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이 허약 여성노인의 근육감소증 지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강설중(SeolJungKang)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는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이 허약 여성노인의 근육감소증 지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인슐린저항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고령자 중 허약 노인여성으로 판정된 14명 여성으로서 운동군(7명)과 대조군(7명)으로 구분하였다. 운동군은 12주 동안 주 3회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유산소 운동은 여유심박수 40~59%에서 걷기 운동을 30분간 실시하였다. 저항성 운동은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30분간 실시하였다. 운동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근육감소증 지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인슐린저항성을 사전, 사후 측정한 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동 프로그램 후 근육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TNF-a, IL-6, hs-CRP)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인슐린저항성(혈당, 인슐린, HOMA-IR)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은 허약 여성노인의 근육지수 증가 및 인슐린저항성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effects of the sarcopenia index, inflammation cytokine and insulin resistance in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of frail elderly women. The subjects consisted of the exercise group(n=7), and control exercise group(n=7). Exercise group had exercise 3 times a week for 12 weeks with the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The exercise group to be performed the aerobic exercise was intensity of heart rate reserve 40~59% for 30 minutes and the resistance exercise was performed for 30 minutes using elastic band. The sarcopenia index, inflammatory cytokine, and insulin resistance were measured and analyzed at pre- and post- exercise program. 1) The skeletal muscle index(SMI)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2) The Inflammatory cytokine(IL-6, TNF-α, and hs-CRP) level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fter exercise program. 3) The Insulin resistance(blood glucose, insulin, and HOMA-I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Conclusion,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program had beneficial effects on SMI, and insulin resistance in frail elderly women.

      • KCI등재

        인터벌 트레이닝과 유산소 운동이 내당능장애 중년여성의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강설중(SeolJungKang)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벌 트레이닝과 유산소 운동이 내당능장애 중년여성의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내당능장애에 해당하는 중년여성을 선정한 후 인터벌 트레이닝 집단(n=8, 여유심박수 80~90 %와 50~60 %)과 유산소 운동 집단(n=8, 여유심박수 50~60 %)으로 구분하여 12주간, 주 5회 운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터벌 트레이닝과 유산소 운동은 혈당(p<.01), 인슐린(p<.05), 인슐린저항성 지표 HOMA-IR(p<.05) 및 당화혈색소(p<.01) 감소에 효과적으로 나타났지만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C-펩타이드는 처치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은 내당능장애에서 인터벌 트레이닝과 유산소 운동은 인슐린저항성 개선에 유사한 적응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인터벌 트레이닝과 유산소 운동은 내당능장애에서 제2형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중재방안이라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val training and aerobic exercise on insulin resistance in middle-aged women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an interval training group(n=8) or a aerobic exercise group(n=8). Interval training(80-90 % of HRR or 50-60 % of HRR) and aerobic exercise(50-60 % of HRR) have performed 5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glucose(p<.01), insulin(p<.05), HOMA-IR(p<.05), and HbAIc(p<.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ose after treatment in both interval training and aerobic exercise groups before treatment, with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On the other C-peptide were decreased but no significantly changed. In conclusion, interval training and aerobic exercise had improvement effects on insulin resistance in middle-aged women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s.

      • KCI등재

        순환운동과 유산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체지방율, Adiponectin, 혈관염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정성림(SungLimJung),강설중(SeolJungKang),김병로(ByungRohKim)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6

        본 연구에서는 12주간 순환운동과 유산소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체중 및 체지방율의 변화, 혈관염증지표(IL-6, TNF-α, CRP, WBC) 및 Adiponectin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체지방율 30% 이상인 40대 중년 여성을 순환운동, 유산소운동, 통제집단으로 각각 8명씩 나누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중과 체지방율은 유산소운동 집단과 순환운동 집단의 경우 운동처치 후 감소했지만, 통제집단은 차이가 없었다. IL-6는 유산소운동 집단과 순환운동 집단의 경우 운동 처치 후 감소하였다. TNF-α와 CRP는 집단과 처치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WBC 농도는 순환운동과 유산소운동 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낮게 나타났고, 시점별로는 처치 전에 비해 처치후에 낮게 나타났다. Adiponectin은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운동 처치 후에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순환운동과 유산소운동은 처치에 따른 체중감량으로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IL-6, WBC의 감소와 adiponectin의 증가를 보인 점은 비만 환자의 염증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exercise program(circuit training and aerobic exercise) on weight, %fat, body composition, adiponectin, blood vessel inflammation markers(IL-6, TNF-α, CRP, WBC), in middle -aged obesity women. The subjects participated for this study were twenty four obese women(%fat: over 30%, age: 40 middle aged women), an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circuit training group(n=8), aerobic exercise group(n=8), control group(n=8). Aerobic exercise was composed of treadmill, cycle ergometer, ellipse instructions. Circuit training was composed of aerobic exercise and muscle resistance exerci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weight and %fat of aerobic exercise group and the circuit training group were decreased after treatment then before treatment, but the weight and %fat of the control group had no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The IL-6 of the aerobic exercise group and the circuit training group were decreased after treatment then before treatment, but the IL-6 of the control group had no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The TNF-α and the CRP were no difference between group and treatment. The adiponectin were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 but the adiponectin was increased after treatment then before treatment. The WBC of the aerobic exercise group and circuit training group were decreased the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lower after treatment then before treatment in WBC. Consequently, the decrease of IL-6 and WBC being secreted at obesity cells from weight decrease by exercise and the increase of adiponectin may restrict the occurrence of inflammation of obesity patients.

      • KCI우수등재

        스포츠생리학 / 운동강도별 혈중지질 및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변화

        김병로(ByungRohKim),정성림(SeongLimChung),김영길(YungKilKim),강설중(SeolJungKang) 한국체육학회 1999 한국체육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대학교 체육학과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운동강도별 혈중지질 및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V˙O₂max의 50%와 75%의 운동강도로 트레드밀 위에서 30분간 달리기 운동을 실시하여 안정시 와 운동후 회복시간대별로 혈액을 채취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 운동강도 및 회복시간별 혈중지질 성분인 T-CHL에서는 운동강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회복시간별로는 안정시에 비하여 운동 후 1시간과 2시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2. 운동강도 및 회복시간별 혈중지질 성분인 TG 농도는 75% 운동강도에 비하여 50% 운동강도시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안정시에 비하여 운동후 1시간, 2시간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3. 운동강도 및 회복시간별 혈중지질 성분인 HDL-C, LDL-C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4. 운동강도 및 회복시간별 T-CHL, TG, HDL-C, LDL-C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결론적으로 비록 30분이라는 짧은 시간의 급성운동을 통해서 혈중지질 성분중 일부분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이 본 연구에서 밝혀진 중요한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은 HDL-C, LDL-C 농도에 대한 변화 추이는 아마도 2시간 이상의 저강도 운동을 했을 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추후에는 이에 대한 급성효과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intensity on the blood lipid profiles. Thirteen students from C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ercise intensity for this experiment was selected 50% and 75% of each subject`s V˙O₂max. Total exercise time was about 30 minutes. Measurement items were made of total cholesterol(T-CH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TG). We have observed the following results.1. The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in 1h and 2h after exercis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of total cholesterol before exercise2.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TG) between exercise intensities and among recovery times. it means that the concentration of TG in 1h and 2h after exercis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of TG before exercise3. There were in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ncentration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between exercise intensities and among recovery times.Therefore, the results suggested that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had the positive effects on the blood lipid profiles of young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