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 한 가정과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00-2019년 KCI 등재지를 중심으로

        감경원(Gham, Kyoung Won),박미정(Park, Mi Jeon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20년간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가정과교육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총 501편의 가정과교육 논문을 대상으로, NetMiner 4.4를 활용하여 워드클라우드, 중심성 분석,토픽모델링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CI 등재지에 게재된 가정과교육 논문의 수는 2000년대에 186편, 2010년대에315편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가정과교육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는 2000년대에 16종, 2010년대에 22종으로 더욱 다양해졌다. 전체 논문 수의 60%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되었고, 2018년 이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이 급증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0년대와 2010년대에 KCI 등재지에 게재된 가정과교육 연구의 주제는 교과 내용 분석, 수업 개발및 적용, 교육과정 분석,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으로 범주화되었다. 2000년대에는 ‘가정과교사’가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고,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2010년대에는 ‘개발’ 키워드의 영향력이 커지고, 교과 내용 분석및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 대상과 기간을 확대하여가정과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 focusingon papers published in the KCI list for 20 years from 2000 to 2019. A total of 501 home economics education papers analyzedthrough word cloud, centralit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using NetMiner 4.4,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of paper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ublished in the KCI listing increased gradually to 186 in the 2000s and 315 in the2010s. The academic journals in which home economics education papers were published have been diversified to 16 in the2000s and 22 in the 2010s. 60% of all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and since 2018,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has increaseddramatically. Second, in the 2000s and 2010s, home economics education studies published in KCI were categorized into homeeconomics education content analysis, home economics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 application, curriculum analysis,perception survey & direction exploration. In the 2000s, Home Economics Teacher appeared as the main keyword, and a lotof perception survey & direction exploration were conducted. Relatively, the influence of development increased in the 2010s,an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to analyze home economics education contents and develop and apply home economics program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HEE by expanding the analysis target and analysis periodof the existing studies.

      • KCI등재

        가정과 초임교사 역량모델 개발

        감경원(Gham, Kyoung Won),박미정(Park, Mi Jeon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초임교사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에 역량모델 개발 준비, 구체화, 타당성 검증, 역량진단의 4단계에 걸쳐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1차 역량모델(안)을 도출하고, FGI를통해 2차 역량모델(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2차 역량모델(안)의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역량군과 역량,역량의 정의는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초임교사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최우선역량’으로는 총 7개의 역량(‘수업설계역량’, ‘수업실행역량’, ‘학습지원역량’, ‘교육과정운영역량’, ‘학생평가역량’, ‘자료개발 및활용역량’, ‘자기관리역량’)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개발한 ‘가정과 초임교사 역량모델’은 총4개의 역량군과 22개의 역량 및 역량 정의로 구성되었으며, 각 역량군별 역량은 가정과 초임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역량일수록 상위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FGI와 역량진단을 통해 가정과 초임교사들의 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이를 반영하여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Beginning Teachers in Home Economics’. The studywas conducted in a total of 4 stages(preparation of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stage, materialization stage, validity verificationstage, and competency diagnosis stage),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tentative competency modelwas deriv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secondary tentative competency model was derived through an FGI. The validityof the secondary tentative competency model was verified by 15 experts and the competency groups, competencies, and competencydefinitions from this study were found to have content validity. Second, the competency diagnosis was conducted for a totalof 222 beginning teachers in Home Economics. As a result, a total of 7 competencies were derived as the ‘top priority competencies’that are of first priority for beginner teachers in Home Economics. The final competency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reflectingthe research results, was composed of 4 competency groups and 22 competencies and 22 competency definitions. The competenciesof each competency group were presented in the order that beginning teachers thought were important. This study is meaningfulin that it used an FGI and competency diagnosis to identify beginning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competenciesand reflect the results on the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과와 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김은경(Kim, Eun Kyung),이영선(Lee, Young Sun),감경원(Gham, Kyoung Won),차지혜(Cha, Ji Hye),박미정(Park, Mi Jeon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을 가정과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여 차기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을포함한 14개 교과의 ‘기능’과 ‘성취기준’을 키워드 네트워크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기능’에서는 ‘분석, 활용, 표현’이 연결 중심성과 위세 중심성이 모두 높은 핵심적인기능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는 ‘이해, 설명, 표현, 분석, 활용’의 기능형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등장했고,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과 연관이 있는 ‘실천, 문제해결, 탐색, 추론’ 등이 출현했다. 위세 중심성이상대적으로 높은 ‘감상, 해결, 실현’은 ‘성취기준’에서 사용된 핵심적인 기능형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셋째, 2015 개정 중학교가정과 교육과정의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관성을 비교한 결과, 실과(기술·가정)의 기능 키워드 15개 중에서 7개가 가정과‘성취기준’의 기능형 키워드에 사용되지 않아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성취기준’에 활용된 기능형 키워드의 다양성도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 강화와 ‘분석, 표현, 비교, 이해, 해석, 탐구, 감상, 해결’ 등의다양한 기능(형) 키워드 활용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home economics curriculum by comparingthe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in the 14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with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is,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unction’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analysis, use, and expression’ were found to becore function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and the Eigenvector Centrality. Second, the functional keywords ‘understanding,explanation, expression, analysis, and use’ i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appearedwith high frequency, and ‘practice, problem-solving, search and reasoning’ which are related to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ppeared. It was confirmed that ‘appreciation, solution and realization’, which have relatively high Eigenvector Centrality, were core functionalkeywords us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Third, when the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matched and compared, 7 out of 15 functions were not used in the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o the connection between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appeared to be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functionalkeyword us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was also found insufficient when compared to the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propose strengthening the connectivity of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in the next home economicscurriculum, using keywords such as ‘analyze’, ‘express’, ‘compare’, ‘understand’, ‘interpret’, ‘explore’, ‘appreciate’, and ‘sol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