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語の談話構築態度

        沖裕子(오키히로코),姜錫祐(강석우) 한국일본어학회 2018 日本語學硏究 Vol.0 No.55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접촉장면에서 느끼는 한일상호의 감정적 위화감에 대한 관찰을 통해 이러한 위화감이 왜 생겨나는지에 대해 담화구축 태도의 측면에서 분석 고찰하였다. 방법론적으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사례와 저자의 내성관찰을 통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잡담 속에서 보이는 화제의 선택과 담화전개방법에 관한 위화감, 일본의 결혼식과 피로연에서 손님의 초대방법에 따른 위화감, 자리와 사람과의 관계의 차이에서 나오는 위화감을 예로 들며 감정적 위화감이 생기는 것은 담화구축태도에 나타나는 한일차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담화구축태도와 관계되는 두 종류의 설명모델을 비교하며 하마다 스미오가 제안한 “삼항관계”모델이 유아와 어머니 사이의 담화구축 차원을 넘어 일본어 전반의 담화구축태도의 구조를 설명하는 것임을 지적하였다. “삼항관계”모델이란 화자와 청자 모두가 ‘상대를 보고 있다는 것을 보는 것뿐 아니라 보는 관점, 느낌, 그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고 대처하는 지를 파악하여 같은 틀에서 덧씌우고, 또한 그렇게 덧씌운 생각을 상보적으로 교환한다’는 것이다. “삼항관계”가 기능하는 전제에는 장(場)의 공유가 있고, 도키에다 모토키가 지적한 장면의식의 중요성도 “삼항관계”모델을 이용하여 유효할 수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what, and how, Japanese speakers and listeners see in using Japanese discourse, through observations of the attitudes exhibited by native speakers in situations of emotional conflict, viewed through a contras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The method employed in this paper is based on synchronous discourse theory. First, the authors focus on three cases of emotional conflict: 1) a comparison of chatting in Korean and Japanese speakers; 2) the rapidity with which interpersonal distances are noticed at a wedding ceremony; 3) the sense of incongruity aris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a person and their seat. It is conceivable that these three cases can be explained by differences of attitude or posture in the discourse usage of Korean and Japanese. Secondly, the authors investigate and discuss the descriptive models used in previous research. The best descriptive concept is found to be the Twofold Triangular System which Professor Sumio Hamada advanced as a model of acquisition to explain how an infant learns the meanings of the world through using the language of its mother. The Twofold Triangular System is regarded not as the system underlying infant language acquisition but as the base system of Japanese discourse usage. The system functions as follows: 1) a listener sees not only the objects the speaker sees but also sees how the speaker perceives the object; and 2) there is an exchange of attitudes between the listener and speaker with regard to how to view, behave towards, and handle the object, and what to feel about it. The Twofold Triangular System works well in cases in which the listener and speaker are standing in the same place or find themselves in the same situation. So, the importance of ‘Consciousness of Place (BAMEN ISHIKI)’, a descriptive concept in Japanese usage advanced by Motoki Tokieda in 1941, can be effectively explained using this Twofold Triangular System model.

      • KCI등재

        日本語依賴談話の結節法

        沖裕子(오키히로코) 한국일본어학회 2010 日本語學硏究 Vol.0 No.28

        본고의 목적은 담화의 기술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일본어 의뢰담화의 고찰을 통하여 담화를 구성하는 여러 레벨과 그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해당공동체에서의 사회적 관습 형태인〔사태(事態)〕는 발신자(?信者)의 {장면의식(場面意識)}과는 다른 차원으로 존재한다. {장면의식}이라는 것은 발신자인 언어주체의 주관적인 인식 또는 심적 태도 본연의 모습으로써, 자신, 상대, 사용언어, 장면 등을 사회적 역사적으로 정의하는 인식이나 태도의 결정체이기도 하다. {의도(意圖)}는 이러한 장면의식을 구성하는 결정체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도}는 다른 한편으로는 사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의 결과이기도 하며, 또 다른 면에서는 앞으로 생겨날 담화전체를 정하는 기조계획 이기도 하다. 이러한 {의도}에 따라 무엇을 어떻게 말을 할지 내용에 입각하여 ≪담화구조≫ 를 구축한다. ≪담화구조≫는 의미내용의 하나 하나를 의미적 단위체로 하는 요소의 결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게다가, 의미내용의 결정체인 ≪담화구조≫의 요소에 입각하여 그것을 언어기호로써 실현하는 //담화표현//의 레벨이 있다. 이처럼 〔사태(事態)〕, {장면의식;의도}, ≪담화구조≫, //표현//과 같이 각각 A부터 D까지로 설정한 네 가지의 레벨이 별개이면서 또 시간적으로 동시에 마디 마디가 연결되며 담화가 추진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 동시결절(同時結節)모델은 사회언어문화능력 역시 언어사용과 관련이 있다고 한 하임즈의 사회언어학적 기술이 지향하는 방향을 따르면서 동태적(動態的) 언어관에 입각한 새로운 담화이론에 의해 고찰을 추가한 것이다.

      • KCI등재

        国際調査からみる日韓大学生の依頼談話意識

        沖裕子(오키히로코),姜錫祐(강석우)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62

        본 연구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에 걸쳐 일본 대학생 358명과 한국 대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뢰담화의 한일 차에 관한 조사결과를 분석 고찰하였다. 조사표는 동시결절모델에 입각하여 의뢰담화를 산출하는 사회문화, 의식태도, 담화내용, 담화표현과 이들의 관계성에 주목하며 내성관찰법(內省觀察法)을 통해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검증하는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의 범위는 한일 간에 큰 차이가 없으며, 양 국민 모두 90% 이상이 곤란한 일을 상담할 수 있는 친한 친구(이하, 친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친구와의 교제 실태는 크게 달라서 일본에서는 용건이 있을 때만 연락을 한다는 사람이 60% 정도인데 반해, 한국에서는 특별한 용건이 없어도 빈번하게 연락을 한다는 사람이 80%를 넘었다. 이러한 사회문화로서의 교류실태가 친구에 대한 의뢰의식, 담화내용과 표현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담화태도에서는 전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말하는 것이 정중하다고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일본에서는 50%에도 미치지 못한 반면에 한국에서는 90%를 넘기고 있다. 이는 폴라이트네스 의식에 각 언어문화만의 개별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친구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작은 물건을 빌려달라고 의뢰할 수 있다는 점은 한일 양국이 공통되지만 담화내용과 담화표현에는 차이가 있었다. 일본에서는 부담이 되지 않는 작은 물건을 빌리는 일에도 70%를 넘는 사람이 사정이나 이유를 언급하며 부탁하는 것에 반해, 한국에서는 55%정도밖에 되지 않았고, 일일이 설명하지 않고 빌린다는 사람의 비율도 45%나 되었다. 영화를 보러 가자는 권유를 거절하는 경우에도 “미안, 그건 조금...”을 끝으로 그 이상의 표현을 요구하지 않는 일본에 반해, 한국에서는 가지 못하는 이유나 사정을 설명해주었으면 하는 사람이 70%를 넘었다는 점에서 양국의 차이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한일 대학생의 의뢰담화의식의 유사점과 차이점 이외에 선행연구의 정성(定性)적인 분석결과를 정량(定量)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대조담화론적 내성관찰법”이라는 방법론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 또한 의미가 매우 크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d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a quantitative international study of the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request discourses. Between November 2018 and January 2019, Japa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358 and 377 individuals, respectively)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The questionnaire employed was designed to verify the findings of a previous qualitative study, conducted using an introspective method, in which the authors examined their own discursive practices and drew on their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ir respective native cultures. The research is based on synchronous discourse theory, which focuses on social culture, attitudes, the contents and the expressions of language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se four aspect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ircles of acquaintance. 95% or more of both the Japanese and Korean students had close friend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in contact frequency were clearly significant. While more than 60% of the Japanes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contacted close friends only when they had a reason to do so, more than 80% of the Koreans contacted close friends frequently even when they had nothing in particular that they needed to convey. Such socio-cultural differences also influenced the way the respondents thought as well as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of their discourse. Fewer than 50% of the Japanese students agreed that ‘expressing oneself clearly is polite’, whereas more than 90% of the Koreans agreed with this statement. This result shows that politeness is not universal. More than 70% of the Japanese respondents answered that, when asking to borrow something of little value from a close friend, they would explain why they needed to make the request. On the other hand, more than 50% of the Koreans thought no explanation was necessary in this situation, and more than 40% answered that a detailed explanation was unnecessary. The Japanese students indicated that, when an invitation to the movies was declined with the expression “I’m sorry”, they would feel satisfied that they had understood the reasons for the refusal. More than 70% of the Koreans, however, stated that while they would feel that they had understood, they would still prefer some explanation of the reasons that led to the invitation being declined. These results confirm the findings of previous qualitative research undertaken by the autho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