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南朝梁撰譯佛典中「梁言」詞研究

        趙家棟(조가동)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9 동아문헌연구 Vol.- No.-

        남조 양(梁)대는 비록 역사가 길지 않지만 비교적 많은 불전의 번역과 저작이 이루어졌다. 이들은 크게 세 방면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불경에 대한 초역(初譯), 둘째, 기존에 번역 되었으나 양대에 와서 다시 편집한 것, 셋째, 새로운 저술 등이다. 첫째 유형으로는 승가바라(僧伽婆羅)의 《공작왕주경(孔雀王呪經)》, 《팔길상경(八吉祥經)》, 월바수나(月婆首那)의 《대승정왕경(大乘頂王經)》, 그 외에 역자 불명의 《과거장엄겁천불명경(過去莊嚴劫千佛名經)》, 《현재현겁천불명경(現在賢劫千佛名經)》, 《미래성수겁천불명경(未來星宿劫千佛名經)》 등이있다. 둘째 유형으로는 보창(寶唱)등의《경율이상(經律異相)》이 있고, 셋째 유형으로는 승가바라의 《해탈도론(解脫道論)》, 혜교(慧皎)의 《고승전(高僧傳)》, 승우(僧佑)의 《석가보(釋迦譜)》,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등이있다. 그런데 양대의역경이나 저술중에는 본문의용어에 대해“양나라 말로는무엇이다(梁言)”라고주석하는 경우들이 있다. 예를 들면, 《공작왕주경》 권1에서 “鄔斜訶羅”에 대해 “梁言噏食(양나라 말로 ‘빨아들여 먹다’)”라 한 것과같다. 이처럼“양언(梁言)”이라 풀이한 것은현재 여러 문헌들에서 200 여 조(條)를 찾을수 있다. 이글을 이들 중 중요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 여러 측면에서의 학술적 가치에 대해 논하고 있다. The Liangyan(梁言) words in Buddhist Scriptures compiled or translated in the Southern Liang (梁) Dynasty are the Buddhist substantives and terms which form the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transliteration and free translation, totaling more than 200 cases. These Buddhist substantives and terms could be worth researching highly and feasibility. Regardless from quantity and category, the paper mainly researches on the Liangyan(梁言)words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literating characters, features of pronunciation 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transliteration and free translation, and attempts to reveal theirs value of linguistic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translation, buddhist thought and Sino-India cultural exchange.

      • “帩” 組字考證

        程蕭林(정소림),趙家棟(조가동)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21 동아문헌연구 Vol.- No.-

        고시 《맥상상(陌上桑)》에는 “少年見羅敷, 脫帽著帩頭(소년이 아름다운 진라부를 보게 되면, 두건을 벗어 들게 되고)”라는 구절이 있는데, 여기에 보이는 “帩頭(초두)”는 주로 남성용 두건을 말한다. 그런데 이 “帩頭”의 “帩”는 다양한 글자체로 쓰이게 되는데, “繑”, “綃”, “削”, “峭”, “俏”, “幧”, “繰”, “襙”, “幓”, “襂”, “縿”, “ ”, “ ”, “衤蕉”, “樵” 등 15 가지 이상에 이른다. 그렇다면 이처럼 다양한 글자가 호용되게 된 원인은 무엇일까? 이들 여러 가지 글자 중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은 “繑”자이며, 본의는 “허리끈(絝紐)”인데 나중에 인신 되어 “끝단을 묶다(繑邊)”라는 의미가 생겼다. 형성자인 “繑”에서 성부(聲符)가 교체되면서 나타난 글자가 “繰”, “綃”이다. 그리고 이것이 두건 용도로 사용되면서 형부(形符)가 교체 되어 나타난 것이 “幧”, “帩”이다. 이러한 발전 관계와 별도로 “繰”, “幧”에서 와변(訛變)된 것이 “縿”, “幓”이다. 그리고 이 두 글자에서 형부가 교체 되어 만들어진 것이 “襂”자이며, 여기에서 와변 된 것이 “襙”이다. 또 “帩”와 “幧”에서 성부를 교체한 것이 “ ”이고, 이 “ ”자에서 형부를 교체한 것이“ ”이며, 여기에서 성부를 좀더 복잡한 자형으로선택한 것이“衤蕉”이다. 그리고 “帩”의 가차자로 사용된 것이 “削”, “峭”, “俏” 등이며, “衤蕉”의 가차자가 “樵”이다. The original glyph of Qiao(帩) is Qiao(繑), and the meaning of Qiao(繑) is Qiaobian(繑邊). Qiao(帩) can use mutually with many characters, such as Qiao(繑), Qiao(繰), and so on. The meaning of these characters is related to head scarf.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onfiguration, this group of characters constitutes a system in practical use by changing phonetic symbols, changing glyph symbols, making errors in glyphs and loaning phonetic.

      • KCI등재

        識文書之津梁,研俗字之淵藪——《吐魯番俗字典》評析

        趙家棟,歐陽佳麗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0 한자연구 Vol.0 No.27

        As a result of the National Social Science Foundation Project hosted by Professor Zhao Hong for several decades, the Dictionary of the Non-Classical Word in Turpan Manuscripts was published by Shanghai Ancient Books Publishing House in December 2019 after long expectations. As for the form of a dictionary, it draws out the non-classical word in Turpan Manuscripts, and collects extensive materials. Furthermore, the practice of writing is fine and appropriate, and the collected glyphs are also full and rich. So, it shows us the whole appearance of using the non-classical word among the people in Turpan. It is a classic of this international study——Turpan Studies. This paper briefly introduces the dictionary’s practice, features, value and some shortcomings so that scholars can understand the dictionary better.

      • KCI등재

        “親” 的 “吻” 義考源

        趙家棟,盧佳琦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1 한자연구 Vol.- No.30

        Every meaning of the common word “Qin (親)” in Chinese has been seen in ancient times. However, its meaning of “kiss” only appeared at the end of Ming Dynasty. Scholars generally believe that this meaning is derived from extended meaning, which is worth discussing. Before the Tang Dynasty, the meaning of “kiss” was only expressed by “Wu (嗚)” and its polyphonic form. “Xin (噷)” appeared in the Song Dynasty, “Qin (唚)” and “Qin (親)” appeared in the Ming Dynasty. “Qin (親)” and “Qin (唚)” are the phonetic loan character of “Xin (噷)”. As the tail vowel [-m] final vanishes and the confluence of sharp and rounded sounds, the three sounds tend to be the same, “Xin (噷)” is a rare word, the common writing “Qin (唚)” with the change of phonetic sign and homophone substitution word “Qin (親)” appeared in the folk. “Qin (親)” has the meaning of “contact”. It is easier to establish semantic association with the meaning of “kiss” and becomes the dominant word in the concept field of “kiss”. “Xin (噷)” and “Qin (唚)” exist only in spoken dialect. “Xin (噷)” is the subsequent character of “Xin (歆)”, the “kiss” meaning of “Xin (噷)” is an extension of the “smell” meaning of “Xin (歆)”. In order to find the source of words, we should use the method of finding words based on meaning and sound, combine with dialect materials, and link up the homophone and synonymy of variant words. Only by breaking through the restriction of glyphs, can we find out the writing form containing the etymological basis of many variant words.

      • 兩《唐書》回鶻傳字詞比較研究

        朱夏蔚(주하위),趙家棟(조가동)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22 동아문헌연구 Vol.- No.-

        《구당서(舊唐書)》와 《신당서(新唐書)》를 포괄하여 “양 《당서》”로 칭하는데, 양 《당서》는 사서연구의 자료이기도 하지만, 이 자체가 연구대상이기도 하여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들 양 《당서》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전문적 연구라 하여 두 편의 《당서》 중 한편을 집중 연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두 편의 《당서》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전자로는 유탁하(柳卓霞)의 《『신당서』열전의 서사 연구》, 장능보(張能甫)의 《『구당서』어휘 연구》 등을 꼽을 수 있고, 후자로는 인물열전에 대한 연구 사례로 주문연(周文娟)의 《『구당서』와 『신당서』의 「양귀비전(楊貴妃傳)」의 비교》가 있고, 민족열전에 대한 것으로는 희서총(姬瑞聰)의 《『구당서』와 『신당서』「돌궐전(突厥傳)」의 비교》 등이 있다. 그런데 양 《당서》에 대한 연구중에 글자나 어휘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관련된 연구로는 유전홍(劉傳鴻)의 《양 『당서』열전부분의 어휘비교연구》가 있는데 글자의 사용 상황에 대해 비교하여 분석하고 있다. 그런데 양 《당서》에서 〈회골전〉 부분은 기존 연구에서 특히 잘 다루어지지 않은 부분이므로 좀 더 심도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회골전〉은 소수민족에 관한 열전으로서 서사 풍격이 비교적 독특하며 언어 문자 방면에서 상호 비교 되는 내용이 많아 연구가치가 높다. 이글에서 살펴 본 바는 다음과 같다. 우선 글자의 운용에 있어 표면상 서로 다른 글자이지만 이체자 관계로 볼 수 있는 것에 “太”와 “大”, “鈔”과 “抄” 등이 있고, 가차관계로 볼 수 있는 것에 “烝”과 “蒸”, “烝”과 “蒸” 등이 있다. 또 어원이 되는 글자(母字)와 파생글자(分化字)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昏”과 “婚”, “弟”와 “第” 등이 있으며 동일 외래어 표기에 사용 된 글자로 “時”와 “特”, “薛”과 “薩” 등이 있다. 문장의 서술에서 보이는 어휘상의 차이로는 음절측면에서 단음절어로 “阬”과 “誅”, “火”와 “焚”, “麾”와 “指” 등이 있고, 복음절어 사이의 대응으로 “轉徙”와 “流移”, “渠豪”와 “渠帥”, “下嫁”와 “出降”, “蹈舞”와 “舞蹈” 등이 있다. 그리고 단음절어와 복음절어가 대응하는 것으로 “歲”와 “每載”, “已”와 “業已”, “殘”과 “斫傷” 등이 있으며, 복음절어와 단음절어가 대응하는 것으로 “梗絕”과 “斷”, “詭伏”과 “埋”, “喉衿”과 “喉” 등이 있다. 그리고 단어와 구절이 대응하는 것으로 “從昆弟”와 “堂弟”, “剽辱”과 “剽劫逼辱”, “孺弱”과 “老小婦人” 등이 있고, 새로 생겨난 신사(新詞)와 기존 단어가 대응하는 것으로 “父”와 “阿爹” 등의 사례도 있다. The Uighur Biography of the New History of the Tang Dynasty and the Old History of the Tang Dynasty are two official histories that record the history of the Uighur ethnic minorities of the Tang dynasty. On the basis of the same historical facts, we make a comprehensive and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f typical words by using the research method of synchronic description and diachronic investigation. On the one hand, a comparative study is made on the use of characters in the uygur biography of the Tang Dynasty, which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study of word pairs in two Uighur accounts of The Book of Tang. We try to present the features of the uygur biography of the Two Tang books, hoping to make a beneficial supplement to this field.

      • “僉” 聲字探微兼談聲符示源功能

        盧佳琦(노가기),趙家棟(조가동)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21 동아문헌연구 Vol.- No.-

        《漢語大字典》(第二版)에 의하면 “僉(첨)”을 성부로 갖는 글자는 50개이다. 이글은 “僉”의 자형분석 및 “僉”이 나타내는 의미를 몇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고찰한 것이다. “僉”의 윗 부분 “亼”에 대해 “입”을 나타내는 “口”가 거꾸로 된 것이라는 견해들이 있으나 “모이다(集合會聚)”의 의미이다. 그 아래의 “吅”는 “입이 두 개”인 것이고, 그 아래에 “人人”은 “사람이 둘”임을 나타내어, 전체적으로는 “여러 사람이 같은 말을 함(眾人同說、眾口一詞)”을 나타낸다. “僉”은 성부(聲符)이면서 해당 글자의 의미 형성에 기여한다. 크게 보면 “僉”의 본의가 어원으로 기능하는 것과 가차(假借)의미 두 가지로 나뉜다. 전자는 또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모이다(會聚)”범주로서 斂(렴; 걷다, 모으다 “收”, “聚”), 歛(감;“斂”과 같음), 襝(한국 독음은 첨, 이글에서는 렴; “斂”과 같음),殮(염; 입관하다, “시신을 수습하다”에서 비롯 됨), 撿(한국 독음은 검, 여기에서는 렴; 손을 모으다), 鹼(감; 소금물, 소금이 물속에 있음), 醶(염; 신맛, 폐의 기운을 수렴하고 땀을 수렴하는 기능이 있음) 등 16 개 글자가 해당된다. 둘째는“인식하다, 확인하다(認同, 確認)”하다범주로서驗(험; 원래는 말의 명칭, 후에공인받아낙인 찍힌 말을 가리킴),譣(험;“驗”의 가차자, 묻다, 물어서 증명하다), 簽(첨) 등의 세 글자가 해당 된다. 셋째는 “결속, 통제(約束)”의 범주이며, 儉(검; 본의는 통제 받아 절제함인데, 이로부터 아끼다, 겸허하다 등의 의미로 쓰이게 됨), 撿(검; 본의는 “儉”과 같으며 인신되어 “깔끔이 처리하다, 검거하다, 법도(清理、檢舉、法度)”등의 의미를 갖게 됨) 등의 7글자가 해당 된다. 가차의미또한5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韱(섬)”에 대한 가차로서“뾰죽하고가늘며작음”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 둘째는 “兼(겸)”에 대한 가차로서 “높다, 길다”의 의미, 셋째는 “金(금)”에 대한 가차로서 “긴급하다”의 의미, 넷째는 “詹(첨)”의 가차로서 “가리다, 막다”의 의미, 다섯째는 “嚴(엄)”의 가차로서 “작엄함, 존경스러움”의 의미를 갖는다. 이글에서는 이상과 같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해결 하지 못한 몇 가지 예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The phonetic cimplements in pictographic characters has the function of indicating the source. The article explores the original meaning of “Qian(僉)”,examines and explains the meanings of the fifty Chinese characters derived from the phonetic radical of “Qian(僉)”, analyzes the etym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each word and the common phonetic complement of “Qian(僉)”. Through th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words derived from the phonetic radical of “Qian” mostly contain the etymological meanings of convergence, identification and constraint. Word formation has interchangeable interpretation, the meaning of the phonetic complement may be its loaned-meaning. Using phonetic sounds as the clue, and Variants as the complement, obtained the phonetic complement of “Qian(僉)” borrowed the semantic meaning of the phonetic complement of “Xian(韱)” “Jian(兼)” “Jin(金)” “Zhan(詹)” “Yan(嚴)”.

      • 《經律異相》所引《大智度論》與其原經異文類型及比較研究

        王亞平(왕아평),趙家棟(조가동)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23 동아문헌연구 Vol.- No.-

        《대지도론(大智度論)》은 고대 인도 용수(龍樹, 나가르주나:Nāgārjuna)의 저서이며, 후진(後秦)시기 구마라즙(鳩摩羅什)이 번역하여 홍시(弘始) 7년(405)에 완성 되었다. 용수는 논증에 있어 반야사상을 많이 운용하여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을 논증하였으므로 《마하반야바라밀경석론(摩訶般若波羅蜜經釋論)》이라거나, 《마하반야석론(摩訶般若釋論)》, 《마하연경(摩訶衍經)》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대지도론》은 불교의 수 많은 명칭과 현상(名相)에 대해 상세하게 해석한 것으로서 고인도의 불교 고사와 경전 자료를 대량으로 보존하고 있으며, 중국 불교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경률이상(經律異相)》은 남조 양(梁)의 천감(天監) 15년(516)에 승민(僧旻)과 보창(寶唱) 등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불교 참고서(類書)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이상(異相)’은 불교 전적에 보이는 신이한 현상이나 상황을 말한다. 이 책은 모두 50권이며, 불교의 우주관에 따라 천지부(天地部), 불부(佛部), 보살부(菩薩部) 등 22부로 나누어 각 부에 해당하는 신이한 현상의 이야기를 수록한 다음 “出某經第某卷”의 형식으로 출처가 되는 원래 경전을 밝히고 있다. 《대지도론》과 《경률이상》은 111년의 시차를 두고 완성 되었다. 이 시기 동안에 사회의 변화에 따라 언어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고, 때문에 이문(異文)이 많이 형성 되었다. 《경률이상》에서는 모두 62 곳에서 《대지도론》을 인용하고 있다. 이것은 상당히 많은 인용 수치로서 이문 연구를 위해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문자 측면의 이문은 크게 보면 이체자에 포함될 수 있으나 ①정속자(正俗字), ②이체자, ③오자를 포함한다. 어휘 방면의 이문은 동일한 의미범주에 속하지만 다른 어휘를 사용하여 표현의 중점이 다를 수 있는 경우인데, 단음절 간의 대응, 단음절과 쌍음절의 대응, 쌍음절과 단음절의 대응 및 쌍음절과 쌍음절의 대응 등이 있다. 문장 측면의 이문은 실제 문구가 달라지는 것이다. 문장성분에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는 ①생략현상으로, 주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 등 성분이 생략 되는 경우, ②통사구조 변형으로서 구구조의 유형에 변화가 생기는 것, 성분의 후치 또는 단문과 복문이 대응하게 되는 것 등이 포함된다. 또 문장의 성격이 바뀔 수 있는데, 예를들어 《경률이상》에는 진술문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원경은 의문문인 경우이다. 문단(語篇) 측면의 이문은 개별 구나 문장의 범위를 벗어나 앞뒤 호응관계에 보이는 차이를 말한다. There is a difference of more than 100 years between the completion of the ancient Indian Buddhist Da Zhi Du Lun (《大智度論》) translated by Kumarajiva and the Buddhist book Jing Lv Yi Xiang (《經律異相》) compiled by Seng Min and Bao Chang is more than one hundred years. Due to subjective and objective reasons such as the translator’s language habits and the evolution of language over time, the stories quoted in Jing Lv Yi Xiang (《經律異相》)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criptur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xts include four aspects: word usage, lexical usage, sentence usage, and text us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