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韓國 出土 卜骨에 對한 考察

        殷和秀 호남고고학회 1999 湖南考古學報 Vol.10 No.-

        卜骨은 동물뼈를 이용하여 점을 친 물적증거로 韓國·中國·日本의 여러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복골 재료는 사슴과 멧돼지의 肩甲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製作은 재료에 구멍 파기(鑽)·구멍 덧파기(?)·지지기(灼)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中國의 遼西 지역에서 출토된 복골은 製作 수법과 材料의 종류가 韓國에서 출토된 자료와 유사하다. 그러나 卜骨을 이용한 占卜 文化는 黃河 유역과 遼西 지역에서 비슷한 시기에 사라졌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의 다변화에 따라 점복 문화가 도입되어 기존의 卜骨을 이용한 번거롭고 복잡한 占卜 문화는 효용성을 상실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卜骨이 靑銅器時代에서 統一新羅時代까지의 유적에서 출토되었으며, 占卜에 본격적으로 사용되는 시기는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 후 4세기 전반에 해당된다. 한국에서 卜骨이 출토된 유적은 해안과 내륙 등에서 광범위하게 확인되어 당시 사회에서 복골을 이용한 점복이 널리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 卜骨을 이용한 占卜은 祭祀와 관련하여 집단적인 성향을 띠어 당시 사회의 다변화에 많은 기여를 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卜骨을 이용한 점복 풍습은 鐵器文化의 확산과 軌를 같이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In ancient society there were men between the supernatural and mankind who controled and maintained the society by the special knowledge and technique.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various rituals, which had been related with agriculture which was the economic foundation at that time. The divine bones(卜骨) the proof of ancient divination, were excavated in the various sites. They let us know the process and activity of divination since they are the bones of animal used for the divination. The divine bones were made by the process of digging a hole, engraving and heating. There are 4 types depending on the digging and engraving process. All of the divine bones, excavated in Korea, are without characters and very similar with the one of Liaoxi, China in the making process. The period of using the divine bones for the devination was supposed from 2nd C. B.C. to A.D. 4th C. The spread of divination customs using the divine bones could be assumed in parallel with the spread of the iron. Most sites with divine bone located in the southern seaside and a few found in inland. Miniature pottery were also supposed to be used for the oblation but the divine bones for asking the divine will. Therfore they ha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 for use.

      • 전(傳) 개성 출토 청자호자에 대한 고찰

        은화수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8 고고학지 Vol.9 No.-

        이 글에서 소개할 전(傳) 개성 출토 청자호자(靑磁虎子)는 백제의 초기 영역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유물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이 청자호자는 1928년 2월 15일 일본인 아마쓰 모타로(天池茂太郞)부터 구입한 것으로 이러한 청자호자는 중국의 서진(西晋)과 동진(東晋) 유적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 시기의 것으로는 해당 청자호자가 유일한 예이고, 백제에서 제작된 회백색연질(灰白色軟質)의 동물모양 토기 호자 2점이 남아 있다. 이들 호자는 당시 백제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매우 이질적인 형태로 보아 중국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중국에서 호자의 출현 및 변천과정과 용도에 대해 알아보고 개성 출토로 전하는 청자호자의 연대를 추정해보기 위해 명문전(銘文塼)과 함께 출토된 중국 호자와 비교·검토하였다.

      • 화순 백암리유적 조사보고

        조현종,은화수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5 고고학지 Vol.14 No.-

        화순 백암리 유적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백암리의 전(田) 355-3번지에 위치하며 민묘 이장작업의 과정에서 한국식동검(韓國式銅劍)과 동과(銅戈)가 발견됨으로써 유구의 잔존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유구는 남동-북서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낮은 구릉의 정상부와 사면에서 송국리형주거지와 적석목관묘가 확인되었다. 백암리 유적은 청동유물이 다량 출토된 대곡리 유적과 직선거리로 약 3.75km에 위치한다. 주거지는 평면 형태가 원형이고 중앙에 타원형 구덩이를 갖춘 송국리형이다. 주거지에서의 출토유물은 석기, 옥, 점토대토기편 등으로 점토대토기가 출토되었다는 점에서 축조 시기는 상대적으로 늦다고 볼 수 있다. 적석목관묘는 훼손되기는 하였지만 매장유적에 사용한 돌의 존재를 통해 적석목관묘로 파악할 수 있었다. 적석목관묘에서 수습된 유물은 한국식동검, 동과, 정문경(精文鏡), 관옥(管玉), 삼각형 석촉(石鏃), 흑도편(黑陶片) 등이다. 백암리 한국식동검은 동부가 길고 등대가 봉부까지 굵게 이어져 공주·연기·당진·장수 등지의 유적에서 철기가 출현한 이후 동검들에서 많이 보이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정문경은 2구식으로 함평 초포리유적 및 장수 남양리 유적과 관련되는 시점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정황으로 보아 백암리 유적은 비록 철기가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철기가 유입되고 확산되는 단계의 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백암리 유적은 기원전 2세기 전후하여 조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Baekam-ri site was accidentally found during movement of a modem burial in April 2003. During the process, a so-called Korean-style bronze dagger and a spearhead were discovered at the location. Subsequent excavation revealed that the archaeological features at the site were mostly located on the top and side of the hill (68 meters above the sea level). They were arranged linearly along the southeast-northwest axis. The excavated archaeological features include a pit-dwelling and a stone-mounded wooden coffin tomb. The pit-dwelling is so-called Songguk-ri style. It has circular plane shape and an oval pit is placed in the center. The oval pit has one central posthole and two additional postholes whose axis does not run over the central posthole. This probably indicates that the pit-dwelling was renovated at least one time.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ite include stone tools, jade ornament, and ring-rimmed pottery. The discovery of ring-rimmed pottery indicates that the site was occupied relatively late during the Bronze period. The long axis of the tomb is aligned to the north and south and is perpendicular to the ridge of the hill. The coffin was placed underground. The artifacts recovered from the tomb include a so-called Korean-style bronze dagger, a bronze spearhead, a fine-grained bronze mirror, some tubular jade, a triangular stone arrowhead, and pieces of black burnished pottery. The Korean-style bronze dagger from Baekam-ri shows stylistic features that postdate the appearance of iron tools. Furthermore, the fine-grained mirror is in the transitional stage from the three-decoration-zone style to the two-decoration-zone style. Accordingly, despite the absence of iron tools in the Baekamri artifact assemblage, this site is dated to about second century B.C., when iron tools appeared in the Korean-style bronze dagger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