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물 미세먼지 제거 학습을 위한 교과융합형 문제해결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곽혜란 한국실과교육학회 202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vergent problem-solv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learn the ability to remove fine dust from plants and apply it in practice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rgent problem-solving ability. To this end, the problem was solved by using the problem-solving learning process, but <classroom fine dust is becoming more seriou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be solved using subject convergent knowledge. To this end, horticulture-information-mathematics were selected as related subjects, and a problem-solving learning program based on an integrated curriculum was constructed and applied into practice, and the effect was analyzed. At this time, as for the educational effect, the quantitative survey method analyzed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plant fine dust removal capability, and the qualitative survey method analyzed using activity sheets produced with illustrations for each stage of problem-solving class.. Problem-solving 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all positive questions (p<.05), and it was particularly effective for questions that required various convergent problem solv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plant fine dust was mainly effective for knowledge and technical questions. The activity sheets used according to the convergent problem-solving stage were produced as illustrations of all the study papers used in the tram to enhance understanding. In recognizing and identifying the cause of the problem, we learn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fine dust and the principle of removing fine dust from plants, compare air purifiers and fine dust removal plants, and understand growth diagnostic kits, housing design, and fine dust data algorithms. In the search for methods to solve problems, fine dust data was expressed in a flow chart and other various ways, and hypothesis ver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include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finding fine dust removal plants and creating a classroom garden for fine dust removal.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 대상으로 식물 미세먼지 제거능력 학습을 위한 융합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교과융합적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는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학습과정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되 본 연구의 주제인 <교실 미세먼지가 심각해지고 있다>를 교과융합적 지식을 활용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교과로 원예-정보-수학을 선정하여 교과통합적 융합교과 기반의 문제해결학습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현장에 적용한 후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때 교육적 효과로는 양적 조사방법은 문제해결 능력, 식물 미세먼지 제거역량을 분석하였으며 질적 조사방법은 문제해결 수업단계별 일러스트로 제작한 활동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문제해결 능력은 긍정성 문항에 대해 모두 통계적으로 유효한 차이가 났으며(p<.05) 특히 다양한 융합적 문제해결을 요하는 문항들에 대해 특히 효과가 있었다. 요인분석결과도 다양한 문제해결지식을 요하는 능력 개선효과에 특히 의미가 있었다. 식물 미세먼지 이해역량에서의 지식, 기술, 태도 영역에서는 주로 지식과 기술 영역학습에서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교과 프로그램에 기반한 문제해결 학습모형 단계별로 활용한 활동지는 융복합적 교과지식 전달이 자칫 이해가 힘들 수 있는 점을 일러스트를 적극 활용함으로서 이해를 쉽도록 하였으며 <교실 미세먼지 해결하기>라는 현실문제를 원예, 수학, 정보의 3교과를 연계하여 문제인식 및 원인파악-문제해결을 위한 지식탐색-문제해결을 위한 방법탐색-문제해결검증 및 보완 순서에 따라 해결해나갈 수 있었다.

      • KCI등재

        창의·인성교육 요소와 사고기법을 도입한 원예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선호도 분석

        곽혜란,장유진,지혜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3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6 No.5

        본 연구는 창의 ․ 인성 교육 목표에 적합한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창의․인성 교육의 목적과 요소를 분석하고 창의적 사고기법을 연구하고 교수·학습안을 구성하여 학교교육용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원예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교사들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적합성 및 선호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을 종합해 볼 때, 개발된 원예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인성 교육이 추구하는 덕목들과 부합하는 교육적 요소와 관련 사고기법을 활용한 교수·학습안으로 다수 개발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되었다. 또한 설문결과를 살펴 볼 때 교사들에게 원예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인성교육 용으로서 높은 적합성과 개발된 활동 전반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원예교육 프로그램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연령별로는 창의성 요소에 대한 선호도는 전 영역에서 높은 편이었으며 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도 주생활을 제외한 의.식 영역에서 연령별 차이가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로는 대부분 주생활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창의성 선호도가 높았으며 인성영역에서는 연령별로 전 영역에 걸쳐 비교적 고른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향후 원예교육을 위한 교육기회의 증대, 관련 자료 및 교육현장시설의 문제 및 차시부족 등은 문제점으로 고려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cological horticulture program for practical classroom implementation under grand theme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the purpose and element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ere analysed through reference study. Then, ecological horticultur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creative thinking related researches. The program was verified for its suitability and preference by classroom teachers via survey. Synthesizing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designed ecological horticulture program enhances student’s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and also adequate for practical use in school as a part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However, those practical obstacles like the deficiency of horticulture related materials and tools in some schools and the lack of teacher capacity must be solved for futur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horticultural activity within school. Proper future studies in relation to this research would be helpful to build up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which this society calls on.

      • KCI등재

        교실 내 시스템 플랜터 도입이 교구용 플랜터 개발 및 식물 친숙도에 미치는 영향

        곽혜란,유지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1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eachers and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fter two third-grade classes were selected, a pre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ir familiarity with plants to check the equivalence of the two classe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education by utilizing plants and planters for educational purpose in 18 sessions, and the control group took regular instruc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ut the development criteria and design of planters for the purpose of elementary horticultural education were as follows:First, the teachers investigated had difficulties in having students practice plant raising, and that put pressure on them. They fel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lanters for the purpose of elementary botany education to relieve themselves of the burden. Both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requested that they should be informed of the time when to water plants by using sound, light or a level sensing. Second, as for the type of a plant to grow in a planter for educational purpose, both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preferred indoor plants to flowers or vegetables. Third, concerning the materials of the planters, both groups had a liking for environment-friendly and transparent materials, and the students considered it necessary to regulate the height of the planters. There was little distinct gap in their preference for the shape of the planters such as a cylinder or square. Fourth, they called on the planters to be different in size, and they asked the planters not to be heavy. The students wanted the planters to have wheels to ensure an ease of movement, and the teachers called on the planters to be small in size to ensure their utilization in a small space. Fifth, regarding the soil of the planters, they called for sterilized culture soil, and they asked for materials for water culture as well.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plant familiar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inclusiv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planters for educational purpose and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was investigated, and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plant familiarity at P<0.001, P<0.05 and P<0.001 level of significance respectively. It indicate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planters for educational purpose had a good effect on boosting the plant familia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본 연구는 학교 교실에 식물관리에 용이한 식물생장시스템을 도입하여 교구화 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통합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플랜터 개발방향과 아동의 식물친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교사 및 학생용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교사와 학생은 식물 가꾸기 실습의 어려움과 부담감 해소를 위하여 초등학교 식물 교육에 적합한 교구용 플랜터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와 학생 모두 물주는 시기를 음성이나 빛, 수위계를 통해 알려주는 기능을 요구하였다. 둘째, 교구용 플랜터에 식재할 식물의 종류는 교사와 학생 모두 꽃이나 채소류 보다는 실내식물을 선호 하였다. 셋째, 교구용 플랜터의 식재 용기는 교사와 학생 모두 친환경 소재와 투명한 용기를 선호하였으며 학생은 높이 조절 기능을 필요로 하였다. 넷째, 교구용 플랜터의 크기는 다양한 것을 요구하되 무게가 가벼운 것을 원했으며, 학생은 옮기기 쉽게 바퀴를 교사는 좁은 공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작은 크기를 요구하였다. 다섯째, 식재할 토양에 대한 요구도는 멸균 배양토를 원하였으며, 수경재배를 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한 요구도도 높았다. 또한 교구용 플랜터 활용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비교 집단의 식물 친숙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식물친숙도의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영역에서 각각 p<0.01, p<0.05, p<0.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교구용 플랜터의 활용이 실험집단의 식물친숙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 결과로 고려되었다.

      • KCI등재후보

        식물번식 프로그램이 저학년 아동의 생명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곽혜란,손선녀,주나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생명 존중 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초등 1학년 교육과정을 분석 하여 식물 번식과 관련된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학습내용과 통합 후 수준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재량학습을 통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Y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식물번식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와 연관된 영향을 조사하였다. 양적 조사는 생명 존중 의식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때 하위영역은 인간생명 존중, 동물생명 존중, 식물 생명 존중, 통합 생명 존중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결과는 실험반과 비교반을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 조사는 식물 번식 프로그램 후 실험반과 비교반을 대상으로 식물에 관한 역할극, 식물에 관한 시쓰기, 생명에 관한 연상하기를 생명 존중 의식과 관련된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조작적 정의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여 영역에 따른 어휘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식물 번식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생명에 대한 생각을 지식적인 측면만이 아닌 생명에 대한 사랑과 다정한 마음을 내면화키고 이를 통하여 학생의 인간, 동물, 식물, 통합 생명 존중 의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물 번식 프로그램의 적용은 자신과 사람의 생명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동물, 그리고 식물과 자연까지 살아있는 소중한 존재임을 알게 하여, 인간, 동물, 식물 그리고 더 나아가 지구상의 모든 것이 함께 살아가는 것이라는 것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 태도를 갖게 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 the textbook of 1st graders to organize plant propagation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1st graders educational process. Plant propagation program was also conducted to inspect the effect of plant propagation activities on the changes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of 1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changes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was examined by the questionnaire which have 4 sub categories as 'human life respect', 'animal life respect', 'plant life respect' and 'life respect' as quantitative data by paired t-test. To validate the qualitative changes of 1st graders, student wrote a poem, do a role play and think of words associated with life-respectiveness. To analyze the qualitative changes of student, we classified the words by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each words. As result, the plant propaga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students to have more attention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not only the program let elementary students realize that not only humans were valuable things but also plants and mother nature were all living organisms and that all living things on earth were living together. They also realize that destructing nature means threatening our own lives. In conclusion, the plant propagation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low graders for their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ll living things in earth were together and precious things.

      • KCI등재

        초등학교 식물교육을 위한 원예용기 개발 연구

        곽혜란,이종환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3

        This study aimed for the development of suitable gardening vessel for elementary plant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functions and the design. The survey was done for the students on the needs of gardening vessel.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students prone to prefer the ease of portability and storage and also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shape of the vessel and the soil color. The survey finds that students prefer the transparent vessel than the other type of it because they can see the color of soil . In order to get the extra information, students were requested to sketch their ideas about the design of vessel. The simplified vessel which was made of commonly available ingredients with the considerations of students' interests and concerns was designed. The detail design of the vessel was done through Autodesk 3Ds max 2009 after the amendment of the simplified vessel. Through these process, the plastic vessel was produced and then it was used to grow the plants for verifying the value of gardening vessel. After the recritification of the problems that occurred while using the developed vessel, the final vessel design was produced and it was recorded as a patent on a new device. Finally with the efforts of considering the problems and concerns, the new gardening vessel was developed. 본 연구는 초등 원예교육용 키트로써 적합한 용기의 기능 및 디자인을 고려하여 초등교육과정에 도입 가능한 원예용기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도심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원예용기에 대한 요구도 설문조사 및 화분 스케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배의 용이성, 이동과 보관의 편리성, 디자인, 기능 등의 영역에 다양한 요구를 나타내었으며 각각, 물주기의 용이성, 보관과 이동의 안정성, 다양한 매질의 사용 및 흙 색깔 사용, 투명한 재질 및 어항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식물을 키울 수 있는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호도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총 4차에 걸친 수정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원예용기 모델을 개발하였다. 1차 수정으로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선호도에 의거한 단순화 된 형태의 시제품 모형을 제작함으로써 아이디어를 구체화 하였고 이를 Autodesk 3Ds max 2009 프로그램으로 3D 설계를 하여 용기를 설계하고 드러난 문제점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2차수정은 시제품 및 3D 설계 도면의 문제점을 수정 및 보완하여 용기를 아크릴로 제작하였다. 3차 수정은 실제로 제작된 아크릴 용기에 직접 식물을 식재하여 키워 보면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실용실안 출원을 목적으로 개발된 원예용기에 대해 전문가 집단의 도움을 받아 기능 및 디자인 등의 문제점을 다시 고려하여 4차 수정과정으로 보완하여 최종적인 원예용기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