated supports from heterosexual families who were not familiar with queer issues. The practice of UMRR has contributed to the public acknowledgement of sexual minorities as residents of Mapo, which has shaped the identity of Mapo as a 'Queer Territory.' Local movement of sexual minorities in Mapo district is a good example in which the identity of sexual minorities becomes visible by inter-relationship with space. This research on the movement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power of exclusion and selection, which has been ignored in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