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1940年代における朝鮮人の「満州」への移住に関する研究

        朴仁哲(Piao Renzhe) 한일민족문제학회 2009 한일민족문제연구 Vol.17 No.-

        Today, the first generation Some Korean immigrants are still alive and living in the three provinces of the North~Eastern China, once called 'Manchuria'. Their relocation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ign of the Japanese Empire over the region and Korean peninsula. Very little, however, has been known about the historical realities of the Korean relocation to Manchuria. This paper discusses the relocation that happened during 1930s' and 1940s', with a special attention to those from Jeollabuk-do region. One of the reasons for the interest in the area, of all regions, is that its enormous number of poor farmers, despite its fertile tillable land, Jeonbuk plain, would make a typical case study for an immigrant problem. This study could be an attempt at introducing sociological viewpoints to the orthodox and traditional study of the Korean immigrants in Manchuria which has been in the domain for the historical study. In this paper, written documents as well as Oral historical documents from the first generation immigrants are adopted and used for discussion. Give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ifteen years Sino-Japanese War' of which they were part, the Korean immigrants in Manchuria could embody the experience of the war, and the colonization policy of Imperial Japan. The Korean immigrants are still alive, not forgotten as mere history, with their personal memories through which we can have a clear picture of the times and life in Manchuria. The author believes in the Oral data that they would make a longer way, if coupled with attention to written documents, to understand the social realities and their confused aspects of that time. 구 '만주'지역인 현재 중국의 동북삼성에는 일제강점기에 한반도에서 이주한 조선인 '만주'이민 1세들이 아직도 거주하고 있다. 이민 1세의 이주와 정착에 관한 역사에는 일본의 '조선.만주' 지배가 깊이 결부되어 있다. 그러나 이 조선인의 '만주'이주에 관한 역사적 사실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전라북도에 주목해 1930~1940년대 조선인의 '만주'이주를 다루었다. 전라북도의 '만주'이주를 다룬 이유는 이 지역이 한반도에서 가장 비옥한 전북평야를 아우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빈곤 농가가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어 이민문제를 연구할 수 있는 전형적 지역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학 분야의 정통적인 조선인의 '만주'이민 연구에 사회학적인 연구방법론을 도입하고자 했다. 본고에서는 문헌자료뿐만 아니라 조선인 '만주'이민 1세의 구술자료도 병용하였다. 이민1세가 공간을 넘어 이동을 한 시기가 '15년 전쟁'시대였음을 감안할 때 이민 1세는 식민지체험과 전쟁체험을 동시에 한 집단이다. 조선인 이민은 과거 역사로 그치지 않았다. 이들은 지금도 과거의 이민체험을 안고 현재까지 생활하고 있다. 이민 1세의 개인사를 통해 이들이 살아온 사회사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구술자료를 이용함으로써 문헌사료로는 접근할 수 없었던 당시의 복잡한 사회상황을 엿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